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2 Download: 0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 조사

Title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 조사
Other Titles
Study on the Teachers' Recognition of Discretionary Activity and the Actual Condition : Emphasis on the 1st-4th Grad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Authors
홍은경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연순
Abstract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에서 신설 확대되어 1-4학년까지 적용되고 있는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 실태를 질문지법에 의해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2002년에 적용을 앞두고 있는 5-6학년 재량활동이 교육과정의 한 영역으로서 올바르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사들은 재량활동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초등학교 재량활동은 어떻게 편성·운영되고 있는가? 3. 초등학교 재량활동 운영시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4.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교사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위 연구 문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 초등학교를 교육청별로 5%에 해당하는 27개교를 추출하여 1-4학년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각 문항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재량활동 운영의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는 교사들의 관심은 전체 교사의 85%가 관심이 있거나 매우 많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량활동에 대한 이해도 조사에서도 전체 교사 중 재량활동의 운영 취치를 알고 있는 교사는 93.2%로 매우 높은 편이었으나 운영 방법과 평가 등의 세부 사항에 대한 이해도는 58.1%로 반 이상의 교사가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량활동의 결정 수준에 대해서는 교사 수준에서 결정해야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교사가 전체의 77.3%로 매우 높은 편으로 교사에게 재량권을 준다는 그 본래 취지를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7차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신설 확대된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입장을 보면 획일적인 국가 교육과정에서 벗어나서 교사가 교육과정을 융통성있게 운영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는 의견이 전체의 60%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재량활동 편성·운영 실태는 다음과 같다. 현재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관련된 사항은 동학년 협의를 거치거나, 담임교사 또는 각 학교의 재량활동 담당교사에 의해 단독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세 집단의 구성원이 다 교사라는 점에서 재량활동 편성 및 운영의 담당자로서 교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78.7%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 수준의 재량활동이라는 인식이 실제 편성과 운영에 있어서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간 운영 실태를 보면 주당 2시간을 시간표에 고정적으로 정해두고 운영하는 학교가 전체의 55.6%로 나타나 프로그램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는 학교(37.5%)보다 많다. 따라서 시간 운영에 있어 재량권 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량활동 운영 방법에 있어서는 담임이 관심 있는 내용을 정해서 매주 다른 주제로 운영한다는 반응이 전체의 29.4% 특정한 과목을 정해서(영어나 컴퓨터) 심도 있게 지도하는 경우가 27.5%, 동학년 협의를 통해서 여러 교사의 의견을 반영한다는 경우가 21.3%로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였다. 재량활동의 목표로는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한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인격 형성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경우가 전체의 45.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해 구성된 내용으로는 주당 1시간은 컴퓨터로 운영하고 있는 학교가 전체의 82.5%이고 또 다른 한 시간에 해당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교의 특색과 교사의 소질을 살린 것이 전체의 53.8%로 높은 비율을 차지였고 그 다음으로 범교과 학습 (26.9%), 교과 보충·심화(16.2%)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특색과 교사 소질을 살려 운영하는 내용으로는 독서 교육이 27.9%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종이 접기, 학습지를 푸는 식의 창의성 교육 등이 각 각 15.1%, 11.6%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범교과 학습으로는 정보 활용 교육을 하고 있다는 반응이 전체의 53.5%로 가장 높았고 인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는 전체의 44.2%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과 심화·보충으로는 영어 교과를 선택하고 있다는 반응이 전체의 38.4%, 그때 그때 부족한 시수의 교과를 선택한다는 반응이 19.2%로 나타났다. 재량활동 평가시 과제의 완성도에 중점을 둔다는 반응이 48.8%였고 수업의 참여도에 중점을 둔다는 반응은 30%로 인지적 영역과 함께 정의적 영역의 평가도 중요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량활동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재량활동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것(33.8%)과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가 부족하다(18.6%)는 의견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교사들이 업무에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어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는 점(17.5%)과 국가 수준에서 행정적 지원을 통한 교재나 참고서 개발이 부족하다(11.9%)는 점을 들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 스스로가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할 수 있는 전문성이 부족하다(7.5%)는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문제점 개선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는 다음과 같다.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들은 재량활동에 대한 안내와 교사 연수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20%)고 요구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육과정 연구자로서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고자 하는 교사의 의지가 필요(16.3%)하며, 영어와 컴퓨터 과목을 전담할 전문 인력 지원이 필요하다(16.3%). 또한 교육부나 교육과정 연구 기관들이 교재나 교과서를 개발하여 교사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14.3%)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현재 가르치고 있는 교과 교육과정의 양이 축소되어 교사들이 느끼는 부담이 줄어들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재량활동이 그 본래의 취지를 살려 운영되기 위해서는 재량활동이 하나의 교육과정이면서 동시에 교사들에게 부여되는 재량권으로서 이해되어야 교사들에게 부담이 아닌 기회로 여겨질 것이다.