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세경-
dc.contributor.authorMiura Kasumi-
dc.creatorMiura Kasumi-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9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1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94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능동적인 수용자들을 전제로 하는 이용과 충족이론과 해외 영상물의 수용에 있어서 중요한 관점으로 여겨지는 문화 다원주의적 시각에서 일본 시청자들의 한국 드라마 수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능동적인 수용자들이 어떻게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수용하게 되는지의 과정을 설명하는 이용과 충족이론에 입각하여 일본여성 시청자들의 시청동기, 시청행위, 시청만족도를 살펴보는 것을 큰 연구목적으로 삼았다. 먼저 일본 여성 시청자들의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 행위, 만족도를 살펴보고, 시청동기가 행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시청행위가 시청만족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함께 살펴보았다. 또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문화적 근접성과 대상국에 대한 인식을 들을 수 있다. 문화 다원주의 관점에서는 해외 프로그램 수용 원인을 문화적 근접성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문화적 근접성은 수용자들이 문화적으로 가깝게 느껴지는 국가의 콘텐츠를 선호한다는 개념이다. 그 개념을 발전시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드라마 시청자들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고 그것에 따라 한국 드라마 시청행태에 어떤 차이를 보일 것인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한국 드라마 시청자 중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것은 한류 형상의 초기부터 한류 드라마의 주요 수용자 층은 여성이었고, 한국 드라마의 특성인 멜로적 사랑 이야기가 해외에서도 호평을 받았으며 한국 드라마는 “여성의 장르”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 드라마 시청경험이 있는 일본 여성시청자들 223명을 대상으로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 행위,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시청동기는 ‘한국 드라마 질의 우수성',‘배우에 대한 흥미', ‘사회적 영향/환경' 이렇게 총3가지로 도출되었다. 시청행위는 ‘행동형 시청',‘몰입형 시청', ‘기대형 시청', ‘문화적 공감성'의 총 4가지로 나타났고, 시청 만족도는 ‘적극적인 시청의지'와 ‘호의적 평가'의 두 가지로 나타났다. 시청동기가 시청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한국 드라마의 질의 우수성'과 ‘배우에 대한 흥미'요인 두 가지가 영향력이 높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서 일본 여성시청자들은 주변 추천이나 미디어 영향과 같은 사회적 환경/영향에 의한 요인 보다는 드라마 자체의 질이 뛰어나거나 드라마에 나오는 배우들에 대한 관심 때문에 여러 시청행위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시청행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마찬가지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주요한 요인으로 도출된 시청행위는‘행동형 시청' 과 ‘기대형 시청’행위였다. ‘행동형 시청행위’는 한국 드라마 시청을 통해 드라마에 나오는 배우들의 패션이나 옷은 따라하고 싶어 하는 욕구가 생기거나 한국 음식이나 드라마에 나오는 장소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발성하는 행동욕구 등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대형 시청’행위는 한국 드라마 방영을 기다리게 되는 행위, 높은 공감도나 이해도를 포함한 행위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적극적인 시청 행위가 활발한 시청자일수록 시청 후의 시청의지 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았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에 대한 동경이나 기대도가 높아질수록 긍정적인 시청만족도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에 대한 이미지에 따른 시청동기, 행위 만족도 요인 분석에서는 이미지가 좋은 집단부터 상, 중, 하로 3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간의 차이를 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이미지에 따른 시청동기, 행위,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둔 요인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좋을수록 시청동기, 행위, 만족도가 강해진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시청동기, 행위, 만족도간의 밀접한 관계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상황이 활발한 한국과 일본 간에서 일본 여성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시청에 관한 동기, 행위, 만족도 그리고 한국에 이미지에 따른 각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해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 다양한 변인들을 보완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성에 초점을 맞추는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Based on the premise of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s well as foreign media consumption, this research was done to analyze the consumption of Korean dramas by proactive Japanese aud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pluralism. Seating at the heart of this research is the objective to closely observe the viewing incentives/motivation, view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these female audiences by employ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which explains human curiosity as to why people actively seek specific media outlets and contents. First, through monitoring the satisfaction, behavior and incentives of the audiences, behavioral influences on incentive, and effect of satisfaction over behaviors were also reflected. Moreover, it also acts as a major contributing factor in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proximity and partnering countries. Cultural proximity can be defined as preferences made by audiences based on the closeness of one’s own culture with the others. Applying this concept in this research is with the hope to analyz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behaviors of the audiences who first acquired certain images about Korea.