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희자-
dc.creator오희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1Z-
dc.date.issued1975-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3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4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319-
dc.description.abstract1. 인간의 정신생활을 지, 정, 의로 나눌 수 있고 교육이 이러한 세 가지 면의 조화있는 교육을 목적으로 삼았든 그리이스 교육은 음악이 인간의 정신적인 면에 감화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조화있는 인격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해 왔고 음악이 미적 정조도치의 교육내용으로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음악교육이 정조의 도치 및 풍부한 인간성을 지닌 인간을 육성한다는 점에서는 어느 시대, 어느 교육에서나 마찬가지 이다. 정조란 일시적인 감정이 아니고 지속적인 것으로 인간의 욕구와 관계가 깊다. 감정(Feeling)은 예술교육의 창조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음악은 감정을 표현하는 주관적이고 직관적인 세계라 할 수 있다. 음악에 있어서 창조라는 것은 단순한 창작만이 아니고 음악의 표현활동 즉 가창, 기악, 감상분야에서도 창조적인 활동을 할 수 있다. 교육에서는 「특수한 재능의 창조성」을 육성함과 동시에 모든 학생의 「자기실현의 창조성」도 육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고도화된 기계문명의 발달은 인간성이 상실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Sputnik사건 이후 창조성에 관한 문제가 각 교과에 걸쳐 중요하게 다루어지게 되었다. 음악교육의 이러한 특성은 그 교육적 의의가 어느 분야보다도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이 지니고 있는 표현과 창조의 자연 본능적 요구를 음악을 통해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은 아동기와 청년기의 중간적인 입장에 있는데 사춘기 중학생의 급격한 신체성숙도 사회적 정서적인 면을 고려해서 「기본 능력의 배양」 「지식체계의 이해」「비판력과 창의력 계발」 「자기 가능성의 발굴과 육성」 등을 중학교 교육목표에서 중점을 두고 있다. 인간이 문화가치를 창조한다는 점에서 전승된 문화유산을 향유보존하고 전달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여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창조적 기능을 키우는 것이 교육의 기본기능이라 할 수 있다. 중학교 음악과의 일반목표에서도 「음악의 체험을 통한 음악성과 창조성 계발」「음악적 감상과 기술의 발달」「창조적 표현능력과 감상적으로 느끼고 이해할 수 있는 감상능력 배양」「문화유산 계승」에 중점을 두고 있다. 중학생 일학년 학년목표에서는 「즉흥적인 표현능력을 길러 극히 단순한 일반적인 가요형식의 가락을 지을 수 있게 하며 단순한 편곡도 할 수 있게 한다」라고 제시하였다. 이는 창의적인 표현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음악성, 나아가서는 창조성을 계발하고자 하는데 그 의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도가 일선 현장에서는 고루 침투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실정인 것 같다. 음악교육에 있어서의 창조성의 위치가 음악교육의 중핵을 이루고 음악과의 최종목표라 할 수 있으므로 음악과 네 영역, 즉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을 유기적으로 통합지도함으로 학생들의 음악성을 높이고 창조성이 풍부한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음악과 수업과정 및 종합적인 연구방법을 연구 검토하므로써 음악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창조성 계발학습에 사용하는 제 요인분석 및 음악과 지도목표에 달성할 수 있는 수업구조를 일학년을 중심으로 구상함과 동시에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네 영역 가운데 자칫 소홀해 지기 쉬운 창작학습의 실제수업현황을 서울시내 60개교에 근무하고 있는 음악교사 9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 분석했다. 3. 문헌연구 및 조사연구에서 얻어진 자료에 의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론을 맺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창조성을 계발시킬 수 있는 음악교육의 기초로서 무엇보다 체계 있는 기초지도의 실제적인 지도방법이 연구되어야 하겠다. ② 학생의 표현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단계적인 교수방법을 택해야 한다. ③ 가창, 기악, 창작, 감상 등을 통한 유기적인 통합지도하에서만이 올바른 음악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창작학습은 그 지도목표에 도달되기에는 시간배당 및 학생들의 실력이 미치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기에 창작학습시간을 늘여 주어야 한다. ④ 학생의 음악성, 창조성 계발은 교사의 자질과 지도록 여하에 따라 좌우됨을 명심해서 지도교사의 자질 및 지도방법의 개선과 노력이 요망되고 있다. ⑤ 창의력 계발을 위해서는 학생 자신의 창작활동표현의 기회를 보다 많이 마련해 줘야 한다. ⑥ 창조적 표현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수업구조개선에 관한 연구기관을 조직하여 수업자료, 지도방법 등을 연구, 검토할 수 있는 행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⑦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로 끝났으나 앞으로는 실험연구 및 현장연구를 전개하여 적극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결과가 나와 주기를 바란다. ⑧ 본 연구는 중학교 일학년만을 중심으로 했으나 전 학년을 통한 표현학습의 학습 자료가 나와 주었으면 한다. ⑨ 본 연구가 앞으로 창조성 계발교육에 다소나마 공헌이 된다면 연구자로서의 보람을 느낄 수 있으리라 믿는다.;1. The spiritual life of man can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intelligence, feeling, and intention .As the Greek education which aimed at the three symmetical cultivation of music had a great influence upon the harmonious formation of character, so music had a spiritual influence a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beauty and sentiment. Music education has been as important as any in cultivating men who have sentiment and abundant human nature in every field of education of all ages. Sentiment is not a temporary feeling but a successive one and it has deeply connected with man's desire. Feeling plays on important role in the creative process of art education. Therefore, we can easily express our feelings through music, which is the world of subject and object to express one's feeling. In music, creation is not just a creativity but the cepressional activity of music such as singing, instrument playing, and listening. We can say that the aim of music education is bringing up not only creativity in ""special ability"" but ""creativity of self-reslization"" of all students. Expecially in the days of highly-developed machine civilization, human nature is being lost now. After the Sputnik accident, the matters of