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3 Download: 0

Effects of Teacher Feedback Utilization Practices on Korean EFL Learners’ Revision and Writing Development

Title
Effects of Teacher Feedback Utilization Practices on Korean EFL Learners’ Revision and Writing Development
Other Titles
교사 피드백 활용 연습이 한국 학생의 영어 작문 수정과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박성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acher feedback utilization practices on Korean EFL learners’ revision and writing development in L2. The participants were 55 female Korean college students of three intact classes in a freshmen English course and they were assigned into a control and two experimental groups. One experimental group was involved in teacher feedback utilization practices accompanied by teacher-student conferencing (conference group).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collaborative teacher feedback utilization practices (collaboration group). Throughout five phases of teacher feedback utilization practices, the participants practiced revising short sample sentences, short sample paragraphs, and their own email writings based on teacher feedback and completed four email writings. The revised drafts of Writings 1 and 4 served as a pre- and post-test in order to explore the impacts of practice types and learners’ L2 writing proficiency levels on the learners’ utilization of teacher feedback and L2 writing ability. Audio-recordings of peer interactions during collaborative revision were coded and analyzed to investigate what types of collaborative activities the learners employed and their impacts on the learners’ utilization of teacher feedback. The responses of pre- and post-questionnaires were also analyzed to examine learners’ perception of teacher feedback utilization practices after the practices.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 feedback utilization practices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utilization of teacher feedback. The benefits of conferencing and collaborative revision were more noticeable on incorporation ratio of teacher feedback on content, organization, and vocabulary. The effects of the practices were more apparent on successful incorporation of teacher feedback on content and vocabulary of the collaboration group. The more proficient learners more successfully utilized teacher feedback in their revision. The learners’ writing scores improved in most scoring dimensions after the practices. The effects of the practices were most considerable in the collaboration group, followed by the conferenc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less proficient learners of the collaboration group made more distinctive improvement than any other learners of the study. Data taken from the peer interactions of the collaboration illustrated that collaboration activities affected the learners’ utilization of teacher feedback. Respecting the other’s authorship and perspective and dynamic interaction seemed to be very crucial in successful revision. Especially, using L1 facilitated generating ideas and finding appropriate expressions and providing scaffolding and collaboration facilitated successful revisions on grammatical errors. The learners’ perception of teacher feedback became more positive after the practices. The conference group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eacher feedback than any other group. All three practice groups viewed their lack of L2 knowledge as difficulties they faced in revision and building grammar knowledge as benefits of teacher feedback utilization practic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onferencing and collaborative revision had beneficial effects on the L2 learners’ utilization of teacher feedback and their writing development by providing and receiving scaffolding from the peers or the teacher. Therefore, they could provide a practical pedagogical method to help the L2 learners understand and utilize teacher feedback better.;본 연구는 교사 피드백 활용 수정 연습이 한국 EFL 학습자의 교사 피드백 활용과 영어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교양 영어 수업을 듣는 55명의 여자 대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하나의 통제 집단과 두 개의 실험 집단으로 나누었다. 각 집단의 학습자들은 사전 영어 작문 점수에 따라 다시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로 나누어졌고, 실험은 한 학기 동안 진행되었다. 두 개의 실험 집단 중 한 집단(교사 면담 집단)은 교사 피드백과 더불어 교사와의 면담을 통한 교사 피드백 활용 연습을 하였고, 나머지 실험 집단(동료 협동 집단)은 동료 학생들과 함께 교사 피드백을 활용하여 집단으로 수정하는 연습을 하였다. 학습자들은 한 학기 동안 4개의 이메일을 작성한 후 이를 수정하여 제출하였다. 다섯 단계로 이루어진 교사 피드백 활용 연습 기간 동안 학습자들은 작문 수정에 있어서 교사 피드백의 역할과 종류에 대해 배우고, 교사가 교사 피드백을 활용하여 문장, 단락을 수정하는 것을 관찰한 후, 수업 시간에 교사 피드백을 가지고 문장, 단락을 수정하는 연습을 하였다. 