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0 Download: 0

학교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자율형 사립고 교사의 인식 분석

Title
학교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자율형 사립고 교사의 인식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in Expansion of Curriculum Autonomy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과정 편성 운영 자율권에 대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정책을 검토하고 학교자율화 정책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교육과정 자율권 확대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에 대한 자율형 사립고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내 자율형 사립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배부된 300부 중 126부를 회수하였고 이중 125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기법은 기술통계방법을 활용하여 각 항목의 응답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Likert 척도에 의해 산출된 평균점수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교사의 직위에 따른 응답결과는, F검증을 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경우, 다시 사후검증(Scheffé)을 통해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자율형 사립고 전환시기에 따른 응답결과는 t검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형 사립고 전환시기가 오래될수록 소속된 교사들이 학교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결과는 학업능력에 따른 수준별 교육, 사교육 요구 감소, 교사들의 교재연구 시간 증가, 학습내용 가감을 통한 재구성과 같은 항목에서 나타났으며 학교 내에서 교사의 직위에 따라 자율권이 적절히 구분되어 있다는 인식과 일반교사의 자율권이 충분히 보장되어 있다는 인식도 전환시기가 오래된 자율형 사립고 교사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자율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자율권의 확대요구로 이어져, 자율형 사립고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이 더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항목에 더욱 긍정적인 응답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자율형 사립고 교육과정의 자율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직위별로 살펴보면, 일반교사들이 부장이상의 직위 교사나, 기간제교사들에 비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율형 사립고 전환으로 인한 학교교육과정의 발전적 변화, 학업능력에 부합하는 수준별 교육 가능, 학생들의 사교육감소, 교사들의 교재연구 시간 증가, 학습내용 가감을 통한 재구성의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교사들은 학교 내 자율권의 적절한 분배나 자율권 보장에 대해서도 다른 직위의 교사들에 비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권의 확대가 바람직하다는 인식에서도 낮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교사들은 학교교육과정의 자율권을 위해서 학교재정지원, 교사의 적극적인 참여, 입시제도의 변화, 교사의 업무 경감 등을 요구하고 있었고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있어서 교사 간 갈등심화, 부가적 업무증가와 학생 및 학부모 요구 수용의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고 있었다.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는 교사연구모임과 같은 공동체 중심의 연구와 학교 내 자체 연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자율화 정책의 방향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와 같이 학교교육과정의 자율권을 확대하고자 하는 정책을 도입하고자 할 때는 자율권을 저해하는 내부적, 외부적 요소를 최소화 하는 제도적 지원이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자율권한 분배의 비적절성,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의 재정 지원 부족 등과 같은 내부적 요소와 입시중심의 교육 풍토와 같은 외부적 요소로부터 학교교육과정의 자율권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해야 한다. 많은 교사들이 참여하여 교사들의 의견이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반영되는 학교경영체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교육과정이 대학입학에서 반영될 수 있도록 입시제도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들은 진학결과를 중심으로 학교를 평가하는 현재의 교육적 풍토와 입시제도 아래에서는 학교교육과정의 자율권을 발휘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것이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었다. 다양한 교육과정을 반영할 수 있는 입시제도의 개발과 보완을 통하여 교육과정의 자율권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후속연구로는 다양한 고교 특성에 따른 학교자율화 정책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현재, 고교 다양화 정책에 따라 다양한 고등학교 형태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학교의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편성운영의 자율권 적용 실태와 교사들이 요구하는 자율권의 범위와 내용을 비교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 주제에 대한 활발한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olicy for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and suggests implication to direct for autonomy policy through survey & analysis autonomy private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for organizing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utonom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ugges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teacher on managing the school curriculum with expansion of curriculum autonomy? Second, what is the need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teacher on school curriculum autonomy? This study was conducted survey by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teachers located in Seoul. 126 out of 300 research questions were answered and 125 of them were utilized on this analysis.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0.0, and as for the method of analysis, the respons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item were calcula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for post-hoc 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used.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1. The earlier the school turned into a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teachers have, especially on level-differentiated class, decreasing the need for private education, increasing the study of teaching materials, curriculum reconstitution and guaranteed-autonomy. 2. The staff permanent teacher has more negative perception than the head teacher and temporary teacher, especially on curriculum development, level-differentiated class, decreasing the need for private education, increasing the study of teaching materials, curriculum reconstitution and they recognize that duties were not assigned properly by their position and their autonomy was not guaranteed also. 3. Teachers requested financial support to school, positive participation by them, changing of the current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reduction of their excessive workload for the curriculum autonomy. They also want to attend the teachers’ study meeting for joint research to advance specialty. The suggestions through the abov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stitutional framework to minimize internal/external factors to hinder autonomy should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when the government introduces the policy such as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to expand curriculum autonomy. 2. Provide the motivation for teachers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of curriculum. 3. The entrance school examination system needs to be supplemented for various curriculums and incorporated into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 I suggest follow-up studies concerning the policy of school autonomy by characteristics of various high schools and also expect that active study will be followed up for this subj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