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8 Download: 0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and Bibliotherapy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xpression Skills
Authors
노심옥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원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표현력 향상을 위해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및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어떤 프로그램이 자기표현력 향상에 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려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교육연극, 독서치료 및 자기표현에 대해 논의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가설을 설정하여 실험에 착수하였다. 실험에 앞서 연구대상인 경기도 남양주에 소재한 G초등학교 4학년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자기표현력)를 실시하여 두 학급을 실험집단Ⅰ, Ⅱ로 선정하고, 실험집단Ⅰ, Ⅱ와 동질성을 보이는 다른 학급을 비교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Ⅰ, Ⅱ는 5주, 총 10회기(2011년 9월 8일부터 2011년 10월 7일) 동안 각각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같은 기간 비교집단에는 안전교육과 같은 자기표현과 관련 없는 활동 내용을 지도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과 일원변량 분석(ANOVA)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Ⅰ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 있어서 자기표현력 및 자기표현력의 하위요인(내용적, 음성적, 체언적 요소)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Ⅱ는 비교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 있어서 자기표현력 및 자기표현력의 하위요인(내용적, 체언적 요소)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독서치료 프로그램보다 자기표현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자기표현력의 하위요인인 내용적 요소 향상에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음성적, 체언적 요소 향상에는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더 효과적이었다. 검사지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해 실시한 매 회기보고서, 아동의 자기평가 및 프로그램 종결 후 작성한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기표현에서 상대방을 고려하는 요소 및 표현에 대한 자신감 등을 증진시켰고,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공격적인 자기표현 상황을 조절하는 능력 및 표현에 대한 자신감 등을 증진시켰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검사지 분석 결과,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자기표현력의 하위요인 중 음성적 요소를 향상시키지 못했다. 하지만 회기보고서 및 소감문에서 󰡒더듬거리는 것이 줄고, 또박또박, 차분히 말하게 되었다.󰡓거나 󰡒목소리가 커졌다.󰡓라는 아동들의 반응을 볼 때, 독서치료 프로그램도 음성적 요소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기표현력 및 자기표현력의 하위요인인 음성적, 체언적 요소 향상에,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자기표현력의 하위요인인 내용적 요소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연극적 체험을 통한 자기표현력 향상에 초점을 두다보니, 자기표현의 내용적 요소를 다루는 활동이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에 연극놀이와 즉흥을 강조하는 교육연극 활동 상황이 신체적 표현 증진에 효과적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음성언어 지도의 핵심은 자연스럽고 반복적인 상황을 조성해 주는 것인데, 교육연극은 연극 자체가 주제나 메시지를 배우의 대사에 의존하여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을 충족시켰다고 생각한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자기표현과 관련된 텍스트를 탐색하고 그와 관련된 생각과 느낌을 상호교류한 뒤, 관련활동을 해 보는 것이 초점이었다. 독서치료에 선정된 도서들은 적극적이거나 소극적인 자기표현에 대해 자기탐색을 하게하고, 올바른 자기표현에 관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들이었다. 이러한 측면이 내용적 요소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게 하였다고 유추할 수 있다. 하지만 관련활동들이 교육연극에 비해 상대적으로 음성과 신체로 표현하는 부분이 부족했기 때문에 음성적, 체언적 요소 향상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자기표현의 하위요인들에 대한 구체적 지도가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현재 초등학교 현장을 살펴보면 많은 아동들이 공격적인 혹은 소극적인 자기표현 사용 때문에 학교생활이나 교우관계에서 힘들어 하고 있으며, 교사들 또한 이러한 아동들의 생활지도, 인성지도 및 학습지도 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재량활동 및 동아리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겠다. 연극과 독서라는 매개체는 초등학교에서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며 이는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자연스럽게 자기표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또한 이 두 프로그램의 장점이 되는 요소들을 상호 보완하여 자기표현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and bibliotherapy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xpression skill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stablished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To test the effects of students' self-expression skills, one of the 4th class was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class was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10 terms of an educational drama and bibliotherapy program for five weeks. At the same period, control group participated unrelated to the program. It was structured b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for the test statistic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I,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exhibited a larger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skills(i.e. content, verbal and non-verbal factors) than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Secondly, ,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oup II, who participated in the bibliotherapy program, exhibited a meaningful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skills(i.e. content, non-verbal factors) more than students in a control group. Thir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is more effective than bibliotherapy program for students' self expressions. Whereas, bibliotherapy program is effective compare to the drama to subfactor of the self expression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confidence and their courtesy towards others. The bibliotherapy program made significant improvements to the students’ ability to control their aggression. From these results, we can see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has positive effects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bibliotherapy program does not improve the positive effects on subfactor(i.e. verbal factors). But, it has a possibility to improve mental wellbe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focus on their self expression skills through drama experience. That is less effective for content factor compared to the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other hand, it focused on role-play and improvisation that was more meaningful to improving physical expression. Also, repetition promoted the feeling of naturalness. For this reason,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satisfies those elements, because the subject and message depends on the actor's speech. The bibliotherapy program is less active tha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it focuses on reading and communicating the text related to self expressions. It suggests the method of self-expression specifically, so it is the most efficient on content factor. But, the bibliotherapy program is lack of verbal and non-verbal factors. So, it shows that has to include those elements. Many students who are aggressive or passive in elementary school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school life and their relationship among their classmates. Also, many teachers are in trouble to guide, coach, and teach them. The solution for these difficulties is the educational drama and bibliotherapy programs. Teachers can easily make full use of these programs for their students in order to provoke students' interest and help them express themselves natura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