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점토활동에 나타난 영아의 표상과 도구 사용 방법의 미시발생적(microgenetic) 변화

Title
점토활동에 나타난 영아의 표상과 도구 사용 방법의 미시발생적(microgenetic) 변화
Other Titles
The Microgenetic Changes in Young children's Representation and Using tools in Clay ctivities
Authors
한영주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1. 점토 활동에 나타난 만2세 학급 영아의 표상 변화 양상과 다양성은 어떠한가? 1-1. 영아가 나타내는 표상의 수는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1-2. 영아가 나타내는 표상의 변화 경로는 어떠한가? 1-3. 영아가 나타내는 표상의 변화 속도는 어떠한가? 2. 점토 활동에 나타난 만2세 학급 영아의 도구 사용 방법 변화 양상과 다양성은 어떠한가? 2-1. 영아의 도구 사용 방법의 수는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2-2. 영아의 도구 사용 방법의 변화 경로는 어떠한가? 2-3. 영아의 도구 사용 방법의 변화 속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W어린이 연구원에 다니고 있는 만2세 학급 영아 9명이다. 영아들이 점토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표상과 도구 사용 방법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색점토와 점토활동 도구를 제시하였고, 한 영아 당 참여 시간을 200분으로 적용하였다. 점토활동에 나타나는 변화의 측면을 알아보기 위하여 Flynn과 Siegler(2007)가 제시한 다섯 가지 측면을 번안, 수정하고 유아교육전문가 1인의 검증을 받아 관찰에 사용하였다. 영아들의 표상 변화 양상 및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해 Wolf와 Perry(1988), Lowenfeld와 Brittain(1982), Golomb(2004), Piaget(1967, 1969), Wittmer와 Peterson(2011)의 연구를 참고하여 정교성, 사실성, 표현성, 의도성이라는 네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영아들의 도구 사용 방법 변화 양상 및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해 김희진·김언아·홍희란(2004b), Wittmer와 Peterson(2011)의 연구를 참고로 도구 사용 범주를 정리하고, 유아교육전문가 1인의 검증을 받아 사용하였다. 만2세 학급 영아 2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여 활동 시간 및 장소의 적합성과 자료 및 제시 방법의 적절성, 관찰 대상 영아의 적정 수 등을 알아보고 수정하였다. 본 연구는 영아들이 연속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오전과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동일한 색점토와 점토 도구를 제시하였다. 매 관찰마다 영아들의 활동을 기록하고 비디오 촬영하여 활동 직후 전사한 부분과 촬영한 내용을 비교, 대조 하였다. 각 영아별로 표상의 수와, 네 가지 측면에서의 변화 경로, 표상의 변화 속도를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각 영아가 보여주는 도구 사용 방법의 수와 변화 경로, 변화 속도를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상의 수와 속도는 개인 간 차이가 뚜렷하였고, 일부 영아에게서 개인 내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대상 영아의 절반 이상이 활동 시간 경과에 따라 표상의 수가 증가하였다. 표상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영아들이 특정 범주의 표상을 반복하고, 표상 수 증가에 따라 표상이 속하는 종류의 수와 범위도 확대되었다. 또한, 표상의 내용이 구체화 되었으며, 영아마다 변화 양상이 다양하였다. 표상의 수와 속도 간에는 일관성 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표상의 변화 경로는 정교성, 사실성, 표현성, 의도성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영아들은 점토활동을 통해 일관성 있는 변화를 보여주거나 점차 발전하였으며 점차 후퇴하는 변화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영아들은 점토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점차 발전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표상의 네 가지 변화 경로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었다. 표상의 변화 경로 역시 개인 간 차이가 개인 내 차이보다 크게 나타났다. 셋째, 도구 사용 방법의 수와 속도는 개인 간 차이가 분명하였고, 몇몇 영아에게서 개인 내 차이도 나타났다. 대상 영아들 모두 시간 경과에 따라 많은 수의 도구 사용 방법을 보여주었다. 도구 사용 방법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영아마다 도구 사용 방법의 내용이 각기 달랐으며, 선호하는 특정 유형을 빈번하게 나타냈다. 도구 사용 방법의 변화 속도 역시 개인 간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도구 사용 방법 수와 속도는 일관성 있게 변화하지 않았다. 넷째, 도구 사용 방법의 변화 경로는 영아 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영아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방법을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영아에 따라 사용 방법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사용 목적에도 차이가 있었다. 일부 영아의 경우 개인 내에서도 도구 사용의 방법과 목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다. 연구를 통해 동일한 활동에 참여한 영아들의 개인 간, 개인 내 차이가 매우 다양하며, 교사 및 성인이 영아들의 미세한 변화를 포착하여 그에 적합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microgenetic changes in how to use a tool and the representation appeared by young children in their clay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were identified. 1. How does young children's representation appear in clay activity? 1-1. How does the number of representation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line? 1-2. How does the path of young children's representation change? 1-3. How often does the young children's representation change? 2. How does young children's way to use tools appear in clay activity? 2-1. How does the number of way to use tools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line? 2-2. How does the path of young children's way to use tools change? 