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영희-
dc.creator이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3Z-
dc.date.issued1976-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3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4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379-
dc.description.abstractKagok, one of the three genre of Chongak, takes very important position in our musical heritage for its refinement of vocal technique and rangement of expressivenes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a realistic attempt to understand artistic beauty by analyzing mus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Kagok. In order to analyze without any theoretical preconception, this article uses the method by which the musical theories follow inductively from data, that is, the results of examining Kagok in its various aspects as objectively as possible. In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the principal concern is nut on grasping the main melody and observing the progress of its central notes. Accordingly the appearanc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of each temporament and interval (see A and B of the attached Ⅱ and Ⅲ) are usee as reference materials for the analysis of melody. These materials are owed to "Kagok Bo" authored. by Lee Chu Hwan. The Kagok is divided into two keys that is, Kyemyonjo and Ujo. The main notes making up Kyemyonjo are Hwang, Chung, Im, being concentrative, while those of Ujo are scattered in five notes; Hwang, Tae, Chung, Im and Nam. The principal range of note of the songs in Kyemyonjo is from A to d' consisting one octave and perfect fourth. On the other hand, the note range of the songs in Ujo is from G to d', consisting one octave and perfect, fifth. When the modes of Kagok are viewed in terms of traditional four keys, the songs in Ujo correspond to Ujo mode which consists of Hwang, Tae, Chung, Im and Nam, making d as its key note, and the songs in Kyemyonjo correspond to Ujo. Kyemyonjo which consists of Hwang, Chung, Im. But this mode is considered as a slight variation of tradiditonsl Kyemyonjo of which five constituent notes are Hwang, Tae, Chung, Im and Moo. The basic pattern of Kyemonjo is made up of the upper note of major second and the bottom note of perfect, fourth, combining them with its centre. The central notes of Kyemyonjo are nsually g, d', d, G. Of these notes, g and d' are used in forming perfect basic pattern while d and G are used for imperfect basic pattern. In this article, melody patterns whose respective central notes are g, d', d and G are named as "Kye A Type", "Kye (2) Type", "Kye A' Type" and "Kye A' Type" in order. On the other hand, the two notes, e and E, are used as the central notes in Ujo. Of these only e is used in forming perfect melody pattern for most progress of melody in Ujo is made between G and g. This melody pattern with its central note as e is named "U A Type'. And the melody pattern using the central note as E, being named "U A' Type" appears usually in the closing part of melody. The main range of note of Ujosoyong is from e to e', making major sixth and its melody consists of "Kye A Type" and a-g melody which is the part of "Kye A Type". The range of note of Ujosoyong is from e to e' making one octave and its melody consists of "U A" Type" and "U A Type". This "U A Type", a type varied from the basic type, is the melody composed with the third as its centre. The ornaments and ornamental melody of Kagok combined with the main melody enhance to artistic beauty to the climax. The ornaments in the article are treated as the notes including ♪and below ♪ with independent time values and ornamental melody is defined as a melody consisting of central note or passing note ornamented with two or more notes. In order to grasp the ornamental melody, first, this article categorizes the central notes