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진미-
dc.creator유진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0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6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6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687-
dc.description.abstract민주시민의 자질이 현대사회의 여러 문제들에 관한 종합적 인식과 문제해결능력에 달려 있다고 할 때, '사회문제' 혹은 '사회적 쟁점'들을 사회과의 교육내용에 적절히 반영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에 사회문제 교육이 체계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1차 교육과정에서 5차 교육과정까지의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사회문제 반영 방식과 내용 서술 방식을 검토하고, 사회과의 사회문제 교육에 관한 실태를 밝혀, 앞으로 사회문제 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문헌연구와 교과서 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용하였다. 사회문제의 기초적 이론에 대응하여 사회문제의 유형을 구조적인 문제, 해체적인 문제, 일탈문제로 크게 3분류하여, 각각 그 하위내용을 선정하고, 한국사회 변동에 따라 파생되는 당시의 사회문제를 추출하여 이를 내용분석의 기준으로 삼아 교과서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과서의 사회문제 반영 비율을 보면, 3차 교육과정기의 13.8%를 제외하면 4% 내외의 지극히 저조한 반영율을 나타낸다. 1차·2차 교육과정기에는 사회구조적인 문제가 많이 언급되었고, 3차 교육과정기 이후에는 사회해체적인 문제가 강조되고 있다. 둘째, 사회과 교과서의 사회문제 반영 방식을 보면, 정책이라는 입장에서 사회문제를 선택적으로 다루고 있다. 즉, 실제 사회문제의 중요도보다는 정부의 정책과 관련하여 문제로 지정하고 싶은 것을 의도적으로 사회과 교과서에 사회문제로 발탁·부각시키고 있다. 세째, 사회과 교과서의 내용 서술 방식을 보면, 교육과정 시기별로 사회문제의 내용제시가 한 영역에 치우쳐서 기술되고 있다. 교육과정 사조의 영향을 받아서 특히 3차 교육과정기에는 이론에 관한 내용이 많고, 2차·4차 교육과정기에는 실태에 관한 내용이 많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사회문제에 관한 언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그 내용을 축소하고 있다. 둘째, 사회문제가 선택적으로 다루어짐으로써 현실의 사회문제와 사회과 교과서에 언급된 사회문제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사회과 교과서의 현실 적합성이 문제시된다. 세째, 내용 제시가 한 영역에 치우쳐 서술됨으로써 문제해결력을 배양하기 위한 문제중심의 내용제시에서 많이 이탈하고 있다. 결국, 우리나라 사회과의 사회문제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문제에 관한 비판적 인식능력을 배양하고 합리적인 문제해결력을 기르도록 하는 시민적 자질의 육성에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Based on the theory that democratic citizenship or the qualification of a democratic citizen depends upon the overall or synthetic recognition of various problems in the modern society and the ability of their settlement, it is desirable that 'social problems' or 'social disputes' should be properly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so that the education concerning social problems can be systeminzed in the cours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systematization of the future education concerning socical problems by analytically reviewing the reflectig method of social problems and the descriptive method of the contents in the middle school's textbooks of social studies from the 1st curriculum period to the 5th curriculum peruiod and clarifying the realities of the education of social problems. To approach it, documentary review and a positive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have been performed in parallel. With reference to many scholars' discussion over social poblems, those social problems have been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 structural problems, dismentling problems, and deviating problems, then their low-ranking contents have been selected, the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having been derived from according to the social fluctuations of Korean society were abstracted, and lastly those abstracted were treated as the standards of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an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reflecting rate of social problems in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a reflecting rate of 4% throughout the curriculum periods except 13.8% of the 3rd curiculum period appeared. In the 1st and 2nd curriculum periods, socio-structural problems were addressed in quantity and since the 3rd curriculum period, socio-dismentling problems were emphasized. Second, with regard to the reflecting method of social problems in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social problems appeared to be selectively treated in the situations of policy. That is, in the textbooks, social problems relating the government's policy or favored to the policy rather than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social problems or the welfare of society were appointed, directed intentionally, chosen and brought into relief. Third, with regard to the descriptive method of contents in the textbooks, the suggestion of the contents of social problems within each period of the curriculum appeared to be biased to a certain domain and described. In fact, influenced by the trend of any curriculum, specically in the 3rd stage there are many contents concernning theory, and howerver in the 2nd and 4th stages, many contents concerning the realities. Through the findings, conclusions could be obtained as follows: First, in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comments on social problems are constrained and such contents are reduced to the least. Second, with social problems being treated selectively, there exists dissociation between social problems in reality and the social problems addressed in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In that review, the suitability to the realities of the textbooks of social s tudies becomes the point at issue. Third, with the suggestion of social problems being biased to a certain domain and so described, the suggestion of real-problem-centered contents to foster the student's ability to solve such problems is ignored. In conclusion, the education concerning social problems through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d has a limitation in cultivating the student's ability of rational critism concering social problems and letting them have the civil qualification necessary in democratic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目的 = 1 B. 硏究方法 = 4 C. 硏究의 制限點 = 5 Ⅱ. 理論的 背景 = 6 A. 社會料 敎育과 社會問題 領域 = 6 B. 社會問題 理論 및 社會間題의 類型 = 22 Ⅲ. 社會間題 領域에 關한 內容分新 = 38 A. 分析基準 및 分析方法 = 38 B. 45 - 50 年代의 社會問題敎育 = 43 C. 60 ∼ 70 年代의 社會闖題敎育 = 53 D. 80 ∼ 90 年代의 社會問題敎育 = 77 Ⅳ. 要約 및 結論 = 101 參考文獻 = 107 ABSTRACT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490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 일반사회교육분야-
dc.title사회과교육에서 사회문제교육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dc.format.page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