2-3. How often does the young children's way to use tools chan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9 children in a 2 and 3-year-old children class at W Children Institute located in Seoul city. To look into the changes in how to use tools and the representation appeared by the young children in their clay activities, the color clay and clay activities tools were presented and 200 minutes were given per child as the participation time. To find out the aspects of changes in the clay activities, the adaptation and modification were made on the five aspects suggested by Flynn and Siegler(2007) and then verified by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 in order to be applied to the observation. To look into the variability and the changes in young children's representation, the researches by Wolf and Perry(1988), Lowenfeld and Brittain(1982), Golomb(2004), Piaget(1967, 1969), Wittmer and Peterson(2011) were referred and then divided into four aspects: Accuracy, Reality, Expression and Intention. To find out the variability and the changes in young children's way to use tools, the research by Kim Hee-jin, Kim Un-A, & Hong Hee-Ran (2004b) and that by Wittmer and Peterson(2011) were referred to classify the using tools categories, and then verified by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 in order to be applied to this study.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performed with the subjects, two 2-year-old children to find out the suitability of activity time and place; the appropriacy of data and proposal method; the adequate number of young children as the subject, and then the modification was made on such results. In this study, the same color clay and clay tools were given in the free choice activity time in the morning and the day time, so that the young children would be involved in the continuous activity. At every observation case, the young children's activities were recorded and video taped in order to compare between the tapes and the transferred parts immediately after such activities. The record and the analysis were made on the path of changes and the rate of change in representation from four aspects, as well as the number of representation cases per child. The number of the way to use tools, the path in changes and the rate of changes were also recorded and analyzed, as shown by each chil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each individual clearly showed discrete difference in the number and the rate of representation, with the difference inside an individual observed in some young children. More than half of the young children showed the increased number of representations as more activity time has passed. From the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representation, the young children repeated the representation in the particular category, and the number and the scope of representation types also expanded as the number of representation increased. In addition, the contents of representation became more concrete with the variability in the changes per young child. There was no consistent change between the number and the rate of representation. Second, the path of changes in representation was looked into from the four aspects of accuracy, reality, expression and intention. The young children showed consistent changes or gradual development through the clay activities or sometimes, showed gradually regressed changes. Most of the you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clay activities continuously, showing gradually improved aspects. It was found that the four paths of changes in representation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 path of change in representation also showed greater difference in inter-individual rather than that in intra-individual. Third, there was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s in the number and the rate of way to use tools, with the difference intra-individual in some young children as well. All the subject young children showed more number of way to use tools as more time has passed.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divided types of way to use tools, every young child had different way to use tools, with the frequent preferred particular type per young child. The rate of changes in the way to use tools was also different between the individuals, while the number and the rate of the way to use tools did not show consistent changes. Fourth, the path of changes in the way to use tools showed the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young children. The young children frequently used their own preferred methods. Also in the case of using the same tool, every young child was different in how to use the tool and in the purpose of use as well. Some young children had the purpose and the way to use tools changed by the time line even intra-individual.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pretty variabl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individual and the intra-individual among the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ame activities, and it is important that the teachers and the adults capture and understand the minute changes of young children and then provide proper suppo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