with ornaments appearing in the melody into the two divisions, up and down. And then, it is observed whether the progress of melody is made through passing note or directly. The ornament melody appearing most frequently in kyemyonjo is montioned in Ex. 9 and that in Ujo is mentioned in Ex. 14. The most characteristic of melodic structure of Kagok are revealed most remarkably in Chang 1 but the other four Changs show the similar progress of melody. After careful study of its melodic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Kagok it can be said as a conclusion that the basic pattern is Isudaeyop and other patterns of Chosudaeyop, Chunggo, p'yonggo, Tugo, Samsudaeyop, Soyong, Long, Lak, P'yon, and T'aep' yongga are considered as the melodies varied from the basic pattern, Insudaeuop.;정□의 3가지 종류 중의 하나인 가곡은 그 예술적 세련성과 곡목의 다양성으로 보아 우리 국악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현행 가곡을 선율중심으로 하여 음악적 구성 및 특색을 분석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그 예술미의 형식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가곡을 일절의 이론적인 선입감 없이 분석하기 위하여 악곡의 제측면을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그 데이터에 의하여 귀납적으로 악곡의 이론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현행 가곡의 중심선율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장식음을 일단 무시하고 선율의 중심을 이루는 음만의 진행을 살펴보며, 선율상의 한 고동박에서 여러 음이 나오는 경우에는 그 중 시가가 가장 긴 음을 그 고동박의 중심으로 삼았다. 따라서 중심선율에 나타나는 각 음율과 음정의 출현회수와 그 출현백분율표를 부표II의 A, B와 부표III과 같이 만들어 선율분석의 객관적 참고로 삼았다. 이 자료로서는 이주환 저 「가곡보」를 사용했다. 가곡은 2개의 조 즉 계면조와 호조(평조)로 나누어져 있다. 이 계면조의 주된 구성음은 황·중·림으로 삼음에 집중되어 있고 □, 호조는 황·태·중·림·남의 오음으로 음이 분산되어 있다. 계면가곡의 주된 음역은 □림종 ~ 청□□으로 한 Octave와 완전 4도이며, 호조의 주된 음역은 □중여 ~청황종으로 한 Octave의 완전 5도이다. 현행 가곡의 선법을 전통적인 사조의 입장에서 보면 호조가곡은 그 구성음이 황·태·중·림·남의 오음으로 황종을 주음으로 하는 호조평조에 해당하며, 계면가곡은 호조계면조에 해당하며, 그 음계상의 구성음은 황·중·림 3음으로써 이는 전통적인 계면조 즉 황·협·림·무의 오음의 선법이 간이하게 변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계면조의 기본형은 중심점에서 장2도위의 음과 완전4도 아래의 음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계면조에서 선율의 중심점은 중여·청황종·황종·탁중여이며, 이 중에서 완전한 □□형을 이루는 음은 중여와 청황종이며, 불완전한 기본□을 이루는 □은 황종과 탁중여이다. 중여가 중심음이 되어 이루는 선율형을 「계A①형」 이라 하였으며, 청황종이 중심음이 됭 이루는 선율형을 「계A②형」이라 하였으며, 황종이 중심음이 되어 이루는 선율형을 「계A②‘형」이라 하였으며, 탁중여가 중심음이 되어 이루는 선율형을 「계A①’형」이라 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인 계면가곡의 선율은 「계A②형」에서 황일림의 선율과 「계A①형」과 「계A②‘형」과 「계A①’형」으로 이루어졌다. 호조의 기본형은 중심점에서 단3도 위의 음과 완전5도 아래의 음으로 구성된다. 호조에서 선율의 중심음은 태족과 탁태족이며, 이 중에서 완전한 선율형을 이루는 음은 태족하나밖에 없다. 왜냐하면 호조의 대부분의 선율진행은 중여 ~ 탁중여에서 이루어지므로 태족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는 선율형밖에 없다. 이러한 선율형은 「호A①형」이라 하였다. 탁태조가 중심음이 되어 이루는 선율형은 종지선율에서만 나온다. 이러한 선율형을 「호A①‘형」이라 한다. 따라서 호조의 선율은 「호A①형」과 「호A①’형」으로 이루어졌다. 계면□용의 주된 음역은 중여 ~ 청태족로 한 Octave이며, 선율은 「호A①‘’형」과 「호A②형」으로 이루어졌다. 이 「호A②형」은 □본형을 벗어난 형으로서 삼도 중심으로 이룬 선율형이다. 현행 가곡을 중심선율에 장식이 되어 장식적인 선율과 장식음을 이루므로써 예술성이 극치에 달한다고 보았다. 본고에서의 장식음은 독립된 시가로 8분음표 이하의 음을 말하며, 중심음이나 경과음에 2음 이상의 장식이 붙어서 선율을 이루는 것을 장식선율이라 한다. 장식선율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선율상에 출현한 중심음에 장식음이 붙는 것을 상행과 하행으로 구분하였고 그 다음에는 선율이 진행하는 사이에 장식음을 거쳐서 진행하는 경우와 거치지 않고 직접 진행하는 경우를 살펴 보았다. 계면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장식선율은 (보례9)이며 호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장식선율은(보례14)이다. 현행 가곡의 선율적 구성 및 특색을 보면 일반적으로 초장을 제외한 그 밖의 장은 비슷한다. 그러므로 현행 가곡의 특징은 선율적 구성 및 특색을 살펴 본 결과 현행 가곡의 기본형은 식수대엽이며, 초수대엽·중거·평거·두거·삼수대엽·소용·농·악·편은 식수대엽에서 파생하여 변화된 곡이라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가곡의 중심선율 4 III. 음과 음정에 대한 통계 5 IV. 선율의 분석 6 A. 구성음과 음역 6 B. 가곡의 선법 7 C. 선율형 8 V. 장식선율 33 A. 계면조 34 B. 우조 39 VI. 각곡의 선율적 구성 및 특색 48 A. 계면조 48 B. 우조 58 C. 반우반계조 64 VII. 결론 68 참고문헌 72 부표 73 ABSTRACT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393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현행 가곡의 음악구조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남창을 중심으로-
dc.format.page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7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