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학교음악의 생활화에 대한 실태조사연구

Title
학교음악의 생활화에 대한 실태조사연구
Authors
이귀향
Issue Date
197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 교육법에서 규정한 음악교육의 목적을 보면 명랑하고 화락한 인간을 만들기 위한 기초적인 이해와 기능을 갖게 한다고 되어 잇고, 문교부에서 제정한 국민학교 교육과정 음악과의 일반목표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음악의 체험을 통하여 아름다운 정서와 원만한 인격을 갖추게 함으로서 바람직한 국민으로서의 교양을 높이고 애국애족하는 마음과 문화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 및 태도를 기른다고 되어 있어서 음악교육의 목적과 목표가 뚜렷하게 명시되어 있다. 음악교육의 방법도 종래와는 달리 현대음악교육의 특색을 잘 나타내는 방향으로 지도되어 음악하면 창가로 여겼던 때에서 벗어나 창가, 기악, 창작, 감상 등을 고루 포함하는 것으로 지도되고 있으며 지도의 개념도 교사중심에서 아동중심으로 지도하여 어린이들의 심미적인 심성도치나 생활화된 장음악을 경험? 체득시키고 있으므로서 어린이들이 학습한 음악이 생활화 되었다고 보아야 하는 것이다. 국가의 발전과 더불어 밀려 들어온 외국의 대중가요와 국내가요의 물결은 일반대중은 물론, 신성시한 학원에까지 침수하고 심지어는 순진한 어린이들에게 까지도 적지않은 영향을 주어 학생들의 정서생활을 크게 해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아동들의 일상생활에서 그들이 학교에서 학습한 음악이 어느 만큼이나 애창되며 생활화되고 있는가 하는 것이 크게 문제가 되어진다. 한편으로는 막연하게 추측만 하여서는 앞으로의 TV나 라디오에서 나오는 비교육적인 노래가 어린이에게 미치는 악영향을 바로 잡을 수가 없음으로 그 구체적인 문제점을 찾고, 또한 교사들의 음악수업의 운영실태 등을 조사하여 올바른 음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다소나마 기어코자 함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음악의 생활화 실태”에 중점을 두고 교사들의 의견을 참고로 하였다. 아동들은 서울시내 국민학교 학생 약 2100명을 대상으로 각 문항별로 성별, 지역별, 학년별로 나누어 조사?분석하였고, 교사들은 약 300명을 대상으로 각 문항별로 성별, 경력별, 출신학교별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였다. 이 결과로, 1. 음악환경과 시설이 좋지 않은 B, C지역 아동들이 가정에서 문화이기로 TV, 라듸오, 전축 및 피아노 등을 구비하고 있는 환경이 좋은 A지역 아동들보다 교육적 가요를 더욱 애창하여 학교음악을 생활화 하고 있었다. A지역 학교의 학생들에게 나타난 이러한 현상은 매스? 콤의 영향이 아닌가 생각된다. 2. 우리나라 국민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가창지도를 볼 때, 현행 교과서의 노래가 아동의 생활에 깊이 파고 들지 못하는 원인은 교사의 질문에서도 반응이 있었지만 오래된 노래라는 점이다. 이점을 볼 때, 음악과의 교과서를 편집과정에 있어서 가창분야를 고려하여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3. 교사들의 음악수업 운영실태에 있어서도 분야별로 볼 때, 가창지도가 가장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들의 지도방법에 한 분야로만 치중하여 지도하는것 보다는 통합적인 지도를 해야 할 것이다. 4. 학교음악의 생활화는 어느 정도 이루어짐을 알 수 있는데 우려되는 점은 매스? 콤의 문제다. 방송음악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을 보더라도 아동들은 학교노래, 동요 등을 좋아하고 있지만, 실제 우리생활에 무분별하게 만투하고 있는 것은 비교육적 가요이다. 그 이유로는 비교육적 가요를 좋아하는 이유조사에서 “라듸오나 TV에서 자주 부르니까”라는 반응이었다. 매스? 콤 관계자들은 내용의 저속성을 지양하여 교육적인 방송으로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문제점들이 개선됨으로서 올바른 음악교육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으며, 학교음악의 생활화가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는 바이다.;The clearly defined goal of music education under the act of educational law is following that the goal of music education is to give children the better understanding and functions, to provide them emotional balance. Harmonized personalities through the curriculum of music as well as the needed daily experiences so as to make cultured people as the desirable citizens, to develop children' abilities and attitudes toward cultural development of the nation. Present, music education different from what was considered as merely teaching songs has been changed to the direction of modern distinctive teaching particularly categorized into singing, instrumental music, composition etc. The concept of teaching music has changed from. the teacher-cen-tered teaching to the children-centered teaching that may be enable children to experience by the actual living teaching methods. Hence, it was observed that music education has become a part of their actual lives. It is very hard to deny that the strong tide of popular song from our country and other foreign countries has been affecting the emotional lives of in nocent children due to the development of nation. So much so that we may doubt about how much are children fond of singing songs learned in school or music classes and how much would they adopt music or songs to make use of it in the actual lives? Consequently, in the sense that bad influences of anti-educational music by masscommunications such as radio, T.V, can't be measured,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the problems encountered in music education so as to be able to provide the better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to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by means of critical analysis of actual teaching situations of music classes. The procedure being used for the study of the actual 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music in childrens actual lives' is based on the critical analysis of how music teachess handles the curriculum in the classes. The sample condisted of about 2,100 children taken from five schools in Seoul who are classified according to sex, region, grade, is subjected to the survey. Around 300 teachers out of total population of teachers in Seoul is chosen followed by sex, period of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for the analytical survey. Following conclusions are dervied from the study; 1. Children from good musical situations and facilities at home show greater degree of acceptance of school music in actual life than those from below or average musical facilitis at home. It is also concluded that masscommunications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self-decipline and the better understanding is necessary for those working for mass-communication. 2. As for as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eaching method, curriculum are concerned, the reason why songs in music text books are not apt to be accepted, as indicated in the responses of the teachers, is due to the content of the music: text books which is more emphasized on old songs. Therefore the content of music text book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 music curriculum need to be revised. 3. As shown in the analysis of actual situation of teaching, teaching songs is highly valved and considered by teachers. Different fields in teaching music should be integrated into balanced teaching method. 4. The degree of school music acceptance is becoming greater. However, mass-communication is regarded as very influential factor. Because the strong constant influence of anti-educational songs are intricating into childrens actual daily lives, no matter how children may like school music, and songs. It is indicated in the responses of the subjects that children like antieducational songs simply because they are being heard through radio, and T.V. Hence it is concluded and recommended that the program of radio and T.V are required to be reconstructed, reorganized and developed in order to carne up with the bettor musical education and right direction to th, acceptance of school music in childrens actual l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