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6 Download: 0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을 활용한 교수적 지원이 통합된 중학교 장애학생의 과학과 수업참여행동 및 수행평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을 활용한 교수적 지원이 통합된 중학교 장애학생의 과학과 수업참여행동 및 수행평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Supports with SDLMI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c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uthors
정정은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There is no surprise to see sever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room. According to the annual report for special education of 2011,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room is increasing more and more, the recent 70.1% of them has been placed in local school classroom. However, the quality of growth is not totally guaranteed while inclusive educational system is growing statistically. Approaching to the gener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be more accomplish into instructional inclusion and academic education in the boundaries. Even worse, although there are lots of activities that they have got some of appropriate instructional supports, many of them are ignored or isolated in the general classroom due to learned helpless or teacher’s ignorance. Science class in middle school has performed many experiments so students are able to interact with all classmates rather than other formal lecture.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been chosen the science class, a researcher has done instructional supports to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in the middle school with SDLMI,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tructive supports with SDLMI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belonged to the special classroom in the public middle schools in Seoul. The setting of this study was in the local school, specifically in general classroom, laboratory and resource room of the schools. This study was us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s a single subject research. It has taken through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period for 3 participants. Effects of generalization of intervention were also examined in other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as below; First, the performance assessment score on science of 3 participants was zero. However, it had been surprisingly improved during intervention, comparing with the baseline score. Furthermore, the objective of 2 participants was completed through goal achievement scale. Second,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3 participants was improved after intervention. All the participants were participated in more than 90% of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in the last 2 weeks and it was also still maintained 2 weeks later after intervention was over. In addition, both students’ performance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in science class were generalized into other subject area.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instructional supports with SDLMI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middle school. This study has proved that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ould be able to enhance their potential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academic engagement in class along with achieving their goals by using various student-directed instructional strategies.;일반 중․ 고등학교 교실에서 장애학생을 만나는 것은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2011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에 의하면 일반학교에 배치된 장애학생은 해를 거듭할수록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 전체 특수교육 대상자 중 70.1%가 일반학교에 배치되어 있다고 한다. 이렇게 통합교육은 양적으로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지만 질적인 성장은 그만큼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같은 교실에서 수업을 받는 물리적 통합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일반교육과정에 접근하여 공동의 교육적 틀 안에서 교육받는 교육과정적 통합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적절한 교수적 지원이 있으면 충분히 참여할 수 있는 활동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무관심 혹은 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으로 통합된 장애학생들이 일반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교실 안에서 방치되고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중학교 과학수업은 일방적인 지식 전달이 주가 되는 강의식 수업보다는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와 학생 상호간의 협동이 주가 되는 실험 위주로 이루어지기에 장애학생들도 충분히 참여할 수 있는 교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과를 선택하여, 학생의 학업성취, 과제 완수, 의사소통 기술 수행률, 일반교육과정 접근과 수업참여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을 활용한 교수적 지원을 실시하여 통합된 중학교 장애학생들의 과학과 수행평가 성취도와 수업참여행동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시내 공립중학교 특수학급에 소속되어 있는 특수교육 대상자 3명이며, 실험은 연구 참여자가 소속되어 있는 학교의 일반교실, 과학실 및 개별학습실에서 실시되었다. 실험은 단일대상연구방법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3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실시되었고, 일반화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기간동안 A학생은 영어시간에, B와 C학생은 도덕시간에 수업참여행동과 수행평가 성취도의 향상 여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연구참여자 모두 SDLMI를 활용한 교수적 지원 중재를 시작한 이후, 수업참여행동이 기초선 구간보다 향상하였고, 중재 종료 직후 마지막 2회기에서는 세 명의 연구참여자 모두 90% 이상의 높은 수업참여행동 발생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중재 종료 2주 후, 수업참여행동을 측정한 결과 세 학생 모두 기초선 구간보다 높은 수업참여행동 발생률을 보여 중재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를 위해 측정한 다른 과목의 수업참여행동도 세 명 모두 기초선 구간에 비해 향상하였으며, 이는 중재 종료 2주 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 명의 연구참여자 모두 SDLMI를 활용한 교수적 지원 실시 전에는 과학과 수행평가 점수가 0점이었는데, 중재 기간동안 실시된 과학과 수행평가에서는 모두 점수가 향상하였으며, 일반화를 위해 측정된 다른 과목의 수행평가 점수도 모두 중재 실시 전보다 향상하였다. 또한 목표도달척도(GAS)를 통해 연구참여자 본인이 스스로 세운 수행평가 점수 목표에도 2명의 학생이 도달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SDLMI를 활용한 교수적 지원이 중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과학과 수업참여행동과 수행평가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된 장애학생들이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잠재력이 발현되고, 기존의 교사 주도적 학습전략이 아닌 학생 주도적인 학습전략의 활용으로 통합된 장애 학생들의 일반학급에서의 수업참여행동 및 수행평가 성취도의 향상을 가져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