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이정영-
dc.creator이정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5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2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561-
dc.description.abstract학교는 학교경영자, 교사, 학생, 학부모 등 다양한 구성원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조직으로 이러한 구성원들 간의 상호 신뢰는 학교교육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학교 구성원 중 교사는 교육의 주체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교육활동을 통해 학생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신뢰와 직무에 대한 태도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 그리고 학교구성원에 대한 신뢰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 두 가지 차원 모두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더불어 학교구성원에 대한 신뢰가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즉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 학교 구성원에 대한 신뢰정도를 알아보았으며 이 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심리적 소진과 학교구성원에 대한 신뢰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 결과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학교구성원에 대한 신뢰와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심리적 소진과 학교구성원에 대한 신뢰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학교구성원에 대한 신뢰정도는 동료교사에 대한 신뢰가 가장 높았으며 학교장에 대한 신뢰, 학생에 대한 신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 정도는 낮은 반면 직무열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는 서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학교구성원에 대한 신뢰 중 동료교사와 학생에 대한 신뢰는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동료교사에 대한 신뢰는 초등교사의 직무열의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심리적 소진과 동료교사에 대한 신뢰 모두 직무열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지만 초등교사들의 직무열의에는 학교구성원에 대한 신뢰보다 심리적 소진이 더 높은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 태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심리적 소진 혹은 직무열의 중 한 가지 차원에 대해서만 논의된 반면 본 연구는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 두 가지 차원에 대해 모두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학교구성원에 대한 신뢰가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로 대표되는 직무 태도에 관계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학교 내 구성원들 간의 신뢰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초등교사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심리적 소진을 극복하고 학교 구성원 간 신뢰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서울시에 재직 중인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일반화된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연구지역, 연구대상 및 학교 급이 확대된 후속 연구가 축적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인 교사들의 평균적인 심리적 소진 정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심리적 소진 정도가 높은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구성원에 대한 신뢰와 직무열의의 관계를 연구한다면 더욱 높은 설명력을 지닐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A school is an organization that is run by diverse members involving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mutual trust among the members is one of crucial factors to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school education. Out of the school members, teachers who take the initiative in education play key roles and have a huge impact on students through their tea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of teachers and their trust in school members, as there has lately been a growing concern for trust and job attitude. It's especially mean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the three variables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trust in school members on job engage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5.0. A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of their trust in school memb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find out the impact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trust in school members on job engage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rust in school members, the elementary teachers put the most confidence in their fellow teachers, followed by principals and students. Second,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he elementary teachers was at a low level, whereas their job engagement was at a high level.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Third, in terms of trust in school members, trust in fellow teachers and students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psychological burnout, and trust in fellow teac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job engagement. Fourth, both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trust in fellow teachers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to affect job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burnout made a larger prediction of job engagement than trust in school members. Earlier studies of teacher job attitude just have examined one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but both of the dimensions that were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trustworthy relationship among school members by making it clear that the elementary teachers' trust in school members was linked to their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attitude that was a barometer of job engagement.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bolster the job engagement of elementary teachers, it's required to eliminate their psychological burnout and to boost interpersonal trust among school memb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소진 5 B. 직무열의 9 C. 신뢰 12 Ⅲ. 연구 방법 20 A. 연구대상 20 B. 측정도구 20 C. 분석방법 23 Ⅳ. 연구 결과 24 A. 연구 대상자 특성 24 B. 연구 변인들의 기초통계 분석 결과 25 C.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 학교구성원에 대한 신뢰와의 관계 28 Ⅴ. 논의 및 결론 33 A. 논의 및 결론 33 B.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38 참고문헌 39 부록-질문지 45 ABSTRACT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51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학교 구성원에 대한 신뢰,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of Trust in School Memb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dc.creator.othernameLee, Jung Young-
dc.format.pagevii, 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