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6 Download: 0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to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on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arenting Stress of their Mothers
Authors
전다혜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초등학교 입학이라는 수직적이면서도 수평적인 환경의 다각적인 변화는 장애 유아 당사자들 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에게도 많은 역할을 이행하도록 하는 일인 동시에, 전문가들에게도 그들이 접하고 있는 교육 대상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다 영역에 걸친 지원을 계획하고 실행해야 할 의무를 부여한다. 성공적인 초등학교 전이는 학교 준비도(School readiness)와 연관되어있으며 유아가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지적으로 초등학교에 정착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전이가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는 장애 유아에게 제도권 교육환경으로의 첫 경험인 만큼, 이후 긍정적인 학교 적응과 원만한 학교생활을 위한 첫 시작을 잘 할 수 있도록, 인지, 정서, 행동 전반적인 요소에 대해 지원을 제공하고, 자녀만큼이나 전이 단계에서 지원을 필요로 하는 그들의 어머니를 전이 지원의 대상에 함께 포함하는 것이 강력히 요구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입학을 3개월 앞둔 장애 유아 14명이며 이 중 7명의 실험집단 유아와 어머니들에게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초등학교 전이 지원 프로그램은 크게 아동 지원과 어머니 지원 두 영역으로 나뉘며, 아동에게는 학급적응과 관련된 일반적인 준비기술, 사회성 기술 등을 중심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어머니에게는 전이와 관련된 가정 내 지도체계 및 정보,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는 지원을 제공하였다. 전이 지원 프로그램은 총 15회기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대상 유아들의 입학 이후 학교생활이 시작되는 3월까지 지속되었다. 프로그램의 첫 회기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였고, 오리엔테이션 이후 14회기는 1~2월동안 기관내의 모의 학교와 외부의 실제 초등학교에서 매주 1~2회 실시하였으며, 대상 유아들의 입학 이후인 3월부터는 초등학교 초기 적응에 어려움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어머니와의 집단/개별 상담을 통한 사후 지원을 제공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중재 전 동질성 확인을 위해 Thompson(1975)이 개발하고 Hughes 등(1979)이 개정한 학교 적응척도를 실시하였고, 사후 검사도구는 학교 준비도 체크리스트(Helpful Entry Level Skills Checklist: HELSC)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 변화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Abidin(1990)이 개발한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를 사용하였다. 초등학교 전이 지원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학교 준비도 점수로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의 경우, 사후검사와 사전검사의 차이 점수로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전이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장애 유아들이 전이 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장애 유아들보다 더 높은 수준의 학교 준비도를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준비도 세부 항목인 학급 규칙, 작업 기술, 의사소통, 사회적 행동기술, 자기 관리 기술, 5가지 영역 중에서, 의사소통과 사회적 행동기술 두 영역에서 실험집단 장애 유아들과 통제집단 유아들 간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전이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유아 어머니들 대부분이 통제집단 어머니들보다 양육스트레스의 감소 정도가 컸지만, 이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 교육체계에서 아직 제도적으로 그 실제가 제공되지 않고 있는 전이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현실적인 요구를 반영하여 실질적으로 유아들이 대다수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기관과 가정을 연계한 전이 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장애 유아의 학교 준비도에 유의미한 향상을 이끌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실행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아동에게만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자녀의 전이 과정을 함께 겪는 어머니에 대한 지원 요소를 포함함으로서, 가정 연계를 통해 장애 유아의 보다 원활한 학교 적응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전이과정에 필요한 가정에서의 적절한 지원에 대한 기본적인 지원 체계와 정보를 제공하여 가정 스스로가 자생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Entering elementary school, a multifaceted change of environment that is vertical as well as horizontal, is an event that makes not only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mselves but also their family fulfill many roles, and at the same time grants an obligation to experts that they plan and execute support that is more in-depth and covers multiple fields concerning the receivers of the education. Especially, the transition from kindergarten to elementary is the first official institutional education tha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s, and it provides support for the cognitive, emotional, and overall behavioral factors so that the child can positively adjust to the school and can make a good start for an amicable school life. It is strongly required that the transition support is planned and executed including the mothers, who need the support in the transitional period as much as their children, in the subjects that receive the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to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 on school readines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arenting stress of their mother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4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mothers who were moving from kindergarten to elementary school. A group of 7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mothers who participated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was compared with a similar group of 7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who didn't.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he total of 15 sessions during a winter season(or vacation) prior to entering elementary school and the first few weeks of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 included as follows: First, transition support programs for children: 1) offering basic information about elementary school setting; 2) visiting elementary school 3) instructing of soci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ready-to learn skills, and self management skills Second, transition support programs for mother: 4) providing mother's education, 5) home activities of involved mothers. 6) providing emotional supports In this study, 'Adjustment to School' was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adjustment in kindergarten, and 'Helpful entry level skills checklist(HELSC)'was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school readiness in the elementary. Helpful Entry Level Skills Checklist consists of following sections; 1) classroom rules; 2) work skills; 3) communication skills; 4) social behavior; skills; 5) self management skills. Also, Parenting stress idex(short form) was used to measure the parenting stress of their mothers.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school readines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sed by the SPSS for the windows 17.0 program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the score of school readiness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 behavio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displayed higher the score of parenting stress index mostly, bu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study aims to bring a meaningful improvement to the extent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ing ready for school by constructing transition support programs linking families and the institutions that the children spent most of their time in by reflecting the realistic demands concerning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which is not yet being provided as a system in the education system in the nation. The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has such a goal and that it is an executive study that developed the program and applied it. Moreover, this study did not only focus on the children, but also included support factors for the mothers that go through the process of their children's transition together with them, so that there can be active preparation for the disabled child's amicable adjustment to the school by linking the family, and has significance in that it motivated the family to foster the ability to provide by itself by providing the basic support structure and information about the appropriate support from the family that is necessary for the transition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