creativity have greatly been dealt with in every educational field. Therefore, this characteristic of music education is as great as any is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Naturally the students' inherent expressions and asking of natural instinct should be taught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s by music. The chief aim of music education in Korean juniou high schools lay amphasis on the basic treining such as ""an understanding of knowledge system"", ""the development of criticism and creativity"",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and spiritual aspects, and the rapid growth of physical bodies which are in the intermediate term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ce. It can be said that the basic function of education is that we enjoy the descende cultural heritagem, preserve, and recreate by excavating creative function in that man can create the cultural value. Therefore, the general aim of music in junior high schools is mainly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rough musical experience"", ""the development of musical feelings and skiles"", ""the cultivition of creative expression and listaning"" in feelings as well as understanding music. The aim of music education is junior high schools by each grade is presented as ""to compose the simple and general song and the simple arrangement by cultivating improvisation ability of expression. The intention of this purpose if for students' musical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creativity but, as far as I know, it is the actual circumstance that the educational purpose is perfectly and evenly not being carried out in the educational field. As the situation of creativity in music education consists of the kernel, singing, instrument playing, and listening should be systematically taught to enhance students' musicality and it would be helpful in bringing up the human beings full of creativity and we should examine and study the teaching process as well as the synthetic teaching method. 2. The method of research is to analyse the factors of creativity in development education and to make the curriculum suitable for the 1st grade only. The frame of teaching is made for the 1st grade to realize the music education.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teaching which was a most neglectful of creativity was investigated and analysed by the 95 music teachers in about 60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3. We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records and research. a) First of all, the basic and systematic method of music teaching should be made as a part of the basic music course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b) The gradual teaching method should be adopted to enhance the student's expressional ability. c) Though we know that a wonderful instruction should be made only through systematically incorporating the teaching of four music skills but the quote of the total music hours is fer from sufficient and much more hours will be needed for creative music education. d) We should remember that the success of developing musicality and creativity depends on the ability and leadership of teachers. Therefore we have to make efforts to impreve the ability of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e) The more expressional opportunity should be given to develop creativity of the students' own. f) The administrative backups for studying and examining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are keenly needed in organizing the research center on the teaching reformation for creative activity of musical expression. g) This report has ended up with the research of records and investigation but I hope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experiment and fieldwork will be active and successful. h) This report is centered for 1st year students, and the report for all grade students will be made soon. i) I should be very glad to make efforts on the research if this report could be devoted to the development education of creativity in some degre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의 제기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B. 이론적 고찰 6 C. 분석문제의 설정 15 D. 연구방법 및 절차 15 II. 본론 16 A. 교사로서의 자질, 역할 및 기대 16 1. 교사의 자질 및 역할 16 2. 창조적 활동에 있어서 교사의 유의점 18 B. 창조적인 표현학습을 위한 수업구조 21 1. 중학교 1학년의 표현학습 내용의 배열 21 2. 중학교 1학년의 표현기능을 위한 구체적인 지도내용 26 C. 창조적 표현의 실제적인 지도방안 모색 31 1. 리듬문답 31 2. 선율문답 32 3. 즉흥연주 33 4. 인성반주의 화음합창 34 D. 실제수업현황 분석 35 III. 결론 50 A. 연구결과의 요약 50 B. 대책과 제언 53 참고문헌 55 ABSTRACT 57 [부록]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119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음악과 표현학습에 있어서의 창조성 계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dc.format.pageix,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7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