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과제가치의 과제실제성과 학습성과 간의 매개역할 규명

Title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과제가치의 과제실제성과 학습성과 간의 매개역할 규명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Task-Value on the Predictibility of Learning Effect about Task Authenticity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Authors
허보라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명희
Abstract
학습자가 단순히 정보를 전달받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 정보화 사회는 학습자에게 스스로 정보를 조합하고 이를 재구성하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점차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구성주의 기반 학습 환경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여러 교육환경에서 이의 일원으로 문제제기부터 산출물 생성까지 학습자의 주도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학습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 학습은 웹이라는 네트워크 매체와 결부되어 학습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자유로이 얻을 수 있고, 언제 어디서든 동료 학습자, 그리고 교수자와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학습공간으로 만들어지면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이라는 하나의 교수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에게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세부적인 방법을 알려주는 일 방향적인 학습 방법이 아닌, 실제적이면서도 학습할 가치가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수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학습을 이끌어 나가는 쌍방향적인 학습방법이다. 즉, 학습자들은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학습에 대한 주인의식을 지니고, 보다 심도 있는 지식을 체득할 수 있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점을 살려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어떠한 전략과 요소, 그리고 노력이 필요한지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성과를 학습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으로 상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 과제실제성을, 과제실제성과 학습 성과의 매개변인으로 과제가치를 상정하였다. 학습 성과를 학습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으로 선정한 이유는, 학습몰입은 웹 기반 환경에 있어 학습능력 신장에 영향을 주며(Hackbarth, 1997), 학습에 대한 높은 만족도는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김나영, 2009), 또한 학습지속의향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방해가 되는 주변 요인들을 물리치고 학습에 대한 인내와 집중력을 나타내어(Corno, 1989), 학습을 보다 성공적으로 이끌어주기 때문이다. 독립변인으로 선정한 과제실제성은 단순히 습득을 위한 지식이 아닌 실제 활용을 위한 지식의 습득이 강조되고 있는 현 사회에 있어 프로젝트 학습에 보다 몰입할 수 있도록 만든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과제실제성에 대한 많은 이론적 연구에 비해(Lombardi, 2007; Reeves, Herrington, & Oliver, 2002; Woo & Reeves, 2007), 과제실제성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드물어, 본 연구에서 이에 대한 실증연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매개변인으로 선정한 과제가치의 경우 자신과 무관한 내용이 아닌 보다 가치 있는 과제를 부여받을 경우 프로젝트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역설할 수 있다. 학습자가 인지하는 과제가치는 과제실제성에 의해 향상될 수 있고 높아진 과제가치는 학습의 성과를 높이며 과제실제성과 학습 성과 사이의 매개변인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강명희, 윤희정 외, 2008), 이에 대한 결과가 일관적이지 않아 본 연구에서 이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 있어 과제실제성과 과제가치가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성과와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과제실제성이 과제가치를 매개로 하여 학습 성과를 예측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웹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적인 교수설계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과제실제성이 학습몰입을 예측하는데 과제가치가 매개역할을 하는가? 2.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과제실제성이 만족도를 예측하는데 과제가치가 매개역할을 하는가? 3.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과제실제성이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데 과제가치가 매개역할을 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소재 E 대학교에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으로 진행되는 과목을 수강하는 학부생 4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과목은 주 1회의 면대면 수업을 제외하고는 과제 수행에 필요한 자료와 산출물 공유가 사이버 캠퍼스를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15주 동안 총 3단계에 걸쳐 하나의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프로젝트에 대한 과제실제성, 과제가치, 학습몰입은 프로젝트 마지막 단계가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고, 프로젝트가 마무리 된 그 다음 주에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한 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와 이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과제실제성이 학습몰입을 예측하는데 있어 과제가치가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함에 있어 학습자가 느끼는 과제의 실제성이 높을 경우 학습자의 과제에 대한 가치가 높아지게 되고, 높아진 과제가치는 학습몰입 향상을 이끌어 낸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 상황 내에서 학습자들이 직접 문제를 선택하고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 있는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학습 과정은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선택하고 수행해 나가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과제를 보다 가치 있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 주었으며, 이에 따라 학습에의 몰입도가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둘째,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과제실제성이 만족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과제가치가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제가 실제적으로 제공되었을 때 학습자들이 느끼는 과제에 대한 가치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만족도는 이후의 수업에 있어 동일한 교수방법이나 매체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준거를 마련해주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차후의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 있어서도 학습자들이 과제실제성과 과제가치를 높게 인식하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과제실제성이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데 있어 과제가치가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경우 당시의 성과보다는 훗날 사회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이전에 필요한 사전적 경험을 체득해 본다는 점에 의의가 있는 만큼, 학습자들의 지속적인 학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과제실제성과 과제가치가 학습지속의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의 제한점을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한 수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대상이 모두 여성이었다. 