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정걸-
dc.contributor.author金仁淑-
dc.creator金仁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5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0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572-
dc.description.abstract학교의 설립 목적은 교육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시설(물적 요소) 교직원(인적 요소) 및 학생(교육대상)의 3요소가 유기적으로 조직 구성되어야 한다. 그 중 교육시설은 교육의 성과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하고 기본적인 요건으로서 단순히 학생을 수용하는 건축물 만이 아니라 학교 전체가 교육의 매체요 도구이면서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생활환경인 것이다. 그러나 현재 학교의 시설과 설비 및 생활환경의 부실은 분필 위주의 획일적이고 제도화된 체제 속에서 교육 실제를 추상적인 내용의 주입에 치중하도록 조장하고 있다. 부르너는 오늘날의 교육은 위기에 처해 있다고 했거니와 공학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사회는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고 따라서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나은 교수-학습과정을 전개해 나가기 위해서는 학교시설 환경에 있어서 많은 변화와 개선이 필요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학교시설 환경의 개선이 절실하다는 전제 아래 교육시설 설비의 문제점을 교육 활동과 관련하여 조사하고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안을 알아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의 공립·사립중학교 25개교를 임의 추출하여 학생 총 1,50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작성한 질문지 25개 문항을 검사 도구로 활용하였으며 유효 응답자 수는 1,356명이었다. 표집된 자료는 문항을 크게 보통교실, 특별교실, 공용시설로 구분하여 공립과 사립별로 비교하고 필요한 경우는 다시 남학교, 여학교, 남여공학별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통계는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 얻은 결론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학습의 장을 제공하는 교육시설의 수와 공간의 규모가 학생과 교육활동을 수용하고 지원하기에는 불충분하였으며 현대교육에 대응하는 융통성이 부족하여 교육의 효과를 능률적으로 제고하기는 어려웠다. 2. 생활의 장으로서 학교시설의 현실은 학생의 건강과 안전을 도모하고 정서를 함양하기에는 미흡했다. 3. 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특별교실의 기준이 미비하여 비록 불충분하나마 특별교실의 수는 확보되었더라도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4. 보건·위생시설이 미비하고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여 유명무실하다. 이상에서 요약한 결과와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선점을 살펴 보면 학교시설의 기준을 강화하여 학생들의 학습의 질을 높이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조명과 냉난방시설의 완비, 자연적 경치와 위치를 고려한 교사의 향, 책걸상의 적합성, 계단, 창틀의 안전도, 급수 배수시설, 각종 위생설비, 소음의 방지, 복지 시설의 확보 등 공간에 대한 안전성, 견고성, 충분성, 쾌적성, 위생성, 미관성 등의 배려가 매우 중요시 되어야 할 것이다.;The reason of making a school is to educate youth intellectually and moraly; to accomplish this, there must be an organic institutionaliz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material resources), faculty members (human resources), and a body of students (educational subject). Among theses, of most important are school facilities which fundamentally control the results of educational enterprise. The notion of school facilities is therefore more than the achitectutal structure for students custody. It rather means the educational medium and a living environment which supports and facilitate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upils. The lack of school facilities, accommodation and living environment degrades the quality of education so that one-way inserting abstract knowledge into students' brain becomes the only possible form of instruction in educational practice. Bruner pointed out that the education of today was in crisis, modern societies equipped with advanced technology brought about a considerable amount of changes so that to improve the levels of education there must be fundamental reforms in the levels of school facilities which guarantee improved instruction-learnings. In these educational settings, the present study started with the presumption of the necessity for radical upgrades in the current levels of school facilities and their problems, and to- find out a set of applicable proposals and recommendations for increasing school effectiveness. To do this, the study sampled and administated a questionnaire to a group of 1,500 students from 25 public and private schools. The survey tool consisted of 25 items asking the uses of various school facilities such as special classroom, ordinary classroom, and other common accommodations. In collecting data, the author paid a keen attention to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chools, and among boys, girls, and co-educationed schools. The following were selected major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of the present study: 1) There was a very strong indication that the number and size of school facilities were far from fulfilling the providence of appropriate learning experiences and the(이후원문누락)-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 논문개요 = 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3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육시설의 개념 = 5 B. 교육시설의 특징 = 7 C. 교육시설의 기능 = 12 D. 학교시설의 분류 = 17 Ⅲ. 학교시설의 기준 = 21 A. 학교시설의 기본조건 = 21 B. 교지의 기준 = 22 C. 교사의 기준 = 28 Ⅳ. 조사결과 및 해석 = 37 A. 보통교실 = 37 B. 특별교실 = 45 C. 공용시설 = 49 Ⅴ. 요약 및 결론 = 57 A. 요약 = 57 B. 결론 = 58 참고문헌 = 60 부록 설문지 = 62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259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中學校 敎育施設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 京畿地域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DUCATIONAL FACILITIES OF MIDDLE SCHOOL : Mainly in Seoul and Keyonggi Area-
dc.format.pagev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