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정희-
dc.creator이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8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3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25-
dc.description.abstract30년 동안 국사교육에도 변화한 부분이 많으며 반면 변화의 속도가 매우 느린곳도 있다. 해방전의 미개발상태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국사교육에 관련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앞으로의 과제를 생각해보려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국사교육을 위하여 교육과정의 일반이론을 교과별로 적용시켜 학습내용을 어떤 원칙 밑에 선정하고 조직해야 할 것인가를 규명하려하였다. 일반이론과 국사학은 잘 부합되는 점도 있지만 국사학의 특수성 때문에 융합하기 어려운 점도 있다. 즉 시대적균형 영역별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원칙은 일반이론에는 없다. 근세로 내려오면서 더 많이 가르쳐야 한다는 것은 알고있지만 현행교과서는 고려시대의 분량이 가장 많다. 따라서 조선시대를 더 세분하는 시대구분도 필요하다. 또한 정치사 이기보다는 정치기구나 제도의 설명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서 무엇이 진정한 정치사인지도 분간하지 못하는 교사들에 의하여 교과서를 설명하여 가르칠 뿐이다. 따라서 교과서는 가장 중요한 교육자료이며 교과서의 원본격인 교과과정을 어떻게 꾸미느냐에 따라 국사교육은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더구나 교과서의 서술이 평면적이어서 내용의 경중을 시사하지 않고 많은 용어를 나열하기 때문에 교사들을 보충설명을 하다보니 고등학교 수준으로 가르치게 된다. 해방직후에는 교육과정도 없고 교과서도 불충실하며 학문적 업적도 적었다. 진정한 국사교육을 논할 수 있는 것은 1955년 제1차 교육과정 개편때 부터이다. 1차개편(1955) 당시에는 미국의 사회생활과 교육의 영향과 세계인양성을 지향하는 풍조가 있어 국사교육은 중요시하지 않았다. 초등학교에서는 한 개의 단원에 축소되었고 중학교에서는 동양사 서양사와 비슷한 1/3의 비중이었다. 또 시간배당에 있어서도 그러하였다. 2차개편(1963)때에 있어서 중학교 2학년에서 전적으로 역사과목을 가르치되 국사 세계사를 합쳐서 가르치도록 하였으나 얼마가지 아니하여 다시 국사와 세계사로 분리시켜 3.3 대 6.5의 비율로 가르쳤다. 3차개편(1973)에 이르러 국사교육의 강화를 내세우고 국사과목이 독립하였으며 국사는 세계사보다 더 많은 시간수(4:3)를 차지하기에 이르렀고 국사교과서는 국정화하였다. 이러한 변천과정은 매우 급격한 제도의 변화였으나 교과서 내용이나 체제는 서서히 변하고 있으며 어떤 면에서는 변화가 부진한 면도 보인다. 시대구분, 내용배열, 딱딱한 서술, 재미나 매력없는 삽화와 지도학습의욕을 돋구어 주는 요소 등에 있어서 연구의 여지가 많다고 하겠다. 국정화되어 교사들은 사용하기에 편리한 점도 있으나 내용선정이 비합리적이거나 주관적으로 흐르는 데가 많다. 이제 국사교육은 학계의 업적을 충분히 받아들여 고등학교와는 성격이 다른 중학교 국사교육의 목적과 교과서를 만들어 내는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시기에 이르렀다고 본다.;For 30 years from the liberation of 1945, teaching Korea History has been changed in many aspects, but some other just still remains as it was.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transition of currculum and text-book concerning the Korean History is middle school level, and then predict abort the coming problem which might be sccured in the future actwaly, text-books is the most improtant and indispensible materials for education.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is the great effect on the Korean History teaching. For example, in Korean History text-book, its description was horizontal, so to speak some kind of array, so it did not tell what was important or not definitely and used many special terms, at last teachers became to teach the student with very high level in over junior high school. With the above general theory, we will sumorize my study as below. 1) Just after the liberation from colonialship in 1945, there weren't existed such currculum like Korean History and Korean Language, and also text-book was very insufficient. For that reason, we hard got proper evidences about Korean History education. We should meet the first Revision in 1955. 2) At around the time of the first revision of currculum in 1955, the impart and circomstance of westrem life cycle and education system so high that they didn't think Korean History very much. In elementary school, Korean History placed a very little position in the curriculum, and also in high school, it's ratio education was the same as oriental history and world history. 3) In time of second revision (in 1963), Korean History was contained in general history, but soon it was seperated from world history with the ratio of 3.5 and 6.5. 4) But in fourth revision in 1973,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determined to emphasize the Korean History, result of the policy Korean History became independent from social studies and it's text-book was authorized by the government. These transition was seemed to be a radical but its content and system have been changed very slowly, and in some sense in some aspects, it was nonprogressive one. It seen to be rooms for developments and revisions in counterpart of the times, arrangement of events, dull and stublion narrations, unattractive edition students, etc. As for as the authorized text-book by government, it has some merits in which teachers use easily but the choice of main theme and topic is unreasonable and irregular, sometimes very subjective to the writers. Now, this is the vary time that we may make the last text-book fit the aim and objective of education of Korean History. That should be the finest one which covers all the achivents of our historians, not the tradition, but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A. 교육과정의 내용설정과 조직의 이론 3 B. 국사과 교육과정의 조직 14 Ⅲ.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32 A. 8.15후의 상황 32 B. 1955년의 교과과정 32 C. 1955년의 특징 33 D. 1963년의 교육과정 특징 37 E. 1973년도 교육과정 42 F. 교육과정의 변천의 단계 47 Ⅳ. 국사 교과서의 변천 50 A. 1945∼1955년 50 B. 1956∼1963년 53 C. 1964∼1973년 59 D. 1974∼현재 64 Ⅴ. 결론 71 참고문헌 73 영문초록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915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해방이후의 중학교 국사교육의 변천과정-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역사교육분야-
dc.date.awarded197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