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김수미-
dc.creator김수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0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5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사회적 기술에 어려움을 보이는 지적장애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하여 사회적 기술을 중재함으로써 지적장애 근로자들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천시 세 곳의 공공 도서관에 통합 고용되어 있는 지적장애 근로자 세 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초선 단계에는 근로자들이 보이는 적절한 사회적 행동과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 수행율을 측정하였고, 중재 기간에는 연구 참여자가 배치된 고용환경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10가지 사회적 기술을 직장생활가이드북을 사용하여 자기관리전략을 교수하였다. 중재 종료 4주 후에는 중재 효과가 유지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하에 유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사회적 기술 중재를 통하여 세 명의 지적장애 근로자의 적절한 사회적 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사회적 기술 중재를 통하여 세 명의 지적장애 근로자의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이 감소하였다. 셋째,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사회적 기술 중재를 통하여 증가된 사회적 행동은 두 명의 연구 참여 근로자의 경우, 중재 시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지만, 나머지 한 근로자의 경우에는 기초선 보다는 높지만 중재수준까지 유지되지 못하였다. 넷째,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사회적 기술 중재를 통하여 감소된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은 2명의 연구 참여 근로자의 경우, 중재 시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지만, 나머지 한 근로자의 경우에는 기초선 보다는 낮지만 중재수준까지 유지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사회적 기술 중재는 통합고용환경에 있는 지적장애 근로자의 직장 내 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고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유용한 전략임을 알 수 있다. 지적장애 근로자가 직장생활을 영위해나가는 데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스스로 교수하고 점검하고 평가하여 강화하는 자기관리전략은 지적 장애 근로자들의 직장생활적응 뿐만 아니라 능동적인 직장생활의 태도에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 본 연구는, 지적장애 근로자의 내적 동기를 강화시켜 바람직한 직장생활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수적 한 방법을 제시했다는 데에 그 의의를 가질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kill intervention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on social behaviors of three library employe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ee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little social skills required in the work pla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in supported employment working four days a week, eight hours a da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assess the changes in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social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in the work place. First, social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on duty were measured for baseline data. During intervention sessions, social skill intervention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were implemented to the participants while their social behaviors were measured.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4 weeks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kills intervention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increased the appropriate social behaviors of three employe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social skills intervention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decreased the inappropriate social behaviors of three employe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after the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 increased appropriate social behaviors of the two participants were maintained while the other's decreased to the level slightly lower than in intervention period. Fourth, after the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 decreased inappropriate social behaviors of the two participants were maintained while the other's increased to the level slightly higher than in intervention period.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e that social skills intervention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are useful for increasing appropriate social behaviors and decreasing inappropriate social behaviors of employe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tegrated employment setting. This result suggests that self-management strategies can help employe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tter adapt to their work places and positively change their work attitu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6 C.용어 정의 7 II.이론적 배경 8 A.고용환경에서의 지적장애인의 사회적 기술 8 B.지적장애인의 사회적 기술 교수를 위한 전략 13 C.지적장애인을 위한 자기관리전략 적용 효과 21 III.연구 방법 28 A.연구 참여자 28 B.실험 기간 31 C.실험환경 및 실험도구 31 D.실험설계 및 실험절차 35 E.관찰 및 측정 41 F.관찰자간 신뢰도 43 G.사회적 타당도 44 V.연구결과 46 A.적절한 사회적 행동 수행율 증가 46 B.부적절한 사회적 행동 수행율 감소 49 C.적절한 사회적 행동 증가와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 감소의 유지 50 VI.논의 및 제언 52 A.논의 52 B.제한점 59 C.제언 59 참고문헌 61 부록 79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735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사회적 기술 중재가 공공 도서관의 지적장애 근로자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ocial Skill Intervention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on Social Behaviors of Public Library Employe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Kim, Su Me-
dc.format.pagev,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