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mongst Korean drama viewers in Japan, only female viewers were interviewed. This consideration was made due to the realization that women have been the constant supporters of Korean wave. Starting from the early phase of the Hallyu and all the way today Korean dramas’ avid viewers are dominated by women, and it is well known tha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ramas is its melancholic love stories thus earning it the little moniker describing it as ‘women’s genre. As many as 223 female Japanese viewers who watch Korean dramas were interviewed and conclusive remarks to the surveys are as follows: amongst the answers given to viewing motivation are, ‘excellent drama quality’, ‘interest and passion toward the actor’ and ‘social environment/influence’. As for viewing behavior, 4 key factors can be found which are, ‘behavioral pattern of viewing’, ‘immersive viewing’, ‘anticipative viewing’ and ‘cultural empathy’, while 2 were discovered for viewing satisfaction namely, ‘proactive viewing will’ and favorable rating’. The influence of viewing behavior towards viewing motivatio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indicating ‘excellent drama quality’ and ‘passion towards the actor’ as 2 of the main influences. This, rather than through social environment/influence such as recommendations from her surroundings or media influence, quality of the drama or interest in whose acting in the said drama are said to be the dominant viewing behavior among Japanese women. Furthermore, in respect of the impact of satisfaction on viewing behavior 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2 major viewing behaviors were discovered, ‘behavioral pattern of viewing’ and ‘anticipative viewing. ‘Behavioral pattern of viewing’ is described as desire to either act and to follow the actors from the drama, whether in terms of fashion style or choice of wardrobes, or interests towards the food that appears during the scenes or venues where the drama took place. With the inclusion of all the above criterions, such behavior can be described as ‘anticipative viewing’ where high degrees of understanding and empathy while expecting for the drama to air. Such proactive behavior is said to be determined by the vivaciousness of the audience as the more active the viewer, the influence will become higher, and positive assessments towards the program were also discovered. In other words, higher expectations lead to positive and affirmed viewer satisfaction. And in a research related to Korea’s image, using motiv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as factors analysis, 3 groups were created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3 groups. Variations were discovered to exist in all primary factors, as the better the Korean image gets, it also signifies the stronger the motivation, behavior as well as th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safe to conclude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image of Korea and motiv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is closely interlinked and related to each other. Results from this research on cross-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Japan and Korea and Japan’s female viewers have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as well as 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with regards to the image of Korea. Wider and richer variables shall be included to achieve fuller and more focused correlations for future research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문제제기 1 II. 이론적 논의 5 A. 일본 내 한류 5 1. 한류의 정의와 변화 5 2. 일본 관련 한류연구 7 B. 이용과 충족이론 15 C. 해외영상물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8 1. 문화적 근접성 18 2. 드라마 수용자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 24 III. 연구모델 및 연구문제 28 IV. 연구방법 29 A. 연구 설계 및 설문지의 구성 29 B. 주요 변인의 정의 29 1. 시청동기 29 2. 시청행위 30 3. 시청만족도 31 4. 한국에 대한 이미지 31 5. 인구통계학적 변인 32 C. 자료의 수집 및 분석 32 1. 조사 대상 표집 및 조사 방법 32 2. 측정 항목의 신뢰성 검중 33 3. 자료의 분석방법 34 V. 연구 결과 35 A. 응답자의 한국 드라마 시청행태 35 1. 시청기간 35 2. 시청량과 시청빈도 36 3. 시청 시간대 37 4. 주요 시청매체 38 5. 선호 장르 39 B. 일본 여성시청자들의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 40 1. 한국 드라마의 질의 우수성 42 2. 배우에 대한 흥미 42 3. 사회적 영향/ 환경 42 C. 일본 여성시청자들의 한국 드라마 시청행위 43 1. 행동형 시청 45 2. 몰입형 시청 45 3. 기대형 시청 45 4. 문화적 공감성 46 D. 일본 여성시청자들의 한국 드라마 시청만족도 46 1. 적극적인 시청의지 47 2. 호의적 평가 48 E.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행위 48 1.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가 행동형 시청에 미치는 영향 48 2.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가 몰입형 시청에 미치는 영향 49 3.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가 기대형 시청에 미치는 영향 51 4.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가 문화적 공감성에 미치는 영향 52 F. 한국 드라마 시청행위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만족도 53 1. 한국 드라마 시청행위가 적극적인 시청의지에 미치는 영향 53 2. 한국 드라마 시청행위가 호의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54 G. 한국에 대한 이미지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행태 55 1. 한국에 대한 이미지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동기 56 2. 한국에 대한 이미지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행위 57 3. 한국에 대한 이미지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만족도 58 VI. 결론 59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59 B.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 63 참고 문헌 64 부록 74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89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본 여성 수용자들의 한국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이용동기, 행위, 만족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n Japanese females’Korean drama consumption: based on motiv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as prime determinants.-
dc.creator.othername미우라 카스미-
dc.format.pagevi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