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0 Download: 0

중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시의 분석연구

Title
중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시의 분석연구
Authors
조영숙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국어과를 통한 정서교육에 있어서 시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매우 크고 중요하므로 교과서에 나타난 시를 분석하고 이에 교육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의의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교과서 분석 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지며, 앞으로의 교과서 편찬 및 교재시 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도표를 작성하여 나타내었는데 품사별, 시어의 내용별, 소재, 주제, 표현유형 등을 분석검 토하여 교육적 의미를 찾고 구교육과정과 현행 교육과정 중 국어과 교육과정을 정서 교육적 측면에서 비교 검토하여 차이점을 알아보고 교과서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고에서 제 2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구 교과서와 제 3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현행 교과서에 수록된 시를 비교 검토한 결과 작품 수나 어휘면에 있어 현행 교과서에 많은 비중을 둔 것은 제 3차 교육과정의 “풍부한 정서와 아름다운 꿈을 기른다.”는 국어과 일반목표에 부합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분석결과에 대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어휘분석에서는 품사별 분류에서 첫째,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관사, 부사, 감탄사, 조사의 8품사로 나누었는데 조사를 제외한 7품사 중 명사와 대명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구 교과서나 현행 교과서 모두 약 60~70%이고 감탄사는 2~3%로서 전체적인 비율로 볼 때 교재시에서는 수식이나 과장적 표현에 치우침이 없이 어떤 사상이나 사물을 직접적으로 표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종결어미 활용분포에서 볼 때 ‘-다’와 -ㄴ 다‘가 20% 이상 쓰인 것은 현재형적 표현과 현재진행형적 표현에 많은 비중을 두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며, 교육과정 일반목표 기본방계의 “긍정적으로 사고한다”는 항목과도 부합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내용별 분석에서는 첫째, 시제어에 있어서는 어제라는 과거형의 시제는 거의 찾아볼 수 없고 오늘이라는 현재형적 시제에 많은 비중을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 품사별 분석과 동일한 해석을 내릴 수 있다. 둘째, 모든 시어가 구 교과서와 현행 교과서 모두 중학교에서 많은 양이 나타나는데 감정어는 고등학교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는 고등학교교재는 1920~30년대에 쓰여진 시들이 많이 실린 까닭으로 보아, 교재시 편찬에 있어 시사적인 면의 고려를 엿볼 수 있다. 셋째, 물에 대한 시어나 그 밖에 천체어, 기상어 등등 자연을 소재로 한 시어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분류된 전 시어 중 약 50%로서 시의 감상세계가 자연에 직접 호소됨을 알 수 있다. 표현분석에서는 수사법 분석과 표현유형별 분석을 통해 첫째, 수사법에서는 비유법이 많이 쓰였는데 이는 우리 나라의 시인들이 고래로부터 비유적 상징을 많이 쓴 것으로 시사적인 입장에서 밝혀지듯이 교재시에서도 시사적인 면을 배제할 수 는 없다고 본다. 둘째, 표현유형별 분석에서는 자유형과 정형으로 나타나는데 자유형의 시가 대부분이며 정형은 고전에서 몇 수 찾아볼 수 있다. 이는 한국의 현대시사가 짧은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리듬’의 반복이 있을 뿐이라고 하였다. 이 ‘리듬’의 반복은 중학교에서는 낱말과 어구에 중점을 두고 고등학교에서는 어구와 문장에 중점을 두고 반복형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용분석을 통해서는 소재별 분석에서 자연과 사람을 대상으로 한 소재가 80% 이상 차지하고 있는 것은 분류된 시작품의 숫자로도 알 수 있는데 이는 시어분석에서 자연을 소재로 한 시어가 많은 이유가 되며 시어분석과 같은 해석을 내릴 수 있다. 작가별 분석에서는 작가의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대별로 나누어 볼 때 1930년대에 활동한 작가들이 가장 많은데 이것도 시사적인 면을 고려한 때문이라 보며, 95편의 작품류에 66명이라는 작가가 등장하여 2회 이상 중복된 작가가 있기는 하나 비교적 작가와 시풍의 다양성에 접촉시킬 수가 있다고 본다. 교육적 의미부여에서는 ‘교육 과정 제재 선정의 기준’의 덕목분류 중 시로서 도달할 수 있는 목표에 고루 배속되어 있음을 분석결과 알아냈다.;A Poem means experience ar rhythmical creation of beauty according to R.M. Rilke or E.A. Poe. To analize or partition a poem only causes hurt and damage to the srts. However, from an educational standpoint I will attempt to analize the textbooks now in use. Over the past thirty years poetry and prose has been reorganized many times which have cause major curriculum changes. In considering the changes we can discover the processes involving sentiment for out younger generation as well as the process of choice in poetry and prose. In this study I will not research historical development. In analizing the selected poetry in the third curriculum change I will explain only theas present situation of culture sentiment in the poetry education itself. Special emphasis will be made on poems dealing with ""nationality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awarness"" which is truly charactaristic of the present curriculum. Also in this analysis of the poets and their poetry an outlook of the literature relating to selecction treans of works, I intend to clarify several aspects of poetry selection from the deucational curriculum. 1. Analysis will be made of essential elements of vocabulary in poems which have been selected for teaching material. Analysis of Expression: I intend to develop pattern of expression used by analizing repected words and types of words. Analysis of Content: I intend to evaluate the worthiness of the poems which hae been selected for teaching material by analizing their themes, principle subject matter and types. 2. The analysis of the above will be mad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each relevant field of poetic study however, it will be difficult to find out the poetry transition by the above means. I will therefore, try to attempt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poetry education by making a comparative study from the second and third curriculum. In addition I intend to discover the change of views in teaching materials as well as the educational worth of the poems. Also the various trends will be evaluated concerning poets that are used and avoided. Through this study I intend to bring about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entimental trends and its effect on education and the Korean language as it relates to the national spirit of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