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행동조절능력의 미래핵심역량과 고등학생 국어성취도 간의 매개효과

Title
행동조절능력의 미래핵심역량과 고등학생 국어성취도 간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s of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between Future Core Competencies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uthors
박소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명희
Abstract
It is suggested that schools should provide coursework in which future core competencies can be nurtured as much as possible such that students are well prepared to meet the need of future society. In particular, it is effective to develop and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ies in conjunction with their coursework since most students are spending their time and effort in the classroom to follow coursework. The Korean language is one of the subjects in which core competencies can be developed effectively in conjunction with curriculum. It is possible that Korean language course may play an important role to nurture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since competencies associated with Korean language course have similar context in terms of cognitive and affective, socio-cultural aspects. It means that attending Korean language course can forster the core competencies needed to survive in the future society in addition to learn Korean language course content. Meanwhile, the affective, socio-cultural competence of future core competencies are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effects, but it is worthwhile to note that only these psychological factors can explain successful achievements. In other words, internal factors such as cognition, motivation play roles for setting goals and being motivated to learn, the behavioral regulation factors can play roles to control factors that interfere with learning and manage resources efficiently to reach the actual goal of the learner. Discussions about students' behavior and willingness were initiated by researchers from the perspective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beginning, research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was focused on the cognitive and motivational aspects, but some researchers proposed that these cognitive and motivational factors could not be a sufficient condition to explain academic performance and began to take note the importance of behavioral regulation factors. Especially behavioral control competence factors can not be ignored in a future society since the online games, improper internet information, various media can play decisive role to interfere with the learner's learning. In this study, we want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nd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and identify whether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y, a variable for learning process, mediates between future core competencies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es the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cognitive competence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2. Does the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affective competence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3. Does the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socio-cultural competence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e 10th grade girls students at S high school in Daej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out any excluded students and the number of participated students was 212. Learners' cognitive, affective, socio-cultural,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was measured 1 week before the national academic assessment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fter data collection and data entry were finished. After all the data was collected, the data was input to perform statistical processing and analyses, with the criterion of significance level set at .05. For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a mediating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Judd and Kenny(1981)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competence, one of future core competencies, explaine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nd the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played a mediating role for the cognitive competence in explaining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e result that the cognitive competence can explai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means that Korean language achievement may have relationship with the cognitive competence and that the cognitive competencies such as information managing ability, knowledge construc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can be enhanced by Korean language course. It is conjectured that the effects will be enhanced if learning strategies and plans which promote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are employed for the nurturing of cognitive competence in Korean language course. It was found that the affective competence, one of future core competencies, explaine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nd the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played a mediating role for the affective competence in explaining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e result that the affective competence can explai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means that Korean language achievement may have relationship with the affective competence and that the affective competencies such as self-value, self-identity, self-direction, self-accountability can be enhanced by Korean language course. It may be effective if learning strategies for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such as action control, academic time management and help seeking, etc are employed for the nurturing of affective competence in Korean language course. It was found that the socio-cultural competence, one of future core competencies, explaine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nd the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played a mediating role for the socio-cultural competence in explaining Korean language achievement.