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교육과정 편성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연수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은 물론 물리적 여건 마련과 특정과목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갖춘 인적 자원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 스스로도 주어지는 교육과정을 전달하던 것에서 벗어나 스스로 교육과정을 연구하는 자세로 책임감과 의지를 갖고 참여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eachers' perception on discretionary activities and the current existing conditions to offer suggestions on the inclusion of discretionary classes in the curriculum. Details of this study in doing so are as follows: 1.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discretionary activities? 2. How are discretionary activities organized and operated in elementary schools? 3. What are the problems in implementing discretionary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4. What improvements can be made for a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discretionary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from 5% of the total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160 classroom teachers ranging from the first to fourth grade classroom teachers from 27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a frequency analysis and a percentage fact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eachers' Perception 85% of the total subjects showed interest in discretionary activities. Findings revealed that 93.2% comprehended the definition of discretionary activity while only 58.1% showed that they had detailed knowledge of the content. 77.3% recognized that discretionary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the teachers themselves. 60% said that they felt comfortable rather than being burdened by the fact that discretionary activities were included as part of the reorganized 7th curriculum indicating that they were able to have some flexibility in curriculum management. 2. The Current Status of Discretionary Activities Research revealed that current discretionary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conferences held by same grade teachers or by the personal decision of a classroom teacher, as well as by the teachers responsible for decisions on discretionary activities of each individual school. The current situation showed that teachers opnions were mostly reflected in the decisions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Findings on the time management of discretionary activities revealed that there was little flexibility and many schools had fixed time allotments of two classes per week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The findings on the implementation methods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revealed that most classroom teachers selected one subject matter with different themes for each week. Findings on the objectives of discretionary activities revealed teachers focused on holistic character building through various experience. The content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mostly consisted of themes reflecting the school's characteristics and the teacher's talents. Closely following were integrated curriculum education, and supplementary and enrichment lessons. Classes developed personally by the teachers were mostly creative consisting mostly of reading education, origami, and supplementary practice exercise handouts in descending order. Curriculum integration education mostly consisted of information application education and character building education. English was the favoured choice for subject supplementary and enrichment lessons. Assessment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centered on cognitive and definitive areas by focusing on the completion of activities and student participation. 3. Problems in Discretionary Activities Problems in the implementing discretionary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ack of applicable programs. Second, there was a lack in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on discretionary activities. Third, teachers were pressed for time due to workload. Fourth, there was a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and resources due to limited administrative support. Fifth, teachers recognized their limited expertise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adequately. 4. Teachers' Requests Concerning Problems in Discretionary Activities The request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increased opportunities for guidance and training for the teachers were necessary. Second, as curriculum developers, teachers need to increase their determination to organize and implement discretionary activity curriculum. Thir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various research institutes need to support teachers by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and resources. Fourth, professional manpower in English and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Fifth, the current quantity of curriculum should be reduced to cut down the workload of the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