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문슬기-
dc.creator문슬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2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1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the use of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to realiz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to examine children's meaningful experiences observed during the process. For this study the questions below will be studied in depth. 1. How is the process of participatory design working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for ESD? 2. What are the meaningful experiences of children going through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for ESD? This study was proceeded by conducting case studies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located in Seoul, with participants of twenty-one children at the age of six, two homeroom teachers, and the researcher. In regard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development and this study, the researcher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developed by Huh Yoon Sun(2008). At each stage of the process 7Rs(Respect, Reflect, Rethink, Reuse, Reduce, Recycle, Redistribute) principles, which were proposed by Engdahl and Rabušicová(2010) through OMEP were practiced. The researcher recorded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progression by taking notes and pictures.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llected meaningful experiences of the children during the process and inquired into similar cases through categor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ory desig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for ESD were processed by six stages. First, principle of Respect was practiced at arousing and sustaining interest stage. As a result, children became interested in nature, presented respectful attitudes toward nature, and showed interest in caves and animals. As the teacher grasped the children's interests, she prepared related materials and arranged the classroom environment. Second, principles of Rethink and Respect were practiced at site selection stage. As a result, children found the possibility of unused space and teachers had the children to select a target site by themselves. Third, principles of Reflect and Reduce were practiced at recognizing target site as well as identifying expectations and expressing stage. As a result, the children tried to consider the needs of children in different sex and age and sought ways to play at the target site with the given environment. Fourth, in order to practice the principle of Reuse at the later stage, the teacher were put to make an agreement with the researcher at the deriving planning factors stage. Fifth, principle of Reuse was practiced at making decisions and deriving the final designs stage. As a result, children made decisions to maximize the reusing. Subsequently, at the implementation of decisions stage where principle of Respect was practiced, the teacher advocated the children's direct participation. Sixth, principles of Recycle and Redistribute were practiced after the design process. As a result, the children arranged a basic plan for recycling depleted batteries and invited friends from other classes to their designed space. Second, meaningful experiences of six categories were observed during the process of participatory desig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ESD. First, children encountered many problematic situations and sought ways to solve the problems, and proceed with the way that they have found for solution. Second, children found mistakes of their previous decisions and corrected them. Third, children communicated with the others about the progress of this study. Fourth, children participated in collective decision-making process and accepted the collective opinion. Fifth, children tried to consider others who are younger than themselves. Sixth, children concerned about nature and the environment by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자 참여디자인 과정을 알아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자 참여디자인 과정에서 관찰되는 유아의 의미 있는 경험을 고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자 참여디자인의 과정은 어떠한가? 2.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자 참여디자인 과정에서 관찰되는 유아의 의미 있는 경험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A유아교육기관의 만4세 한 학급의 유아 21인, 담임교사 2인, 연구자가 참여하여,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허윤선(2008)의 아동 참여디자인 단계를 연구자가 유아의 발달 특성 및 본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정, 보완한 유아 참여디자인의 단계를 따랐다. 유아 참여디자인의 각 단계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해 세계유아교육기구(OMEP)에서 제안한 Engdahl와 Rabušicová(2010)의 7Rs(Respect, Reflect, Rethink, Reuse, Reduce, Recycle, Redistribute)의 원리를 실천하였다. 본 연구자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 참여디자인 단계의 진행 내용을 전사본과 사진을 통해서 기록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의미 있는 경험 사례를 수집하고 유사한 경험들을 범주화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자 참여디자인 단계는 총 여섯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흥미유발 및 지속 단계에서는 존중(Respect)의 원리를 실천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자연 탐색 과정에 흥미를 느끼고, 자연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졌으며 동굴과 동물에 관심을 보였다. 교사는 유아의 흥미를 파악하고 관련 자료를 제시하였으며, 환경을 구성하였다. 둘째, 대상지 선정 단계에서는 재고(Rethink)와 존중(Respect)의 원리를 실천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버려진 공간의 사용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교사는 유아가 직접 디자인 대상지를 선정하도록 하였다. 셋째, 대상지 인지 및 기대파악과 표현 단계에서는 반영(Reflect)과 절감(Reduce)의 원리를 실천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자신과는 다른 성별과 연령의 요구를 고려하고자 하였으며, 대상지의 현재 상태에서 놀이를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넷째, 계획요소 도출 단계에서는 이후 단계진행에 있어 재사용(Reuse)의 원리를 실천하고자하는 교사의 합의 시간을 가졌다. 다섯째, 의사결정 및 최종설계안 도출 단계에서는 재사용(Reuse)의 원리를 실천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재사용 가능한 물품을 공간 디자인에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을 하였다. 이어서, 존중(Respect)의 원리를 실천한 결정 내용 실행 단계에서는 교사가 유아로 하여금 실행 단계에 직접 참여하도록 지지하였다. 여섯째, 디자인 종결 이후 공간을 사용하는 단계에서는 재활용(Recycle)과 재분배(Redistribute)의 원리를 실천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디자인한 공간에서 나오는 폐건전지를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 방안을 마련하였고, 타 학급의 영‧유아를 자신들이 디자인한 공간에 초대하였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자 참여디자인 단계에서는 여섯 개 범주의 의미 있는 경험이 관찰되었다. 첫째, 유아는 본 연구의 진행과 관련하여 여러 차례 문제 상황에 마주쳤으며,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모색한 방안을 실행하였다. 둘째, 유아는 자신들의 의사 결정 내용에 대한 오류를 발견하고 이를 정정하였다. 셋째, 유아는 본 연구가 진행되는 상황에 대해 타인과 소통하였다. 넷째, 유아는 본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집단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였으며, 해당 과정에서 결정된 공동체의 의견에 순응하는 태도를 보였다. 다섯째, 유아는 본 연구의 진행 과정에서 자신보다 낮은 연령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여섯째, 유아는 본 연구에 참여하면서 자연과 환경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지속가능발전교육 5 1.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 5 2.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유아교육 10 B. 사용자 참여디자인 13 1. 사용자 참여디자인의 개념 13 2. 사용자 참여디자인과 학교 16 3. 사용자 참여디자인과 유아교육기관 17 Ⅲ. 연구방법 20 A. 사례연구 20 B. 연구 참여자 21 1. 나무반 교사, 유아 21 2. 연구자 22 C. 연구대상 24 D. 연구절차 25 E. 자료수집 32 F. 자료분석 3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6 A.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자 참여디자인 과정 36 1. 흥미유발 및 지속 단계 36 2. 대상지 선정 단계 43 3. 대상지 인지 및 기대파악과 표현 단계 46 4. 계획요소 도출 단계 51 5. 의사결정 및 최종설계안 도출 단계와 결정 내용 실행 단계 53 6. 디자인 종결 이후 66 B.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자 참여디자인에서 유아의 의미 있는 경험 69 1.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모색과 실행 69 2. 결정 사항의 오류 발견과 정정 76 3. 진행 상황에 대한 타인과의 소통 82 4. 공동체의 의견에 대한 순응 92 5. 낮은 연령에 대한 고려 97 6. 자연과 환경에 대한 관심 101 Ⅴ. 논의 및 결론 104 A. 논의 104 1.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자 참여디자인 과정 104 2.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자 참여디자인에서 유아의 의미 있는 경험 107 B. 결론 및 제언 111 참고문헌 115 ABSTRACT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607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자 참여디자인 과정과 의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articipatory Design Process and Mea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c.creator.othernameMoon, Seul Ki-
dc.format.pagexii,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