그러나 수업의 내용구성이나 진행방식에 따라 남성과 여성이 느끼는 만족도와 효과성 인식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므로 이후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도출되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는 것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는 비교적 적은 수의 인원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는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차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인원수를 확보하여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Unlike the past in which students were just given information, current information society wants students to get an ability of collating and restructuring information. In this way, constructivism-based learning environment which focuses on learner has get an attention. And various education environments are implementing project learning that whole learning process from raising the problem to making product is conducted from students. Associated with network media like Web, project learning is used as web-based project learning from which learners get information, and communicate with peer learners or teachers anywhere and whenever they want. Web-based project learning is not an one-way learning method that teaches the learners about specific way for reaching purpose, but a two-way learning method that provides the learners with the environment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teachers for solving the practical and worthful problem. Thus learners get ownership about learning and obtain in-depth knowledge through Web-based learning. With these merits, in this paper, we discuss about what strategies and effort are needed for making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successful is needed. Thus in this study we examined learning flow,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s variables of the outcomes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and task authentic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ask value as a mediating variable. The reason why this study examined learning flow,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s variables of the outcomes is as following. Learning flow affects growing learning ability in the Web-based learning(Hackbarth, 1997), high satisfaction about learning leads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 and students with high learning persistence overcome obstacles and show patience and concentration about learning. Task authenticity which is set as independent variable is important in the current society, because nowadays getting knowledge is important for utilization, not for just studying. But in comparison with loads of theoretical studies(Lombardi, 2007; Reeves, Herrington, & Oliver, 2002; Woo & Reeves, 2007), there are few practical studies about affection of task authenticity to the learning outcome. So in this study, we wanted to do the practical examination about this. Task value as mediating variable is important because when students get a worthful task rather than an unrelated task, they can be more active in project learning. Task value which students recognize can be increased by task authenticity, and therefore can be a mediating variable that raises learning outcomes(강명희, 윤희정 외, 2008). But result about this is not consistent, so we wanted to examine about this 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with outcomes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and task authenticity and task value, and whether task authenticity predicts learning outcomes with task value as a mediating variabl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 about strategies and instructional design plan for raising the effect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The specific study problems are as follows. 1. Does task value mediate between task authenticity and learning flow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2. Does task value mediate between task authenticity and satisfaction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3. Does task value mediate between task authenticity and learning persistence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For investigating above, data was collected from 41 students who attended the class progressed in a web-based project learning in E university. Except one face-to-face class in a week, all the materials, products, and outputs for the class are shared in the cyber campus. For 15 weeks, a project were implemented through three steps. Task authenticity, task value, and learning flow were measured in the last stage of the project. In the next week,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measured. With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were conducted. For verifying the study problems, the mediating method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was us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task valu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ask authenticity and learning flow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It means that when the task provided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is authentic, learners's perceived task value is increased, and it affects the learning flow. That is, in the situation that is set up for doing project learning, students choose a problem by themselves, and make a product through communication. Through this learning method, students can feel the task more worthful. And it leads their flow to the learning. Second, task valu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ask authenticity and satisfaction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It means that when the task provided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is authentic, task value that learners perceived is increased, and it affects the satisfaction. Since satisfaction offers standard about whether using same teaching methods or material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recognize high task authenticity and task value. Third, task valu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ask authenticity and learning persistence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The ultimate purpose of the project learning is to learn experience needed for work in the future beforehand, not to get a good score in the project. So, letting the learners learn previous experience continuously is very important. Through this study's result, it can be verified that task authenticity and task value affect the learning persistence. so, for learners, keeping their attention about the project learning is needed. Based on the limitations in this study,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study were made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particular people in a particular class. And all member is a female students. But depending on the content composition or way of progress,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effect of can be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Therefore, in the follow-up study, we need to examine whe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how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x. Second,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a small number of learners. This can be a limitation for generalization of study. Therefore, in the follow-up study, it is needed to proceed study with more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