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8 Download: 0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 인식이 질병 지각과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 인식이 질병 지각과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Health Campaigns on the Public's Awareness & Behavior regarding Cervical cancer
Authors
고경민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오늘날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은 의료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구구조의 노령화나 식생활의 서구화, 흡연율 증가 및 육체활동의 감소 등 부정적인 요인들이 대두되면서 선진국형 질병구조를 보이고 있다. 다양한 질병 중 암은 단일 질병으로서는 가장 큰 사망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암 중 발생률 뿐 아니라 사망원인에서도 2위를 차지하며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약 4천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선진국에 비해 자궁경부암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이처럼 자궁경부암은 여성 건강에 치명적인 위험 요인이라 할 수 있지만, 정기적인 암검진과 예방백신접종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암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자궁경부암에 대한 여성들의 경각심을 높이고,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다양한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이 전개되고 있다. 효과적인 암 예방 캠페인을 통해 자궁경부암 정기적인 암검진과 예방백신접종 같은 예방행동을 수용하도록 촉구한다면, 향후 여성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Stop CC! 캠페인’, ‘퍼플리본 캠페인’, ‘와이즈우먼 캠페인’)에 전통적으로 예방적 건강행위의 설명과 예측에 많이 사용되어 왔던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을 적용하여 자궁경부암 예방캠페인이 공중의 질병인식과 예방행동을 촉진시키는데 있어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캠페인 인식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캠페인 메시지 유형에 따라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추가로 알아보았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인천에 사는 20대에서 60대에 이르는 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공중의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 인식 수준이 자궁경부암에 대한 5가지 지각적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캠페인 인식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캠페인 수용자는 자기 자신도 자궁경부암에 걸릴 수 있다는 민감성을 크게 지각하고,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을 실천함으로써 얻게 되는 건강상의 이익을 크게 지각하며, 자궁경부암 예방 행동을 스스로 잘 실천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혜택,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캠페인 노출 정도와 메시지 기억 정도를 높일 수 있는 캠페인 전략을 세우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문제 2>에서는 공중의 자궁경부암에 대한 5가지 지각적 요인들이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궁경부암 예방 행동을 스스로 잘 실천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궁경부암의 위험성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이 높을수록 예방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에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심각성을 높일 수 있는 내용들을 포함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문제 3>에서는 공중의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 인식수준이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캠페인 노출수준과 캠페인 메시지 기억수준을 높일 수 있는 캠페인 전략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문제 4>에서는 캠페인 인식수준과 자궁경부암에 대한 5가지 지각적 요인 중 상대적으로 어떠한 변인이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5가지 지각적 요인이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중에서도 자궁경부암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지각된 심각성이 높을수록 예방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5>에서는 메시지유형에 따라 지각적 요인과 예방행동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메시지 프레이밍에 따라 예방행동의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메시지 프레이밍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지각적 요인은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혜택으로, 지각된 심각성이 높게 나타난 메시지 유형은 부정 프레이밍 캠페인 메시지였으며, 지각된 혜택이 높게 나타난 메시지 유형은 긍정 프레이밍 캠페인 메시지였다. 따라서 공중의 지각된 혜택을 높이기 위해서는 긍정 프레이밍 캠페인 메시지가 효과적인 반면, 지각된 심각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정 프레이밍 캠페인 메시지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자궁경부암 예방캠페인 인식 및 메시지유형이 조기 암 검진 및 예방백신접종과 같은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한 것은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의 효과를 증진시키고,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캠페인 전략을 세우는데 있어 이론적 제안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자궁경부암 예방캠페인이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므로, 자궁경부암 예방캠페인의 실제적인 효과를 측정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그리고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을 대표적인 외적 행동단서로 간주하고 이러한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 인식이 자궁경부암에 대한 수용자의 건강신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신념의 변화가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써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을 선행변인으로 하는 건강신념의 매개 역할을 검증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는 캠페인 전개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행동단서의 효과를 검증해보고, 캠페인 방향 및 접근 방법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Nowadays, the importance of health issue is being popular with advanced technology in medical field and it is feasible to prevent various disease. Cervical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death causing disease all over the world among all the other woman’s cancer, and about 4000 patients suffer from cervical disease in Korea every year. Incidence rate of cervical cancer is high compared to other advanced countries in Korea. Although cervical cancer is quite fatal to women’s health, it can be prevented enough with regular check-ups for cancer and HPV vaccine. More women pay attention to cervical cancer in Korea because of this kind of background, and various campaigns for preventing cancer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re being carried out. To encourage taking regular check-ups and HPV vaccine through effective campaigns for cancer prevention can be helpful to future improvement of women’s health greatl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cervical cancer preventing campaigns to public perception or protection for disease would be examined by applying Health Belief Model that was typically used to various campaigns which are being conducted domestically (i.e. ‘Stop CC! Campaign’, ‘Purple Ribbon Campaign’, ‘Wise Women Campaign’) for preventing and forecasting cervical cancer. Also,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prevention for cervical cancer by the type of campaign message or not would be additionally examined to supplement the limits of research which is aiming at understanding.