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李宗宰-
dc.contributor.author남선정-
dc.creator남선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5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5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9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598-
dc.description.abstractThe social meaning of college entrance exam system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plays a role as a social mechanism of selection, which determines the private success in society as well as the higher movement of social class. The limited opportunity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has made the competition for college entrance harder, especially, the severe struggles for the first class college entrance had brought about the over-heated pursuit for private-tutoring.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should settle the demand of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the rule of fair-competition, however the over-heated pursuit for private-tutoring had prevented this system from serving as a fair, rational social mechanism of selection, it created so intense disunity between people who was enough rich to have a private tutor, and who was not. So it leaded to a Social problem final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ment carried 7. 30 Reform of Education, which contained the elimination of the over-heated pursuit of private-tutoring, the abolishment of main entrance exams administered by individual institutes etc.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7. 30 Reform of Education. This research set up an hypothesis that the 7. 30 Reform of Education policy would give more opportunities to low-class students in the first class college entrance than before the policy and as the result, the social class characteristics of the freshmen in the first class college would move downward. To test this hypothesis, the freshmen's data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t 1979 and 1982 was selected. The incomes of their household and academic attainments of their parents at each year investigated. The research compared the income distribution of 1979-freshmen with that of l982-freshmen. And this analysis was made through the whole sampl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s well as the samples of each college in it. The result of this analysis did not show significant propensity that the mean of incomes at 1982 come to be lower than that of incomes at 1979. Consequently, the hypothesis set up by this study was rejected. However, some colleges showed downward-movement in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of freshmen's families at 1982. And the other colleges showed upward-movement at 1982. ;대학입시제도는 개인의 사회적 성공이나 계층의 상승 이동을 결정하는 사회적 선별기능(a social mechanism of selection)로서 그 사회적 의미가 매우 크고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협소한 고등교육기회로 인해서 대학입학을 위한 경쟁이 심해졌으며 특히 일류대학에 입학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은 과열 과외현상까지 초래하게 되었고 과외는 입시경쟁에 있어 상층 또는 부유층에 속한 학생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해 왔다. 즉 대학교육의 진학수요를 경쟁의 논리에 따라 배분하는 대학입시제도는 과열과외로 인해서 공정하고 합리적인 선별기능을 제대로 이행할 수 없었다. 또한 과외를 시킬 수 있는 계층과 과외를 시킬 수 없는 계층간의 위화감이 고조되어 사회문제화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에서는 1980년 7월 30일 과열과외 금지와 본고사폐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교육개혁을 단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7. 30 교육개혁을 통하여 우리나라 대학입시제도를 재조명하고, 특히 7. 30 교육개혁 중 과외금지조치가 일류대학 입학기회의 계층 분포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즉 7. 30 교육개혁 이전에는 과열과외에 의해 일류대학에의 입학기회가 상류층에 편중 분포되었으나, 과외금지조치에 의해 7. 30 교육개혁 이후 하위계층에 속한 학생들의 일류대학에의 입학기회가 증가되어 그 결과 일류대학에 입학한 신입생들의 가정의 경제적 사회적 배경의 특성이 보다 평등지향주의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었으리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대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1979년(7. 30 교육개혁 이전의 연도)과 1982년(7. 30 교육개혁 이후의 년도)의 서울대 신입생들의 가정의 경제적, 사회적 배경으로 가정의 소득과 보호자의 학력수준에 대한 평균· 분산·백분율을 산출·비교 분석하므로써 2개년도간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서울대 전체의 경우 전체 신입생들의 가정의 경제적? 사회적 배경의 특성이 하향적으로 이동되지 않았으며, 각 단과 대학의 경우에도 대체로 상향적 이동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본 □설은 부정되었다. 그러나 단과대학들 중에서 음대? 가정대? 의예과에는 신입생들의 가정의 경제적·사회적 배경의 특성이 하향적으로 이동한 것이 발견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iii 論文槪要 = vi Ⅰ. 緖論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연구의 理論的 背景 = 5 A. 교육과 사회계층이동 = 6 B. 대학입시제도의 사회적 선발기능 = 11 C. 7.30 교육개혁 조치의 배경과 내용 = 19 D. 本 硏究의 假說 = 38 Ⅲ. 硏究의 結果 = 40 A. 硏究의 分析 模型 = 40 B. 硏究의 結果 = 43 C. 論議 = 55 Ⅳ. 結論 = 61 參考文獻 = 63 부록 = 65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837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외금지조치 이후 一流大學 新入生들의 계층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대학교 신입생들의 가정소득 및 보호자 학력수준의 推移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A CHANGE OF FRESHMEN'S CLASS DISTRIBUTION IN THE FIRST-CLASS COLLEGE AFTER THE ELIMINATION OF PRIVATE-TUTORING : WITH AN ANALYSIS OF A CHANGE OF FRESHMEN'S FAMILY INCOMES AND PARENTS' ACADEMIC ATTAINM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c.format.pagevi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