교사 피드백 활용 연습을 하기 전 학생들은 교사 피드백을 활용하여 이메일을 한 번 수정하였고(사전 시험), 활용 연습 후 세 개의 이메일을 더 작성하고 교사 피드백을 활용하여 수정하였다. 실험 이전과 이후에 교사 피드백의 유용성이나 교사 피드백 활용 연습의 효과에 관한 설문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분석을 위하여, 연구 대상 학생들의 이메일 초고와 교사 피드백을 활용한 수정본, 동료 학생들과의 협동 수정의 과정을 녹음한 음성 자료를 통하여 교사 피드백 활용 연습 유형이 학습자의 교사 피드백 활용 정도와 성공적인 활용, 쓰기 능력, 활용 연습에 관한 학습자의 견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영향이 연구 대상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에 따라 달라지는지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세 집단의 학습자들은 교사 피드백을 88% 정도 활용하였다. 전반적으로 교사 면담 및 동료 협동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활용도가 약간 높은 편이었지만,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어휘 활용에서만 나타났다. 이는 교사 면담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어휘에 관한 교사 피드백을 더 많이 활용하였기 때문이었다. 영어 쓰기 능력 상위 집단이 전반적으로 하위 집단보다 교사 피드백을 더 많이 활용하여 수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모든 교사 피드백 영역에서 상하위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구성 측면에서 연습 유형과 쓰기 능력간의 상호 작용이 나타났다. 이는 교사 면담 집단의 상하위 학생들은 모두 구성에 관한 교사 피드백을 100% 활용한 반면, 동료 협동 집단은 하위 집단만, 통제 집단은 상위 집단만 구성에 관한 피드백을 많이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교사 피드백 활용 성공도 측면에서 연구 대상 학습자들은 교사 피드백 활용 연습 이후 76% 정도 성공적으로 교사 피드백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 협동 연습 집단이 다소 더 성공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통계 분석 결과, 내용과 어휘에 관한 교사 피드백을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성공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 협동 집단 학습자들은 자신들에게 부족한 어휘 능력이나 아이디어 생성 측면에서 동료 학습자의 도움을 받아 이러한 측면에 관한 교사 피드백을 더 성공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보여, 연구 결과는 동료 협동을 통한 교사 피드백 활용 연습의 유용성을 시사하고 있다. 영어 쓰기 능력 상하위 집단간에는 문법 피드백 활용 성공도 측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상위 집단 학생들이 더 성공적으로 활용을 했기 때문이었다. 교사 피드백을 활용한 이메일 수정 연습 후 전반적으로 연습 유형별 집단의 모두 학습자들은 영어 이메일 쓰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료 협동 집단이 총점과 구두점/철자 측면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어휘 측면에서는 교사 면담 집단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습 유형과 영어 쓰기 능력간에 유의한 상호 작용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동료 협동 집단의 하위 학습자들이 타 집단의 상하위 학습자들보다 더 많은 점수 향상도를 보여, 동료 협동을 통한 교사 피드백 활용 연습이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이메일 작성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동료 협동 집단이 어떤 협동 과정을 통해 교사 피드백을 활용하는지, 이러한 과정이 교사 피드백 활용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동료 협동 집단의 협동 과정을 녹음하여 Villamil와 de Guerrero(1996)의 분류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쓰기를 위한 협동이었기 때문에 작문을 위해, 교사 피드백 활용을 통한 수정 절차를 논의하기 위해, 또한 작문한 내용이나 교사 피드백을 읽기 위해 가장 많이 상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매개 전략을 분석해본 결과, 서로에게 필요한 도움을 주려는 노력을 보이거나 중간언어 지식을 활용해보려고 하거나 모국어를 끌어들여 문제를 해결해보려는 전략 사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협동 과정을 사회적 행동 측면에서 서로 협력하기 위해 상호 작용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의 견해를 존중하고, 활발하게 상호 협동하고, 또한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교사 피드백을 성공적으로 활용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 협동 집단은 활용도나 활용 성공도가 높았는데, 이는 동료 학습자들끼리 서로 도와 교사 피드백을 좀더 잘 이해하려고 하고 수정을 위해 필요한 능력을 서로 상호 보완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였다. 이는 학습자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특히 자신보다 더 우수한 능력을 가진 사람의 도움을 발판으로 학습을 진전해간다는 Vygotsky(1978)의 근접 체계 영역 (ZPD)이나 비계 설정(scaffolding)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연구 참여 학생들의 교사 피드백에 대한 인식이 연습 이후 변화되는지, 교사 피드백 활용 연습의 유용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본 결과, 교사 피드백을 활용해보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교사 피드백을 활용하여 작문을 수정해본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좀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연습 유형별 집단들의 응답은 유사하게 긍정적인 편이었다. 연습 유형별 집단이나 교사 피드백 활용 경험 유무와 관계 없이 모든 연구 참여 학생들은 문법에 관한 교사 피드백이 가장 유용하고 연습이 이러한 피드백 활용에 가장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이는 한국 학생들의 문법적으로 정확한 글을 쓰고 싶어하는 경향과 문법적 오류를 교사를 통해 수정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기인하다고 볼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교사와의 면담이나 동료 학습자와의 협동을 통한 교사 피드백 활용 연습이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이메일 작성에서의 교사 피드백 활용과 활용 성공도,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교사 피드백이나 연습에 대해서도 통제 집단에 비해 좀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피드백 이해가 어려워 활용을 효과적으로 못하는 외국어로서의 영어 학습자들에게 어떤 교사 피드백 활용 연습이나 작문 수정 교육이 유용한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고 본다. 특히 타인으로부터 도움을 받아 좀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연습을 하는 훈련은 현재 자신의 능력으로 학습을 더 진전해나가는 것이 어려운 외국어 학습자들을 도와주는 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