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아동의 문제행동과 초등교사의 소진

Title
아동의 문제행동과 초등교사의 소진
Other Titles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Mediated effect of Teacher Efficacy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소진의 원인 중 역할갈등 측면에서 교사가 학생들을 지도할 때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 중의 하나인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성별과 업무부담은 아동의 행동 중 문제행동이라고 지각하게 되는 교사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문제행동,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소진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문제행동과 교사 소진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는지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소재한 7개의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3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교사효능감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 아동의 문제행동 척도, 교사 근무부담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관계분석, One-way ANOVA,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 변인으로 설정한 성별, 업무 부담 중 성별은 세가지 주요변인인 아동의 문제행동,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중 교사효능감 부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변인 중의 하나로 설정한 업무부담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사효능감간의 차이는 여러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여교사의 비율이 남교사에 비해 훨씬 높아 남녀를 구분한 통계치가 무의미하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남녀를 합한 통계치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통제변인으로 처음에 설정한 성별과 업무부담 중 성별을 제외한 업무부담만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고 3가지 주요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문제행동, 교사효능감, 심지적 소진, 업무부담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먼저,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문제행동은 교사효능감과는 부적 상관을 심리적 소진과 업무 부담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교사효능감은 심리적 소진, 업무부담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심리적 소진은 업무부담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문제행동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동의 문제행동이 심리적 소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매개변수인 교사효능감을 통해 매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업무 부담 인식을 통제한 후에도 아동의 문제행동은 교사효능감을 통해 직접적으로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가 함의하는 것은 교사의 직무 효능감을 높여준다면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 지도시 경험하게 되는 교사들의 심리적 박탈감 및 무기력 등의 소진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h lead to burnout of teachers due to children' behavior problem, one of the stress teachers undergo when they lead the students, in terms of role conflict, one of the causes of burnout of teacher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gender and the work load affect the teachers' recognition, perceived behavior problems of the children's behavior. Then, it investigated what is the relation amo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perceived by teac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fficacy and burnout, and whether children's behavior problems perceived by teacher and teacher's burnout have mediated effect of teacher 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Teacher efficacy scale, psychological burnout scale, children' behavior problem scale, and teachers' work load scale are used as a measurement to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the control variable was different in the motive for only teacher efficacy amo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perceived by teac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fficacy and burnout. And, it wasn't different in the motive for the work load, one of the control variable. The difference of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 gender doesn't show consistent results in several previous studies, and female teacher ratio is much higher than male teachers in this study. Because of these reasons, it's meaningless to separate the gender. So in this study, only work load was set up as control variable, though the gender and the work load were set up as control variable at first, and a correlation with three main variable was studied. Second,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perceived by teac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fficacy and teacher's burnout, all three varial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First, children's behavior problems perceived by teacher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eacher's efficacy, on the other hand i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s burnout and a work loadhad. Teacher's efficac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eacher's burnout and a work load. And, teacher's burnou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work load. Third, teacher's efficacy betwee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perceived by teacher and teacher's burnout had a perfect mediating effect. Children's behavior problems didn't affect teacher's burnout directly, and had a mediating effect through teacher's efficacy. Also, children's behavior problems had a direct influence on teacher's burnout through teacher's efficacy even after controling teacher's work load.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considered helpful for reduing teacher's burnout teachers undergo when they lead the troubled students, to raise teacher's effic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