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socio-cultural competence can explai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means that Korean language achievement may have relationship with the socio-cultural competence and that the socio-cultural competencies such as social fulfillment, social membership, social receptivity, socialization ability can be enforced by Korean language course. The enforcing process may be supported by the behavioral regulation competence by which internal and external impeding activities can be controlled and limited time managed effectively and help requested for learning.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future core competencies can explai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From the results, three implicated views can be drawn. First, it shows the direction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curriculum.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USA (P21 hereafter), proposed that life skills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with core subjects. It may be conclud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reflects the flow of a new era and a future-oriented stance. Second, a possibility was found that the learner's future core competencies can be developed with Korean language achievement, by identify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re competencie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behavior regulation competence play a mediating role for cognitive, emotional, social and cultural competency in explaining Korean language achievement, various strategies and measures for behavioral competencies in Korean language course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reading activity in addition to other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can be employed to strengthen the cognitive competence. The cognitive competence to use and organize information, and solve the problem is closely relat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skills how to read and understand contents. Typically, reading in Korean language course is primarily focused on the training of reading methods and skills for a given text. If the text is not limited to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but extended to the other areas such as math or social studies, science, foreign languages etc, it may be possible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as well in-depth understanding of other areas. For this, new strategy and teaching plan which pre-select requisite textbook and sentences for Korean language course, and utilize short sentences in teaching subjects and promote practical reading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self-expressive writing activities can be employed to develop affective competence, one of future core competencie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Unlike other types of writing, self-expressive writing is a private, personal writing without any restrictions from types and customs. It has been reported that self-expressive writing where students can express their experiences and feelings about objects or events can contribute the development of positive emotions Especially, high school students may experience in school and at home a variety of problems and stress due to family problems, relationship with friends, etc. Self-expressive writing can be useful activities by which students can reflect on the problems and sum up their feelings and thoughts. Third, socio-cultural competence can be enforced by cooperative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meaningful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since learning objectives can be achieved effectively by cooperative learning and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obtainable from cooperative learning are the primary goa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can cultivate socio-cultural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negotiation and coordination skill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ocio-cultural competence can explain th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In addition, cooperative learning is expected to bring synergy effects in nurturing socio-cultural competence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if cooperative learning is applied as a lesson strategy. Fourth, learning planner is a learning aid tool for learners to plan learning activities systematically and to adjust plans. It is known as a study planner or a study diary which has been developed and utilized typically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planner provides opportunities for enough practice and it can be used under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not only for specific subjects and it is possible to create and modify plans at anytime and anywhere. Real experts in various fields were found to use time and effort management strategies such as creating a daily diary or setting aside the time to do certain activities. The learning planner can be used as a learning aid tool to strengthen the behavior regulation competence of high school students by which students can reflect their own behavior and manage their time and effort. Meanwhil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chosen for this study and analyzed to identify explanatory power of the future core competency 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However, more empirical researches are necessary to conclude that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can explai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since high school language school curriculum may not represent the entire Korean language curriculum. Secon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high school girl students who had ranked in their academic grades within upper 50% in their middle schools.