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김현수-
dc.creator김현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1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67-
dc.description.abstractSchool life takes a large proportion in a student's life and school adjustment is the developmental task that expects later adjustment of a student's life. But the poverty of students has steadily taken as an issue in education study because the precedent studies consistently prove that poverty lead students to the school unadjustment. In spite of the precedent studies, not ‘all’ students with a low-income show the school unadjustment. Researchers called this phenomena 'resilience', have developmental outcomes despite adversity. Researchers searched protective factors that exceed or reduce the effect of low-income. As the studies about resilience had conducted, researchers found that resilience is constructed as multi dimension. After this discovery, researchers regard school adjustment as specific dimension and conceptualize phenomena. Students showing with competent adjustment in school despite adversity is defined as 'school-resilience'. This school adjustment is also built as multi dimension, so this study needed to subdivide the concept of school adjustment and to explore protective factors in each specific domain for practical access about school adjustment. Thus, in this study, school-resilience is subdivided into the following: academic-resilience, social-resilience and affective-resilience. Based on the concepts, two subjects are chosen for this study of "an exploration of protective factors for school-resilience in low-income students". First, analyze distinction of resilient group, competent group and vulnerable group in each specific area. Second, analyze the protective factors that discriminate resilient group and vulnerable group, these two groups have a same adversity as low-income. By using the second year data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resilient students and protective factors discriminating resilient students from vulnerable ones in terms of their three adjustment areas. The second year data conducted a survey from the total numbers of 6,908 students who were second grade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2006. This study used only 5,443 cases answered to all items for analyzing. By using 5,443 cases, this stud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In the case of ANOVA, to see if the independent variables satisfy the equal variance assumption, this study conducted one-way ANOVA for that variables and another was conducted Scheffe test for post-test.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s dissatisfy the equal variance assumption, it was conducted Welch ANOVA for that variables and conducted with Games-Howell test for post-test. A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ANOVA and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revealed that different characteristics differentiating academic-resilience, social- resilience, and affective-resilience. Summary of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result of distinction analyzing, the academic-resilient group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in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social self-concept, motivation of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of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of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of intrinsic regulation, support of teacher variables, but in the case of academic self-concept and behavioral regulation strategy, the level of resilient group was lower than competent group's and higher than vulnerable group's. The social-resilient group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in motivation of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of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of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of intrinsic regulation, support of teacher, teacher-student relationship variables, but in the case of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academic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behavioral regulation strategy, the level of resilient group was lower than competent group's and higher than vulnerable group's. The affective-resilient group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in motivation of introjected regulation, motivation of identified regulation, motivation of intrinsic regulation, support of teacher, teacher-student relationship variables, but in the case of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and social self-concept, resilient group showed similar level with vulnerable group. Also, level of academic self-concept and behavioral regulation strategy of resilient group was lower than competent group and higher than vulnerable group. Second, the result of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for exploring protective factors that discriminate resilient group and vulnerable group in terms of three specific domain of school adjustment is below. Protective factors of academic-resilient group were academic self-concept, motivation of external regulation,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variables. Protective factors of social-resilient group were social self-concep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behavioral regulation strategy, support of teacher variables. Protective factors of affective-resilient group were motivation of external regula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variables. In conclusion, implication on strategies to prevent and intercept school unadjustment for vulnerable students having same adversity with resilient group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학교생활은 학생의 현재 삶의 주요영역일 뿐만 아니라, 학교적응은 학생의 이후 삶에서의 적응을 예측하는 지표가 되는 발달과업이다. 