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8 Download: 0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 (2009년 개정)의 내용 개선방안 연구

Title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 (2009년 개정)의 내용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Content Improvement of High School 『East Asia History』 Textbook (Revision in 2009)
Authors
윤동하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인영
Abstract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동아시아의 근대를 가르칠 때 반드시 들어가야 할 내용요소 중에 러일전쟁이 있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은 열강과 함께 제국주의국가의 반열로,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로, 중국은 반식민지를 겪게 되었다. 그 역사적 전환점에 러일전쟁이 있다. 러일전쟁에 대한 이해는 당시의 국제정황과 아시아 정세에 대한 이해로 현재의 동아시아의 갈등을 이해하는데 좋은 매개가 된다. 그러나 유의해야 할 것은 러일전쟁은 각국이 처한 상황에 따라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가 다른 사건이라는 것이다. 그래서『동아시아사』에서 다루어지는 러일전쟁에 대한 교과서 서술은 더욱 중요하다. 각국의 이해가 객관적으로 잘 반영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동아시아사』교과서 에서 서술된 러일전쟁에 주목하였다. 본고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교과서 분석과 개선안 모색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기본적인 검토를 진행하였다. 고등학교『동아시아사』내용체계를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2012년 개정된 내용을 검토한 후 일본과 중국의『통사』·『근현대사』및『동아시아근현대사』와『미래를 여는 역사』, 그리고 국내의 연구 성과를 러일전쟁의 원인과 러일전쟁의 경과 및 결과, 러일전쟁의 성격과 의의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두 번째, 검토된 내용을 바탕으로 교과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러일전쟁 서술은 비교적 각국의 이해가 객관적인 사실을 중심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한국사』에서의 피해위주의 서술과는 차이를 둔 서술이다. 또한 러일전쟁을 서구열강의 이권다툼이 개입된 국제전이라는 연구 성과 등이 잘 반영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한국사』내용과 겹치지 않으면서『동아시아사』만이 가질 수 있는 영역을 잘 보여주었다. 그러나 객관적 서술과 관계중심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난 서술을 지향하다 보니 중요한 역사적 사실의 성격이 희석될 수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주제식 구성의 특성상 주제에 맞추어 러일전쟁과 관련된 내용을 나누어 다루다 보니 러일전쟁의 내용에 대한 유기적 이해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009년 개정 고등학교『동아시아사』교과서의 러일전쟁과 관련된 내용을 수정·보완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선방안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 모형안은 텍스트 서술뿐만 아니라 러일전쟁과 관련된 사료와 지도를 제시하였고, 학생들이 생각해 볼 수 있는 탐구활동도 포함하였다. 서술내용의 개선은 러일전쟁의 원인에서 러시아의 만주점령사건을 강조하여 일본의 침략의도가 희석된 부분을 개선하였고, 경과 및 결과에서 포츠머스 조약체결 과정의 배상금관련 내용을 추가로 서술하여 러일전쟁의 승리가 일본의 완전한 승리로 비춰지지 않도록 서술하였다. 또한 성격 및 의의에서는 삼국이 러일전쟁을 전환점으로 다른 길로 가게 되는 모습이 나타나게 서술하였다. 일본의 제국주의 강화에 대해 서술하는 반면 아시아 연대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제시하여 현재 동아시아 갈등상황에 대한 이해와 일등국가가 아닌 아시아연대로의 필요성을 생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동아시아사』에서 러일전쟁을 가르칠 때 각국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관계사적인 이해와 한국사를 벗어난 동아시아지역의 공통의 역사인식의 토대를 마련하여, 학생들이 이를 통해 현재의 동아시아 갈등상황에 대한 이해와 더 나아가 동아시아의 평화와 연대를 지향하는 ‘동아시아인으로서의’ 사고가 확장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The Content which should be included when teaching modern East Asia history to high school students is Russo-Japanese War. After the war, Japanese entered ranks of imperialist countries with world powers, Korea became colony of Japan and Chinese became semicolonial state. At the historical turning point, there was Russo-Japanese War. Understanding about Russo-Japanese War is the understanding about international situation and Asia circumstances at that time and can be good media to understand present East Asia conflict. But it should pay attention that Russo-Japanese War is the incident with different understanding about historical facts depending on situations faced by each country. Hence the description about Russo-Japanese War in East Asia History textbook is more important. It is because understanding of each country should be objectively reflected. Hence, this study was focused on Russo-Japanes War described in 『East Asia History』textbook.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At first, basic review was performed to provide theoretical basis for textbook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search. Unit objectives and content structure presented in introductory textbooks about cause, progress, results, characters and meaning of Russo-Japanese War, research results of domestic academia, education course revised in 2009 and that revised again in 2012 were reviewed. At second,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reviewed contents. As the analysis results, it was known that description of Russo-Japanese War was centered on comparatively objective facts of understanding on each country. This is the description differentiated from damages focused description in existing 『Korea History』. Also, the research performance that Russo-Japanese War was international war intervened by fight for privileges of Western Power was confirmed to be well reflected. It showed the area which only East Asia History can have not overlapped with contents of Korea History. But since it was oriented to description occurring in the interaction at the center of objective fact and relations, it showed that nature of important historical fact can be waned. And since contents related to Russo-Japanese War were introduced adjusting to topics in the nature of theme composition, organic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Russo-Japanese War was difficult. Hence, this study prepared improvement plan for revising and supplementing contents related to Russo-Japanese War in high school 『East Asia History』 textbook revised in 2009. Finally, Model eye for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A textbook type model was suggested in order to revise and supplement such problems. In the improved model, not only text description but historical records and map related to Russo-Japanese War was presented and inquiry activities thinkable by students were also included. In description content improvement, dilution of invasion intention was improved as emphasizing Manchuria occupation incident by Russia as the cause for Russo-Japanese War and it was described that victory of Russo-Japanese War was not considered as the complete victory of Japan as additionally describing contents related to reparations during signing of the Treaty of Portsmouth in processes and results. Also, in characters and meaning, it was described to show the situations that three countries moved other directions respectively at the turning point of Russo-Japanese War. It was to understand current conflicts in East Asia and to think the necessity of Asia solidarity not by the first country as not only describing imperialism enhancement by Japan but also provid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inkable for necessity of Asia solidarity.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ing current conflicts of East Asia and further extending thoughts as East Asian orienting peace and solidarity of East Asia, as preparing the base of relatival understanding by interaction with each country and common historical cognition of East Asia area beyond Korea History when teaching Russo-Japanese War in East Asia History through this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