View : 827 Download: 0

의미장을 중심으로 한 중국어권 및 영어권 학습자와 한국인의 어휘 연상 반응 연구

Title
의미장을 중심으로 한 중국어권 및 영어권 학습자와 한국인의 어휘 연상 반응 연구
Other Titles
Vocabulary Association Respond Research of L1 Chinese, L1 English and Korean in Semantic Field
Authors
이은경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외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는 유창한 의사소통을 위해 어휘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을 받아야 하지만 한국어 교육에 있어 어휘 교육은 그저 부차적인 교육 항목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았다. 제한된 수업 시간 내에 따로 어휘 교육을 하지 못하며 이는 고스란히 학생들의 몫으로 넘어갔다. 이는 심리적으로 학습자들의 심적 부담을 가중시켜 학습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휘를 체계적이지만 자유롭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의미장에 입각하여 각 언어권별 어휘 교육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하였고 이는 연상 실험을 통해 기억의 작용이 어휘 학습에서 어떻게 출력되는지 증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실험을 통해 효과적인 어휘 학습 교육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실험에 앞서 명사, 동사, 형용사의 세 품사별로 제시 어휘를 선정한 후 국내에 거주하며 대학 혹은 한국어기관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영어권 학습자 29명, 중국어권 학습자 27명 그리고 한국인 29명을 실험대상자로 하였다. 어휘 10개를 제시하여 반응어로는 한 개의 어휘를 쓰도록 하였다. 의미장 내에서 계열관계 안의 동의관계, 반의관계, 상하관계 및 속성관계를 살펴보았고 명사+동사, 동사+명사의 경우는 결합관계로 나타내 보았다. 여기에는 성별, 연령, 내국인과 외국인, 영어권 및 중국어권과 한국인의 각각의 다른 의미관계들을 비교․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자료는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했고 의미장 단어 연상 평가지는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측정을 하여 신뢰도 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의미장 내에서의 통계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검증은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10개의 어휘에 대해 신뢰도 분석 결과 의미장 전체 신뢰도 계수는 비교적 높게 나왔다. 이 연구는 인간의 뇌에서 작용하는 어휘들이 어떠한 영향에 의해 연상이 되며 이를 평가해 볼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머리 속 어휘 사전 형성 방법을 구명하여 어휘 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어휘 연상은 뇌 활동과 관련되어 있고 이는 의미의 저장과 동기화에 따른 직접적인 뇌 활동이 ‘기억’과 관련되어 있으며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구분하여 정보처리에 관한 기억 구조를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각 어휘에 대한 연상 실험이 의미장 내에서 어떤 관계의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고 이는 성별, 연령, 외국인, 언어권별로 다르게 반응함을 보여 주었다. 위 실험을 토대로 연상어휘는 학습자 구분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남을 증명하고자 하였고 추후 연구자를 통해 실질적으로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교육 연구의 효과를 기대하고자 한다. ;In the past vocabulary learning was considered to be easy and students were forced to memorize vocabulary. but it has done in a passive attitude more than other language function. recently is important to learn vocabulary for communication abilit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Chinese, English and Korean version word association lists for the each Chinese, English and Korean which are needed in research area of connected memo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 of word association for Chinese, English and Korean to organize a semantic field and exam how to associate. Associated words, gender, age, language, foreign were compared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to compare and contrast the result of word association of English, Chinese and Korean. and it is to carry out goal semantic field is mentioned. I found out that students acquire vocabulary using semantic fields. I proved my hypothesis through experimental group surveys. Research on word association was conducted with in total twenty-nine native English speakers, twenty-seven native speakers of Chinese as well as with twenty-nine Koreans of different age and gender who were requested to answer a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ten words: school, marry, family, travel, autumn, man, cab, beautiful and work. The result of my research is as follows. The answers of the different language, age and gender groups differed decisively. The vocabulary association in semantic field proved to be respond differently. Association vocabulary can foster creative learning and help to improve vocabulary abilities. It raises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vocabulary through semantic fields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because learning vocabulary using semantic fields helps students to have opportunities to know and find out about the various meanings of vocabulary. Therefore the use of semantic fields provides a method to implement students' intuitive and systematic thinking. This study also makes a contribution to research on cognitive functions in memory and other related ar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