그렇지만 저소득이라는 학생의 배경이 야기하는 학교부적응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일관되게 입증되어, 저소득층 학생의 학교적응은 교육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저소득이라는 역경을 가진 학생들 ‘모두’가 학교적응에서 부적응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학자들은 개인이 역경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적응을 나타내는 현상을 적응유연성이라 명명하고, 역경의 부정적 영향을 뛰어넘거나 완화하는 보호요인을 탐색하였다. 적응유연성 연구가 지속되면서 학자들은 적응유연성이 다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후 연구에서는 학교에서의 적응을 특정 영역으로 간주하여, 학생이 역경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학교적응을 나타내는 현상을 학교적응유연성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이 학교적응 역시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된 개념이므로, 학생의 ‘삶’의 일부인 학교적응에 실제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학교적응유연성을 세분화하고 각 세부적응영역에서의 보호요인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학교적응유연성을 학업적 적응유연성, 사회적 적응유연성, 정의적 적응유연성으로 세분화 하였다. 이 분류를 바탕으로 학교적응의 각 영역에서 적응유연한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 보호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학교적응의 각 세부영역에서 적응유연집단, 유능집단, 취약집단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저소득이라는 동일한 역경을 가진 두 집단인 적응유연집단과 취약집단을 변별하는 보호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한국교육종단연구의 2차년도 조사 자료이다. 2차년도 조사 자료는 2006년 당시 전국의 중학교 2학년 학생 6,90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중 분석에 사용한 사례는 불성실 답변을 모두 제하고 남은 5,443명의 사례이다. 조사 자료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세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등분산 가정 충족여부에 따라, 등분산 가정을 충족하는 변인에 대해서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 사후검정을, 등분산 가정을 충족하지 않는 변인에 대해서는 Welch 분산분석(Welch ANOVA)과 Games-Howell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적응유연집단과 유능집단을 변별하는 보호요인 분석에는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집단 간 차이검증 결과, 적응유연집단의 특성은 학교적응의 세부 영역에 따라 달랐다. 학업적 적응유연집단은 인지조절전략, 사회적 자아개념, 외적조절동기, 부과된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동기, 내재적 조절동기, 교사지원 변인에 대해서 유능집단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고, 학업적 자아개념과 행동조절전략 수준은 취약집단보다 높고 유능집단보다 낮았다. 사회적 적응유연집단은 외적 조절동기, 부과된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동기, 내재적 조절동기, 교사지원, 교사 학생 관계 변인에 대해서 유능집단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냈고, 인지조절전략, 학업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 행동조절전략 수준은 취약집단보다 높고 유능집단보다 낮았다. 정의적 적응유연집단은 부과된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동기, 내재적 조절동기, 교사지원, 교사 학생 관계 변인에 대해 유능집단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냈고, 인지조절전략과 사회적 자아개념 변인에 대해서 취약집단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정의적 적응유연집단의 학업적 자아개념과 행동조절전략 수준은 취약집단보다 높고 유능집단보다 낮았다. 둘째, 단계적 판별분석결과 적응유연집단과 취약집단을 변별하는 보호요인은 각 적응영역별로 다음과 같다. 학업적 적응유연집단의 보호요인은 학업적 자아개념, 외적조절동기, 인지조절전략 변인이었고, 사회적 적응유연집단의 보호요인은 사회적 자아개념, 교사 학생 관계, 행동조절전략, 교사지원 변인이었다. 정의적 적응유연집단의 보호요인은 외적 조절동기, 교사학생관계 변인이었다. 끝으로, 학업적, 사회적, 정의적 학교적응유연집단의 특성과 보호요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이라는 동일한 위험요인을 가진 취약집단의 학교부적응 예방 및 개입을 위한 시사점을 학교적응의 각 세부영역별로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학교적응유연성 5 1. 적응유연성과 학교적응유연성 5 2. 학교적응유연성 국내 연구 현황 6 3. 학교적응유연성의 세부 구성영역 탐색 12 가. 역경 12 나. 학교적응 세부 구성 영역 13 다. 적응수준과 집단구분 18 라. 학교적응유연성 세부 구성 영역 20 B. 보호요인 변인 탐색 21 1. 인지조절전략 21 2. 자아개념 23 3. 자기결정성 동기 25 4. 행동조절전략 27 5. 교사 28 Ⅲ. 연구방법 30 A. 분석 자료 30 1. 분석 자료의 특징과 표집방법 30 가. 분석자료의 특징 30 나. 표집방법 31 2. 분석 대상 자료 32 가. 2차년도 조사자료 32 나. 연구에 사용한 사례 34 B. 변수구성 35 1. 학교적응유연성 36 가. 역경 36 나. 학교적응 세부 구성영역 37 다. 학교적응 세부 구성영역별 적응수준과 집단구분 38 2. 보호요인 변인 40 가. 인지적 변인 40 나. 정의적 변인 42 다. 행동적 변인 44 라. 환경적 변인 45 C. 분석방법 47 Ⅳ. 연구결과 49 A. 학교적응의 각 영역과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환경적 변인들 간 상관관계 49 B. 학교적응유연집단, 유능집단, 취약집단 간 차이 50 1. 학교적응의 학업적 적응영역 50 2. 학교적응의 사회적 적응영역 53 3. 학교적응의 정의적 적응영역 55 C. 학교적응유연집단과 취약집단을 변별하는 보호요인 57 1. 학교적응의 학업적 적응영역 57 2. 학교적응의 사회적 적응영역 59 3. 학교적응의 정의적 적응영역 61 Ⅴ. 논의 및 결론 63 A. 요약 및 논의 63 1. 학교적응유연집단의 특성 64 가. 학업적 적응유연집단의 특성 65 나. 사회적 적응유연집단의 특성 66 다. 정의적 적응유연집단의 특성 67 2. 학교적응유연집단과 취약집단을 변별하는 보호요인 68 가. 학업적 적응유연집단과 취약집단을 변별하는 보호요인 69 나. 사회적 적응유연집단과 취약집단을 변별하는 보호요인 72 다. 정의적 적응유연집단과 취약집단을 변별하는 보호요인 75 B. 결론 및 제언 77 참 고 문 헌 80 부록-설문지 94 ABSTRACT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374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저소득층 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 보호요인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exploration of protective factors for school-resilience in low-income students-
dc.creator.othernameKim, Hyeon Su-
dc.format.pagexiii,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