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내용분석

Title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내용분석
Authors
이규인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음악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피교육자의 교양을 높이고 원만한 인격을 갖추게하는 동시에 우리의 생활을 명랑하고 화목하게 하며 애국 애족하는 마음과 우리나라의 문화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및 태도를 기르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정서적인 감정이 예민한 고등학교 시절의 음악 교육이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음악교육은 교과서를 통해 교사에 의해서 학생에게 전달된다. 즉 교과서는 학생과 교사간의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것이다. 우리나라 인문계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는 5가지로 되어있다. 이 5가지의 교고서 중에서 同一한 곡이면서 곡명, 박자, 빠르기표, 작곡자, 나라이름, 가사, 리듬등이 달라서 현장수업에서의 혼란을 가져오게 할뿐 아니라 학생들은 인지과정과 학습의 재 구성 과정에서 혼란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하여 교사와 학생간의 불신과 갈등을 초래하여 음악 수업의 향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되기 때문에 바로 음악 교육을 체험할 수 없게 될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점을 염려하여 고등학교 인문계 음악 교과서 5가지를 중심으로 분석 제시하고 바람직한 음악 교육을 위해 좀더 세심하고 통일성있는 음악 교과서를 만들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면에서 비교 분석을 했다. 1. 가창, 기악, 감상, 창작, 이론등 5개 영역을 분류하고 이중 가장 빈도수가 높은 가창곡을 선정하여 가. 5가지 교과서에 수록된 가창곡의 순위와 빈도분석 나. 한국곡과 외국곡의 비율 비교 분석 다. 박자별 비교 분석을 하였다. 2. 서로 다르게 수록된 가창곡의 통계 분석 가. 同一 가창곡에서 곡명이 서로 다르게 된것 나. 同一 가창곡에서 박자가 서로 다르게 된것 다. 同一 가창곡에서 빠르표가 서로 다르게 된것 라. 同一 가창곡에서 작곡자·나라이름의 철자법이 다르게 된것 마. 同一 가창곡에서 리듬이 서로 다르게 된것과 현존 작곡자의 원곡을 제시 하였다. 3. 선정된 93곡중 완전 통일된 곡과 서로 다르게 수록된 것을 비교했다. 이렇게 하여 음악 수업 현장에서 혼란을 일으킬 수도 있는, 서로 다르게 수록된 가창곡들이 얼마나 수록되어 있는가를 알아 봄으로써 이들 교과서들이 교육 과정 목표에 얼마나 바르고 충실하게 편성되었는가를 검토해 보도록 하였다. 그 결과 78년도 인문계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5가지를 비교해 본 결과 가창 54.8%, 이론 21.1%, 감ㅅㅇ 12.3%, 창작 6.7%, 기악 5.1%의 순으로 수록되어 잇고 박자는 4/4박자가 39.4%로 제일 많고 3/4이 20.1%, 6/8이 19.9%, 2/4가 9.3%, 2/2가 4.1%, 3/8이 2.4% 9/8가 2.0%, 12/8가 1.7%, 5/4가 0.4% 6/4박자가 0.4%로 여러가지 종류의 박자로 되어 있다. 5가지 교과서에 나타난 가창곡중 2곡 이상 교과서에 수록된 93곡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서로 다르게 수록된 곡이 91곡으로 98%의 높은 비율을 나타냇고 서로 다르게 수록된 곡을 내용별로 보면 곡명이 12.9%, 박자가 9.6% 빠르기표가 65.5%, 작곡가·나라이름이 7.5%, 가사가 67.7%, 리듬은 66.7%로 서로 다르게 수록된 비율이 나타났다. 이외에도 악상기호가 통일 되어있지 않았다. 물론 교사와 학생은 곡의 감정을 다르게 느끼기는 하겠지만 처음 학교에서 교육할 때는 통일된 악상과 템포를 배워 주어야 하겠다. 또 서로 다르게 수록된 교과서 내용 중에는 현존 작곡가의 원곡과 다른것이 있었고 악보상의 誤記와 내용 전반의 誤字가 많다. 이상 여러가지 서로 다르게 수록된 내용과 통일성 결여로 교사는 교사대로 학생은 학생대로 혼란과 어려움을 일으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혼란을 없애고 바람직하고 옳바른 가창교육, 나아가서는 정서적인 음악 교욱을 위해서도 음악 교육의 중심적인 소재인 교과서부터 학생과 교사들이 신뢰와 안도감을 가지고 교육할수 있도록 세심한 개편을 바란다.;The ultimat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s to enhance the level of culture of the learners, enable them to build up perfect personality, brighten and harmonize their life, instil patriotism into the hearts of people and to cultivate the ability and behavior of contributing to the cultural promotion of the n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music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asensitive feeling is very important. High school music education in our country is provided by the teachers to the students through textbooks. This implies that textbooks serve as a medium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 There are 5 Kinds of textbooks on music of general high schools in our country. Among these 5 Kinds of textbooks, title of music, time, tempo note, names of composer and country and words differ from each other even in case of the same music. Consequently these differences often give rise to a great confusion in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thereby causing distrust and complications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It is intended in this study to analyze 5 kinds of textbooks on music now in use in general high schools, thereby attempting to design a correct, standard textbook on music for reasonable high school music education in our country.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by means of the following: 1. 5musical spheres of vocal, instrumental, appreciation, creation and theory were classified. The highest vocal pieces in frequency were selected. a. Analysis of the order and frequency of songs collected in the 5 kinds of textbook. b.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portion of Korean songs to foreign songs. c. Comparative analysis by time. 2. Statistical analysis of vocal music collected differently in the same music. a. Title b. Time c. Tempo note d. Names of composer and country e. Words f. Rhythm In addition, the original music of living composers were also presented. 3. Among 93 pieces selected, those which were completely unified and collected differently were compared in order to eliminate confusion in the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of music.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5 kinds of textbooks on music of general high schools for the year 1978 contain 54.8% of vocal music, 21.1% of theory, l2.3% for appreciation, 6.7% of creation and 5.1% of instrumental music. The newly revised textbooks on music also are compiled centering around vocal music and therefore the consolidated teaching of music may be considered difficult. With regerd to time, fourquarters time occupies the highest of 39.4%, three-quarters accounting for 20.1%, six-eighths for 19.9%, two-quarters for 9.3%, two-seconds for 4.1%, three-eighths for 2.4%, nine-eighths for 2.0%, twelve-eighths for 1.7%, five-quarters for 0.4% and six-quarters for 0.4%. Those vocal music appeared in the 5 kinds of textbooks, 93 pieces collected in more than 2 kinds of textbooks were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91 pieces or 98% were collected differently in title (12.9%), time (9.6%), tempo note (65.6%), names of composer and country (7.5%), words (67.7%) and rhythm (66.7%). As a matter of fact, the feeling of music may be different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but it is important that the teachers teach accurately unified musical idea and tempo in the early days of school. There also found in the textbooks were thos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f living composers, miswritings and misprints. It is felt imperative, therefore, to recompile the textbooks on music of hogh schools in order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most desirable and correct vocal music as well as emotional music education, thereby eliminating any confusion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which often resulting from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the S8me music in textboo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