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9 Download: 0

ICT를 활용한 정간보 지도 방안 연구

Title
ICT를 활용한 정간보 지도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uidance of Chongganbo with ICT
Authors
김미정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근주
Abstract
세종대왕이 창안한 정간보는 동양최초의 유량악보로써 지금까지도 한국음악을 연주하거나 노래 부를 때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정간보의 학습내용이 학습자의 수준보다 전문적이어서 많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 국어를 배울 때 한글을 사용하듯이 국악을 배울 때는 국악의 기본적인 기보 체계인 정간보를 사용해야 하는데 서양 음악의 기보 체계인 오선보를 사용하여 국악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ICT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정간보 학습 지도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CT를 활용한 음악수업 지도 방안 연구와 정간보를 적용한 국악수업 지도 방안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함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구체적인 내용 및 방향을 설정하였고, 문헌연구를 통해 ICT의 기본적인 이론적 개념과 정간보 교육의 필요성, 정간보의 개념, 읽는 방법을 살펴봄으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정간보가 수록 된 총 7종의 중학교 2학년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정간보로 수록된 국악곡과 오선보로 수록된 국악곡을 분석하고 정간보로 수록된 국악곡은 어떠한 활동이 이루어졌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악곡은 정간보가 아닌 오선보로 수록된 경우가 많았다. 정간보가 적용된 활동은 정간보 이해하기, 정간보 보고 악기 연주하기, 정간보 보고 노래부르기로 구분 할 수 있었다. 분석한 것을 토대로 2차시의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1차시는 ‘정간보 이해하기’를 중심으로 정간보의 구성, 정간보 읽는 방법을 민요 풍년가를 제재곡으로 지도안을 개발하였고, 2차시는 ‘정간보를 읽고 단소 연주하기’를 중심으로 정간보에 쓰이는 꾸밈음을 이해하고 단소 연주에 적용하는 것을 민요 밀양 아리랑을 제재곡으로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학습 지도안의 정간보는 '정간보MFC14-1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작하여 기존의 방법보다 쉽게 제작하였다. 지도안의 타당성과 신뢰도,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 등을 중학교 현직교사 7명에게 검증을 의뢰하였다. 그 결과, 제재곡의 선정과 수업에 활용 된 ICT의 적절성, 학습자의 흥미 유도, 실제 수업에서 실현 가능성에서 높다는 평가와 시각적 자료와 청각적 자료를 적절히 사용하여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1차시 학습 지도안의 구성내용이나 시간 배분에 비교적 낮은 평가를 받았다. 실제 수업에 적용한 교사는 두 명이었지만 두 명의 국악전공 교사들이 본 학습 지도안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해주어 실제 수업에 적용 시키더라도 실현 가능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개발된 지도안은 학생들이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정간보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국악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정간보의 개념과 읽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정간보에 대한 효과적인 수업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Cheongganbo - invented by Great King Sejong - is the first mensural notation in the East and still mainly to be used when playing and singing Korean music. However, Chongganbo is not applied many times because of it is too professional to be used on educational site. When learners learn Gukak, they should use Cheongganbo - as like learning Korean with Hangul - but they learn with staff which is the West notation system.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ive guidance of Cheongganbo with ICT.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study, to set the study's implication, detail and aim with precedent studies were considered in related to music class guidance with ICT and Gukak class guidance with Chongganbo. And, through the documentary study sets theoretical bass with that, they are a basically theoretical background of ICT, a necessity of learning Chongganbo, a concept of Chongganbo and a reading method of it. Also, for studying effective guidance, analyzed 7 kind of music textbooks - the second grade's middle school - that Gukak is published in either, Cheongganbo or staff notation. And whish activities are contained in Cheongganbo published textbooks.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re were many cases that Gukakis published by staff notation, not Chongganbo. Activities applied by Chongganbo would be divided into 3 parts, understanding Chongganbo, playing instrument with Chongganbo and singing with Chongganbo. Based on the analysis, the second guidance is developed. In the first guidance is developed about 'Understanding Chongganbo' with folk songPoongnyunga, under the contents of Chongganbo's organization and Chongganbo's reading method. In the second, guidance was developedabout ?Reading Chongganbo and Playing danso' with folk song Milyang Arirang, under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grace note used in Chongganbo and applying it to play danso. In the guidance, Chongganbo is made by MFC14-14, which means easy way to make before. For the guidance of rationality, reliability and feasibilityin actual education site, etc. this guidance was examined by 7 teachers teach in middle schools. The developed guidance is meaningful because Chongganbo could not be understood easily by students, but the guidance can make them help to understand easily and effectively, through the various media. Also, Chongganbo's concept and reading method are actively used as the guidance is applied to in actual Kukak classes. In addition, this guidance is expected that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material about Chongganb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