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that the girls high school belongs to one of good high schools in Daejon, where academic accomplishment level of the learners ranged from mid to high range. In general, girls tend to value interactions between people and to be affected by emotional aspects than boys do. Therefore, it may be meaningful to check empiricall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in subsequent studies depending on student’s level and gender. Third, this study used the Korean language assessment grades obtained from the National Coalition of Education Achievement. Even though the assessment covered all five Korean language course areas, the number of questions per area was not equal. This poses a possibility that some areas of Korean language course areas can act significantly in explaining the results of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us, it is suggested that questions for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ssessment should be categorized into five Korean language course areas and identify its relationship with the future core competencies.;미래핵심인재를 양성하고 있는 학교와 교사는 사회의 변화 흐름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학습자들에게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최대한 배양시켜 나갈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 학습자들의 경우 대부분의 시간과 노력을 학교에서 교과 학습을 하는데 소요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교과 학습과 결합하여 미래핵심역량을 배양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2009). 다양한 교과목 중에서 내용학습과 미래핵심역량 배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교과안에서 모두 실천하고 있는 과목이 국어일 것이다. 국어교과에서 다루고 있는 화법, 독서, 작문, 문법, 문학은 학습자의 인지, 감성, 사회문화역량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국어과에서 초점을 두고 있는 학습자 역량은 미래핵심역량과도 유사한 맥락을 나타낸다(고춘화, 2010; 김슬옹, 2003; 임칠성, 2010; 최숙기, 2007; Kang, Heo, Jo, Shin, & Seo, 2010). 이러한 양상은 곧 학습자들이 미래핵심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별도의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국어과의 교과 목표를 성실히 이행하는 과정에서 미래핵심역량까지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미래핵심역량과 국어교과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알기 위해, 미래핵심역량인 인지, 감성, 사회문화역량과 국어성취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한편, 미래핵심역량의 인지, 감성, 사회문화역량은 학습자 내부의 심리적 작용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과제 목표에 도달하는 것이 이러한 심리적 요인으로만 설명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Kahl, 1985). 즉, 인지, 동기와 같은 내부적 요인들이 어떠한 목표를 정하고 학습동기를 유발하기까지의 과정이라면, 실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의지를 가지고 스스로 방해가 되는 요인들을 통제하고, 주어진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해 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학습자의 행동과 의지에 관한 논의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초기의 자기조절학습 연구는 주로, 인지, 동기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나, 일부 연구자들은 이러한 인지, 동기적 요인들만으로 학업성과를 설명하는데 충분조건이 될 수 없음을 제기하면서, 새롭게 행동조절능력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무분별한 인터넷 정보나 온라인 게임, 각종 매체들이 학습의 방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학습자가 자신의 행동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는 행동조절능력이 더욱 중요해졌다(윤명희, 김진화, 2007; P21, 2009).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핵심역량과 국어성취도의 관계를 확인하고, 학습과정 변인인 행동조절능력이 미래핵심역량과 국어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행동조절능력은 학습자의 미래핵심역량인 인지역량과 국어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가? 2. 행동조절능력은 학습자의 미래핵심역량인 감성역량과 국어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가? 3. 행동조절역량은 학습자의 미래핵심역량인 사회문화역량과 국어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전에 위치한 S여자고등학교 1학년 6개 학급 212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제외인원 없이 총 212명이 최종 연구에 참여하였다. 미래핵심역량인 인지, 감성, 사회문화역량과 매개변인인 행동조절능력을 측정하였으며, 1주일 후에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문제인 행동조절역량의 인지, 감성, 사회문화역량과 국어성취도 간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Judd와 Kenny(1981)의 매개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으며, 연구 결과와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핵심역량인 인지역량은 국어성취도를 설명하고, 행동조절능력은 인지역량과 국어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미래핵심역량인 인지역량이 국어성취도를 설명한다는 결과는 두 가지로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는 학습자의 인지역량 수준이 국어성취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즉, 학습자의 인지역량이 뛰어날수록 국어성취도도 역시 높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둘째는 국어과 교육과정은 정보수집, 지식활용 및 구성, 문제해결능력과 같은 학습자의 인지역량과 맞물린 국어 활동으로 이뤄져 있으며, 나아가 학습자의 인지역량 배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소연희, 2008; 이도영, 2010; 조재윤, 2011; 최병흔, 2003). 또한 행동조절능력은 인지역량이 국어성취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인지역량과 행동조절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결과로(김정환, 2008; 김희수, 2008), 학습자는 인지역량이 높을수록 능숙하게 정보를 활용 및 구성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학업성과도 높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어교과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내적 요인인 인지역량과 함께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의지와 관련된 행동조절능력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미래핵심역량인 감성역량은 국어성취도를 설명하고, 감성역량과 국어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행동조절능력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미래핵심능력인 감성역량이 국어성취도를 설명한다는 결과는 학습자의 감성역량 수준이 국어성취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국어과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감성역량과 맞물린 국어 활동으로 짜여있음을 의미한다(김슬옹, 2003; 유은종, 김희수, 2006; 최숙기, 2007; 김명석, 2012). 또한 감성역량이 국어성취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행동조절능력이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가 자기정체성과 가치관, 주도성, 책무성의 긍정적 감성역량을 갖추고 있을수록 자기통제를 잘하며, 시간을 계획적으로 관리하며, 난제에 부딪혔을 경우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하는 행동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어학습에서 학습자의 감성역량을 높여주기 위한 방안과 함께 행동조절능력을 위한 전략이 적용될 필요성을 제기하는 바이다. 셋째, 미래핵심역량인 사회문화역량은 국어성취도를 설명하고, 행동조절능력은 사회문화역량과 국어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핵심능력인 사회문화역량이 국어성취도를 설명한다는 결과는 학습자의 사회문화역량 수준이 높을수록 국어성취도 역시 높게 나타난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국어과 교육과정은 사회적 소속감, 수용력, 사회화 능력, 사회적 실행력 등의 사회문화역량과 연관된 국어 활동으로 이뤄져 있으며, 현 국어과의 영역에서 학습자의 사회문화역량 향상이라는 목표를 어느 정도 적절하게 수행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사회문화역량의 국어성취도에 대해 갖는 매개효과는 기존의 연구들을 지지하고 있다(김미경, 2007; 소연희, 2008; 조항, 2004). 즉, 사회문화역량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그룹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협력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노력하며,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불필요한 행동을 통제하고 시간을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는 등의 적극적인 행동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조대연, 2005; Nah, 1999). 