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자-
dc.contributor.author조옥자-
dc.creator조옥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4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3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48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복막투석에 대한 강화교육을 시행하기전의 복막투석 지식과 자가간호 수행도를 측정하고, 1차 교육과, 2차 교육을 시행한 후의 지식과 수행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강화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복막투석환자교육을 위한 지표를 삼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인천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복막투석을 시작한지 1개월 이상된 자로 연구에 동의한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교육내용은 문헌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것을 기초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2년 3월 1일부터 2002년 4월 20일 까지 였으며, 자료수집방법은 강화교육전과 2차례에 걸친 강화교육을 시행후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강화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강화교육전과 강화교육후의 복막투석 지식과 자가간호 수행도의 차이 분석을 t 검정법으로 검정하였다. 또한 지식과 수행도의 상관관계분석은 피어슨 적률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강화교육을 받은 복막투석환자는 강화교육을 받기전보다 1차 강화교육후(t=4.453, p=.000)와 2차 강화교육후(t=3.679, p=.002)에는 복막투석 지식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1차와 2차 교육후의 복막투석 지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636, P=.532). 2) 강화교육을 받은 복막투석환자는 강화교육을 받기전보다 1차 강화교육후(t=3.256, P=.004)와, 2차 강화교육후(t=5.487, P=.000)에 자가간호 수행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3) 복막투석 지식과 자가간호 수행도는 강화교육전에 r=-.470, p=.036로 복막투석 지식이 높을 때 오히려 수행도가 낮아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1차 교육후(r=-.351, P=.129)와 2차 교육후(r=-.125, P=.598)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복막투석환자에게 시행된 복막투석 지식과 수행을 위한 강화교육은 지식과 수행도를 높였으나, 지식과 수행도의 상관관계에서는 강화교육전에는 지식과 수행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강화교육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면 강화교육은 복막투석 지식과 수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1차 강화교육 후에는 복막투석에 대한 지식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복막투석 지식과 수행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의 교육 요구도가 반영되지 않은 강화교육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될 수 있으며, 지식의 증가가 수행을 유발시키는 동기로서 한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복막투석에 대한 강화교육을 적용함으로 지식이 증가하고, 지식이 증가함으로 수행이 증가하리라 예상했지만 별다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은 결과는 1차 교육후 환자의 교육 요구도를 수집하여 그 결과를 2차 교육에 반영하지 않고 일관된 교육을 적용함으로 인해 환자의 지식과 수행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역할을 못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환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강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reinforcement education for peritoneal dialysis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reference for nurses to take care of the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For this purpose, subject patients' peritoneal dialysis knowledge and practices were measured before the program to b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measurement after first and second education. To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hypotheses were set to be tested; 1) The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he reinforcement education would have more peritoneal dialysis knowledge. 2) The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he reinforcement education would practice self-care more than before the program. 3) There would b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itoneal dialysis knowledge and self-care practice than before the education. For this survey, 20 patients who had been subject to peritoneal dialysis for a month or longer at a hospital in Incheon and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sampled. The program was designed by the researcher in reference to relevant literatu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 2002 to April 20, 2002 by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before and after each of two round education program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for T-test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pre-education and post-education peritoneal dialysis knowledge/self-care practice and thereby,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between peritoneal dialysis knowledge and self-care practice was tested using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e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he reinforcement education would have more peritoneal dialysis knowledge than before the program) was supported. t=4.453, p=.000 after the first round of program, and t=3.679, p=.002 after the second round of program, respectively. 2) The second hypothesis (the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he reinforcement education would practice self-care more than before the program) was also supported. t=3.256, p=.004 before the program, t=5.487, p=.000 after the first round of the program, and t=3.963, p=.001 after the second round of program, respectively. 3) The third hypothesis (there would b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itoneal dialysis knowledge and self-care practice) was rejected. The correlation was found negative. r=-.470, p=.036. To summing up, it was found that the reinforcement education for peritoneal dialysis was conducive to improvement of self-care practices, but that there was found negative or no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and that efforts will be made to educate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on peritoneal dialysis knowledge and practices repeated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0 논문개요 = 1 Ⅰ. 서론 = 3 1. 연구의 필요성 = 3 2. 연구 목적 = 5 3. 연구 가설 = 5 4. 연구의 제한점 = 6 5. 용어정의 = 6 Ⅱ. 문헌고찰 = 8 1. 복막투석 = 8 2. 강화교육 = 10 3. 복막투석 지식과 자가간호 수행과의 관계 = 11 Ⅲ. 연구 방법 = 14 1. 연구설계 = 14 2. 연구대상 = 14 3. 연구 도구 = 15 4.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17 5. 자료분석 방법 = 18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19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관련 특성 = 19 2. 일반적인 특성과 복막투석 관련 특성의 복막투석 지식과 자가간호 수행도 = 23 3. 가설의 검증 = 28 Ⅴ. 결론 및 제언 = 34 1. 결론 = 34 2. 제언 = 36 참고 문헌 = 37 부록1 = 43 부록2 = 44 부록3 = 53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467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복막투석에 대한 강화교육이 복막투석 지식과 자가간호 수행정도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 of a Reinforcement Education for Peritoneal Dialysis on Their Peritoneal Dialysis Knowledge and Self-care Practice-
dc.format.page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