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1 Download: 0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의한 유아 국악 지도방법 연구

Title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의한 유아 국악 지도방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 6th curriculum
Authors
유승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숙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부터 새롭게 시행되고 있는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내용을 기준으로 유아 국악 지도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며, 연구를 통해 제시되는 유아 국악 지도방법은 유치원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의해 교육을 계획하고 실시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는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특징과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내용의 기준을 추출하고,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국악 교육내용 및 교육활동을 선정·조직하였다.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은 교육내용의 성격에 따라 건강생활·사회생활·표현생활·언어생활·탐구생활의 5개 영역으로 구분되고, 유아들은 표현생활을 통해 음악 및 각종 예술에 관련된 교육내용을 학습하게 된다, 표현생활은 다시 탐색·표현·감상의 세 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분되며, 이 연구의 실제 지도방법 연구에서는 그와 같은 세가지 영역에 포함되는 각각의 교육내용에 국악을 적용하였다. 탐색 영역에서는 국악기 소리 탐색하기, 국악기 형태 탐색하기, 국악기 연주 시 움직임 탐색학기의 세 가지 활동으로 구분하였으며, 표현 영역에서는 국악기를 이용한 여러 가지 소리 만들기, 국악동요와 민요 부르기, 국악 타악기 다루기, 국악기로 즉흥 연주하기, 장단 변형하기, 국악에 맞추어 동작으로 표현하기, 전래동요 부르며 신체표현하기, 전래동요 및 판소리를 통한 극놀이 학습하기의 여덟 가지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감상 영역은 국악 감상하기, 국악기 재료에 따른 느낌 감상하기, 국악에 관련된 예술적 표현 존중하기, 국악 공연 감상하기의 네 가지 활동으로 분류하였다. 이 연구는 현장 교사들이 국악수업을 위해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지도안을 작성하기 위한 기초가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지도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국악기와 국악곡을 접함으로써, 국악에 대한 진정한 친숙함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eaching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contents of the 6th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se teaching plans can be actually used in the process of teachers' planning and practicing education by the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6th kindergarten curriculum, the standards of the educational contentsl was extracted, and the contents and educational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selected and organized. In the study of actual teaching methods, the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o 'Exploration''Expression'and'Appreciation'. was applied .'Exploration' is divided into the search of the sound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the search of the shape of instruments and the search of movement made in playing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Expression' includes making various sounds using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sing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s(transmitted songs and created songs) and folk songs, playing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instrument, playing improvisation by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transforming rhythm, expressing by movement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learning acting through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Pansori. 'Appreciation' is divided into appreci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ng the feelings of the various material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respecting artistic expression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ppreciating Korean traditionalmusic performance. This study can be the foundation for 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plans, and it can also give some help to post studies on various teaching methods. Through this, young children will get more familiar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by approaching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nd their musical pie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