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3 Download: 0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과정에 의한 교수 방법의 적용 효과

Title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과정에 의한 교수 방법의 적용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Enriched-Supplementary Ability Grouping Within Class to the Education of Middle School Science
Authors
김혜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劉正文
Abstract
The ability grouping is the essence of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will be applied to school from year 2000, and its enriched - supplementary type will be done for science cour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enriched - supplementary ability grouping to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ttitude, related to science. For this purpose, we develop the level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bout the subject of 'Water Circulation and Weather Change'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2. Then we tested 152 eighth graders who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one was taught through the ability grouping for about six weeks, while the control through conventional lecture. The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in particular to the below-average students who ranked in the lower thirty percent(P<0.1). The experimental one had more negative change in domain 'Science as a Subject', and in subdomain 'Anxiety in Science Lesson'(P<0.05). While the outstanding students who ranked in the upper thirty percent showed a meaningful positive change in subdomain 'Satisfaction in Teaching Method', the below-average students were negatively changed in subdomain 'Anxiety in Science Lesson'(P<0.1). The ability grouping within class was suitable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but not for the general attitude related to science.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ability grouping in class, we have to additionally consider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in grouping, and develop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gether with proper textbook contents.;21세기의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을 주요 핵심으로 하고 있으며, 이 교육과정은 2000년도부터 교육 현장에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대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에 적용될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 모형의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한 후에, 학급 내 능력별 소집단 편성의 수준별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물의 순환과 일기 변화' 단원에 대하여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의 교수-학습 자료 를 개발하였다. 또한 광장 중학교의 2학년 4개반 152명을 대상으로 실험반(76명)에 대하여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을, 그리고 통제반(76명)에 대하여 수준올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수업을 각각 실시하여 학업 성취도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대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업 처치 후, 사전 검사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사후 검사 점수를 공분산 분석한 결과에서 실험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학업 성취도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고(P<0.1), 이러한 효과는 상위권 학생들보다 하위권 학생들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에 관련된 태도 변화에 있어 통제 집단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실험 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어 수준별 수엽의 부정적 효과가 나타났다(P<0.05). 과학에 관련된 태 도의 세 가지 영역을 분석한 결과 실험 집단은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 영역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통제 집단에 비하여 유의적인 부정적 태도 변화를 보였다(P<0.05). 특히, 하위 요소 중 '과학 수업에 대한 불안' 부분에서 수준별 수업 모형의 부정적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P<0.05). 학업 성취 수준에 따른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서 상위권 학생들은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의 하위 요소인 '과학 교수 방법에 대한 인식·만족'에서 긍정적(P<0.1), 그리고 하위권 학생들의 경우는 '과학 수업에 대한 불안'에서 부정적 태도 변화(P<0.1)를 보였다. 수준별 교육과정에 의한 학급내 능력별 소집단 편성 수업 방법이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올 제공해주어 학업 성취도를 증진시켰지만, 과학 관련 태도를 전반적으로 개선하지 못했다. 따라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차별화가 고려되는 교수-학습 방법의 지속적인 연구와 교과 내용의 변화가 동반된다면, 수준별 수업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