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중등 음악교과 블록타임제 활용에 대한 조사 연구

Title
중등 음악교과 블록타임제 활용에 대한 조사 연구
Other Titles
Investigation on Block Scheduling in the Music Curriculum of Middle School : Based on Revised Curriculums in 2009
Authors
김영주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희선
Abstract
블록타임제란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 도입하게 된 것으로 주당 1~2시간 분산되어 운영되던 교과목 수업을 2시간 이상씩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서 수업하는 운영방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 교과 블록타임제 운영을 중심으로 블록타임제의 개념과 필요성을 고찰하고 블록타임제 수업 운영 실태에 따른 효과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블록타임제에 의한 음악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블록타임제 음악수업에 대한 반응과 만족도를 살펴보고 음악 교사와의 개인면담을 통하여 수업 운영에 따른 효과와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송파구 소재의 G중학교 1학년 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블록타임제에 의한 수업 경험이 있는 음악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수업 운영 현황에 대하여 개인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록타임제 시행에 대해 학생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4교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수업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든 학년에 걸쳐 음악수업을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블록타임제에 의한 수업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각 영역별로 집중도와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수업참여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업집중도, 수업이해도, 수업참여도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교사와의 개인면담 결과 블록타임제는 대부분 가창이나 기악과 같은 실기 위주의 수업과 활동영역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블록타임제의 시행에 따른 음악교과의 긍정적 요소는 이해영역과 실기영역의 연장 수업이 가능하다는 점과 이해영역의 심도 있는 수업, 다양한 교수 방법, 학생활동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업시간 편성의 어려움과 블록타임제에 적용할 교수-학습 방법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교사들은 블록타임제가 음악교과 전문성 신장에 기여할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블록타임제에 맞는 음악 교과서와 다양한 학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개선방안으로 느끼고 있었다. 위의 조사된 블록타임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자면, 교과 내용에 맞는 다양한 악기의 구비와 음악실 구조개선이 필요하고 다양한 교수법의 개발과 교사 연수를 통한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맞는 교과서 개발 및 음악 교과의 시수가 충분히 확보가 되어야만 블록타임제에 의한 음악 수업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Blcok scheduling is a type of academic scheduling system in which seperately managed class for one or two hours per week turns into a class with one block for two or more hours, and which has been introduced after curriculum had been revised in 200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and need of block scheduling in the music classes of middle school, based on music curriculums which has been revised in 2009. The study also is to investigat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block scheduling so a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on improvement in block scheduling of music curriculums.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7th graders to find whether they are satisfied with music classes on block scheduling. Further, this study also provid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teaching under block scheduling by interviewing experienced music teachers, so a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on improvement in block scheduling. This survey has been participated with 162 students who attend 7th grade of G Middle School, located in Songpa-gu, Seoul. Further, Interviews were made to 4 music teachers who have been utilizing the block scheduling in their clas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rvey showed that students showed positive perceptions on block scheduling and the most preferred block scheduling was four classes per day and many wished to take music classes in all grade. The survey about satisfaction of the class on block scheduling showed increased concentration and understanding for each area and as well as increased preference of the music class. Therefore, it brought positive impact on the class participation. Also,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ass concentration, class understanding and class participation, I found that these three area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ve strong correlation. Based on the interview with the teachers, I found that the block scheduling is mostly used for practical-oriented and activity classes such as vocal or instrument. In addition, the positive elements of music class on block scheduling are the possibility of classes with extended understanding and practical, in-depth class with greater understanding, and a variety of teaching method and activity focused classes for students. On the other hands, the negative elements were difficulty of organizing the schedule and lack of teaching-learning method for block scheduling.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block scheduling will contribute on development of music teacher professionalism and is acknowledging the need of development of textbook and a variety of learning materials for block scheduling as the method of improvement. The suggestions to improve the problems of block scheduling found in the research are as follow; There are in need of appropriate musical instruments for diverse and musical activity, and music room having better condition. And also, there is in need of developing diverse teaching method and sharing it with other teachers during teacher training. Also, the music classes on block scheduling will be more effective once the development of textbook suitable to the revised curriculum and security of teaching hours of music class are d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