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명주-
dc.creator장명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0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6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의 어머니의 인식을 알아보고, 가정과 유치원에서 좀더 효율적인 경제교육을 실시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경제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경제교육의 목표 및 내용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경제교육의 방법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유아경제교육의 교사교육/부모교육 및 지원방향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196명과 유치원에 다니는 자녀를 둔 어머니 203명이다.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을 근거로 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질문지는 교사용과 어머니용 2가지로 제작되었으며, 교사용 질문지는 54문항, 어머니용 질문지는 5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문지의 구성내용은 일반적인 배경, 유아경제교육의 필요성, 목표, 방법, 내용, 교사교육/부모교육, 지원방향에 관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현재 경제문제에 대해서 교사(93.9%)와 어머니(93.6%) 모두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경제생활에 대해서 교사(62.7%)와 어머니(73.4%) 모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관심도 교사(59.7%)와 어머니(66.0%) 모두 높게 나타났다. 유아기 경제교육이 필요한 이유로 교사(56.5%)와 어머니(62.1%) 모두 유아가 바른 경제개념을 갖고 경제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기 경제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교사는 유아들이 아직 독자적인 경제생활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는 것(60.0%)과 경제교육보다는 필요한 다른 교육내용을 배워야 하기 때문(40.0%)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어머니는 유아의 발달상 적합한 내용이 아니라고 생각(61.9%)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경제교육의 목표에 대해서 교사(67.3%)와 어머니(65.0%) 모두 경제와 관련된 기본적인 생활습관의 형성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일상생활에서 경제문제의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라고 교사 24.5%와 어머니 22.7%가 응답하였다. 셋째, 유아경제교육 내용의 중요성에 대해 교사는 생산, 소비, 물건구매/시장개념의 순으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어머니는 소비, 생산, 물건구매/시장개념의 순으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와 어머니 모두 소비, 생산, 물건구매/시장개념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경제교육의 실시여부에 대해서 교사 77.6%와 어머니 73.9%가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는 가게놀이, 바자회 등 행사를 통해서 경제교육을 실시한다(51.3%)는 응답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이야기 나누기와 토의를 통해서 실시한다(17.8%)고 하였다. 실시시기에 대해서는 특정주제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실시한다(31.6%)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가정에서 경제교육을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일상생활 속에서 부모의 시범(본보기)을 통해서 실시(38.0%)하거나 경제적 문제가 생기는 상황마다 자녀와 이야기를 통해 실시(34.0%)한다고 하였다. 경제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교사와 어머니의 경우에는 교사 45.3%와 어머니 64.2%가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지식이나 교육방법을 잘 알지 못해서 실시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유아기 경제교육의 담당자로 교사(57.7%)와 어머니(63.5%) 모두 교사와 부모가 함께 담당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유아경제교육에 대해서 배운 적이 없다고 응답한 교사가 38.8%로 가장 많았다. 어머니는 대중매체를 통해서 배운 적이 있다는 경우가 49.8%로 가장 많았으며, 배운 적이 없다고 응답한 어머니가 39.4%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정보를 얻는 출처로 교사는 교육부 교육활동 자료집(29.6%)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어머니는 대중매체(TV, 인터넷, 신문 등)를 통해(75.9%)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교육/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교사 85.2%와 어머니 91.1%가 필요하다는 응답을 하여서 매우 높은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유아경제교육 연수에 대해서도 교사 75.5%와 어머니 77.4%가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여 높은 참여의사를 보였다. 여섯째, 유아경제교육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필요한 지원방향으로 교사는 지속적인 교사연수(35.2%)를 들었고, 다음으로 교사를 위한 지도서 및 교재의 필요성(33.2%)과 가정과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23.5%)고 응답하였다. 어머니도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지원이 가장 필요하다(42.4%)고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 유치원과의 긴밀한 협조의 필요(24.6%)와 부모를 위한 지도서 및 교재의 지원이 필요하다(22.7%)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recogni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about child economic education. So, help them give effect to a more efficient economic education at home and kindergarten.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 1. How ar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mothers about the necessity of child economic education? 2. How ar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mothers about the goal and contents of child economic education? 3. How ar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mothers about the method of child economic education? 4. How ar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mothers about the teacher education/parent education of child economic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96 teachers who are working at the kindergarten in Seoul and 203 mothers who have the son or daughter as kindergarten students. The researcher made questionnaire by referring to pre-researches and literatures. The questionnaire is produced 2 kinds for the mother and for the teacher. The questionnaire for the teacher has 54 questions on it, and the mother has 53 questions. The questionnaire has the details of general background, the necessity of the child economic education, the goal, the method, the content, teacher education/parent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both of the teachers and mothers recognized the serious status of the national economy problem also they both have a high interest about their own economic life. And also the interest for child economic education has marked high. Both of them recognized the reason child economic education is needed, for giving the children a better idea about the economy and making them have a reasonable attitude about the economy. There was a small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mothers about the reason they do not think child economic education is necessary. Teachers said, the children do not make their own economic life and they have to learn something else which is necessary. Mothers said, it is not a good curriculum for growth of the children. Second, about the goal of child economic education, both of the teachers and mothers thought that making of basic life style which is connected economy is the most important goal of that education. They answered the next goal of that education should help the children to have the reasonable decision making ability in usual economic life. Third, both of the teachers and mothers answered the consumption, production and purchase of goods/marketing are important in the contents of child economic education. Forth, both of the teachers and mothers answered the economic education is going on. The teachers said, mainly through market play, bazaar they could lecture about the economy. Also, they performed the education through conversation or discussion. About the time, there was the most response for choosing the topic and concentrating on it. At the home, parents show the examples in the real life and whenever a family has the economic problem, they could talk with their son or daughter, so let them know. There were some teachers and mothers. They said since they do not know how to teach their children nor they have basic knowledge about the child economic education, they could not teach children. Both of the teachers and mothers recognized, it is the role for both of them to teach the children about economy. Fifth, most of the teacher said, they have never been learned about child economic education. Mothers answered, they learned about child economic education through the mass media. Never learned followed next. The source where they got those information is like this. Teachers are using the information book from the national education department and mothers are collecting the information form the mass media such as TV, Internet, newspapers. About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parent education about child economic education, most of the teacher and mother answered that they need to take it which shows high interest about educational course. Sixth, for the support system which helps desirable performing of child economic education, teachers picked the study and training up which goes continually. They also responded textbook, teaching material and the connection to the family are needed. Mothers replied there should be education support for the parents and also close assistance with kindergarten, support with textbook, teaching material for the parents are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아경제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5 B. 유아경제교육의 목표 및 내용 = 9 C. 유아경제교육의 방법 = 16 D. 유아경제교육의 지원방향 = 19 E. 관련연구 = 21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도구 = 28 C. 연구절차 = 30 D. 자료분석 = 31 Ⅳ. 연구결과 = 32 A. 유아경제교육의 필요성 = 32 B. 유아경제교육의 목표 = 35 C. 유아경제교육의 내용 = 36 D. 유아경제교육의 방법 = 42 E. 유아경제교육의 교사교육/부모교육 = 47 F. 유아경제교육의 지원방향 = 51 Ⅴ. 논의 및 결론 = 52 A. 논의 = 52 B. 결론 및 제언 = 60 참고문헌 = 63 부록 = 67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08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