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250 people living in Seoul ranging from the age of 20 to 50. The research findings were analyzed by co-relation analysis,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using SPSS 16.0 Within a theoretical framework of Health Belief Model(HBM), especially centering on the role of health campaigns as a communication cue to action on prevention behavio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ealth campaigns for preventing Cervical cancer on behavioral intention to prevention. In , the effectiveness to five perceptual factors for cervical cancer by the level of perception for public cervical prevention campaigns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bigger the level of campaign perception, the greater the susceptibility campaign targets realize that she might get cervical cancer and self-efficacy they feel that they can get benefits on their health by practicing preventing activities and that they can practice those preventing activities will on their own.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plan campaign strategies that can increase the level of campaign exposure and how much the campaign would impress people in order to improve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and self-efficacy. In < Research question 2>, how five perceptual factors of public cervical cancer affect the intention for cervical cancer preventing actions was mainly understood. Consequently, as self-efficacy that makes one to feel that she can practice preventing actions well and perceived seriousness about the dangers of cervical cancer is bigger, one could be highly intended to prevent for the canc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lude contents that might improve self-efficacy or perceived seriousness to cervical cancer preventing campaigns to increase the intention for cancer preventing actions. In < Research question 3>,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public cervical cancer preventing campaigns to the intention of prevention was covered. The result showed that higher intention to prevent cervical cancer appeared as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preventing campaigns got higher. This means that campaigns’ strategies that could improve the level of campaigns’ exposure and how much the campaigns are memorized by people are needed for stronger intention to prevent cervical cancer. In < Research question 4>, the factors about the level of campaign perception which could give relatively big influence to preventing actions out of five perceptual factor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are five perceptual factors that affect intention to prevent cervical cancer, and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nd seriousness one might have about cervical cancer, stronger intention to prevent cervical cancer could be expected. In < Research question 5>,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perceptual factors and preventing intention as the campaigns’ messages change was studied. As a result, message framing made no difference in the preventing intention, but it affected one’s perceived seriousness and benefits. One’s perceived seriousness and benefits are two perceptual things that message framing could affect, and positive framing campaign message was the one that included the highest perceived benefits.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positive framing campaign message gives better effects to improve perceived benefits in public while negative framing campaign message is more effective to for higher perceived seriousness.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nalyzing how the prevention campaigns are perceived and how their message type affects the preventing actions such as early check-ups and HPV vaccine by applying Health Belief Model is to improve the influence of prevention campaigns. Also, it is meaningful to give theoretical suggestions for making successful campaigns’ strategies. It is also meaningful that practical effects of prevention campaigns could be expected because of empirical analysis about how the cervical cancer prevention campaigns, which are now being performed in Korea, affect the intention to prevent cervical cancer. Furthermore, in this study, prevention campaigns’ role as a medium of health belief and preceding variable was examined by considering prevention campaigns as typical external behavior, understanding how the perception about the campaigns affects one’s health belief to cervical cancer, and studying how the changes in health belief can influence the intention to prevent cervical cancer. This could be useful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cating behavior, build the direction of campaigns, and set the way of approach when developing campaig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