이에 따라 국어교과에서는 학습자의 사회문화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연구함과 동시에 학습자 행동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고 관리하는 등의 행동조절능력을 위한 전략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미래핵심역량과 행동조절능력, 국어성취도와의 관계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이 나아가고 있는 방향성에 관한 점이다. 최근 미국의 P21에서는 21세기 사회에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교과목들을 제시하면서, 각 과목들은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생애 핵심기술과 통합하여 더 높은 수준에서 학문적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논의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고등학교 국어교육 역시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고 있으며, 향후 이를 더 높여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미래핵심역량인 인지, 감성, 사회문화역량과 맞물린 국어활동으로 짜여 있다는 것이다. 즉, 학습자들은 국어학습을 함으로써, 교과 내용을 숙달할 뿐 아니라, 미래핵심역량까지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셋째, 미래핵심역량인 인지, 감성, 사회문화역량이 국어성취도를 설명하는데 있어 학습과정 변인인 행동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공적인 학업성과를 이루려면 학습자 내적인 특성 요인 뿐 아니라, 학습과정 변인들이 심도 있게 다뤄져야 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학습과정 변인으로 상정한 행동조절능력은 실제적인 목표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의지와 행동을 포함하는 변인으로 학업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행동통제, 학업시간관리, 도움구하기 등을 지원하는 다양한 행동조절전략들이 교과학습에서 모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국어교과를 학습함으로써 미래핵심역량이 배양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 있어 행동조절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과에서 미래핵심역량인 인지, 감성, 사회문화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과 행동조절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국어교과에서 학습자의 미래핵심역량인 인지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들이 다양하게 제기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독서’ 영역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정보를 활용하고 구성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인지역량은 글을 얼마나 잘 읽고 이해하는가의 독해력, 곧 독서능력과 직결되기 때문이다(김창원, 2009; 이경화, 2005). 일반적으로 국어 시간에 이루어지는 독서교육은 비교적 짧은 지문을 바탕으로 글을 읽는 방법과 기술을 익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이경화, 2005). 이 때 활용하는 텍스트를 교과서에 수록된 짧은 분량의 지문의 범주에 제한하지 않고, 다른 교과와 관련된 도서들이나 지문들을 활용한다면 국어교과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독해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다양한 교과 내용의 심층적인 이해까지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최근 주목 받고 있는 학습독서(reading to learn)로, 교과와 관련된 다양한 도서들을 읽음으로써 교과내용의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식기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활용능력이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박수자, 2005; 송기호, 2007; 신병식, 2001). 이처럼 독서수업에서 활용하는 자료나 지문의 범위를 확대하여 다른 교과목 등에 도움이 될만한 도서를 선정하여 활용한다면, 국어교과에서 학습한 읽기 및 이해 전략(learning to read)들을 보다 확장된 텍스트 안에서 훈련할 수 있는 기회를 획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육을 위해 인위적으로 집필된 텍스트가 줄 수 없는 폭넓은 지식과 정보를 구축해 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국어교과에서 학습자의 미래핵심역량인 감성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기 표현적 글쓰기(expressive writing)를 적용해 볼 수 있다. 자기 표현적 글쓰기는 다른 유형의 글쓰기와 달리 보다 사적이고, 개인적이며, 글쓰기의 형식이나 관습의 규제를 거의 받지 않는 가운데, 자신의 경험 및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감정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서술하는 글쓰기를 말한다. 이러한 자기 표현적 글쓰기는 학습자의 긍정적 정서 발달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영희, 2010; 김화선, 2006; 정기철, 2010; 최숙기, 2007).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가족과의 문제, 교우 관계의 문제, 이성 관계의 문제 등 학교와 가정에서 다양한 문제와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는 시기이다. 이 때 자기 표현적 쓰기를 수행하면서 문제에 대해 스스로 고민해보고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정리해 보면서 성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활동이라 볼 수 있다. 셋째, 사회문화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협동학습을 들 수 있다. 협동학습은 국어교과에서 더욱 의미가 있는데, 이는 협동학습을 통해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협동학습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곧 국어교육의 핵심적인 목표이기 때문이다(임칠성, 2003). 협동학습은 동시 상호작용과 동등한 참여, 긍정적인 상호작용, 개인책무성을 기본 원리로 하면서, 단순히 과제 수행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존중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익히고 배울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협동학습은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 협동적인 문제해결능력, 협상과 조정능력 등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습자의 미래핵심역량인 사회문화역량을 배양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이경화, 2005; 이재승, 정필우, 2003). 넷째, 학습자의 행동조절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학습플래너(learning planner) 활용을 들 수 있다. 학습플래너란,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학습활동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조절하기 위해 활용하는 학습 보조 도구로, 일반적으로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터디 플래너, 스터디 다이어리라는 이름으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것을 말한다(도재우, 양용칠, 2011). 학습플래너는 충분한 연습 기회를 제공하고 특정한 교과목이 아닌 다양한 학습상황에서 활용이 가능하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든지 자유롭게 작성과 수정이 가능하다. 실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은 매일 다이어리를 작성하거나 특정한 활동을 하는 시간을 정해 놓는 등의 노력과 시간 관리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재우, 양용칠, 2011; Zimmerman, 1998). 이처럼 학습플래너는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관찰할 수 있게 하고, 시간과 노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학습 보조 도구로, 본 연구의 대상인 고등학생들의 행동조절능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미래핵심역량이 국어교과를 설명하는가를 규명하는데 있어,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선택하여 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이 국어교과 전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미래핵심역량이 국어교과를 설명한다는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실증적 연구들이 요구되는 바이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인 S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은 중학교 성적 상위 50%에서 선발된 학생이었고, 모두 여학생이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학습자 수준이 중상위권에 속해있다는 점과 여학생만을 대상으로 삼았다는 맥락 하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상호작용을 중시하며 감성적 측면에 많은 영향을 받는 등 남성과는 구분되는 경향성이 있기 때문이다(Palonen, & Hakkarainen, 2000; Peltz, 1990).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학습자 수준과 성별에 따라 미래핵심역량의 설명력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의 국어성취도 결과로 사용한 전국연합학력평가는, 화법, 작문, 독서, 문법, 문학의 전 영역을 다루고는 있으나, 영역 당 출제 문항의 수가 동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았다. 이는 국어성취도 결과를 설명하는데 있어 일부 영역의 성격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국어성취도의 측정 문항들을 화법, 작문, 독서, 문법, 문학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과 미래핵심역량과의 관계성을 규명해 볼 것을 제언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