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한국교회음악의 발전상

Title
한국교회음악의 발전상
Authors
김정희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에 기독교(개신교)가 들어온 1880년 당시는 성경은 물론 찬송가도 중국의 것을 번역하여 사용하는 교회음악의 요람기였으나 신자들이 증가됨에 따라 당시의 타종교와 미신, 그리고 일반 국민들로부터의 서양종교라는 멸시와 천대 속에서도 발전하여 1892년에 감리교에서 악보 없는 찬양가를 한국 최초의 찬송가로 출판함으로 한국교회음악이 시작되었고, 1893년에는 장로교의 언더우드( H. G. Underwood) 박사가 4성으로 된 찬양가를 발행 하였다. 그 후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 등 각 교파의 교세 확장과 더불어 각 교회에서는 찬송가와 성가가 질과 양적으로 크게 발전 보급되었고, 성가대 및 주일학교 등의 각종 행사를 통한 음악활동도 활발해졌다. 따라서 성악을 비롯하여 오르간, 피아노 등 악기의 보급은 물론 작사, 작곡, 편곡, 평론에 이르기까지 한국교회음악은 우리나라 음악의 절대적인 선구자적 역할을 담당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일제시(1910~1945)에는 기독교 음악이 애국정신 운동을 주도하게 되었고 금주, 금연, 국산품 애용 등 국민정신 계몽에도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해방 후 1949년에 합동찬송가가 발행된 이후 양과 질적으로 발전했지만 세계교회협의회(W.C.C.)와 교회협의회(N.C.C.)간의 대립으로 찬송가는 분열되기 시작 하였다. 선교 100주년을 맞이하는 오늘날에는 종교음악도 많이 발전되어 일부대학(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에서는 종교음악과가 창설되어 종교음악 지도자를 양성해 내고 있으며 이들 대학이나 성가대 등을 통한 헨델(G. F. Handel)의 오라토리오 메시아(Oratorio Messiah)와 같은 대곡 연주회도 연례행사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교음악의 보급은 또한 몇 몇 기독교제 방송국을 통하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교회음악의 발전상을 더듬어 보기 위해서 각 교파에서 사용하는 찬송가와 성가를 대조하여 보고 또한 시대적으로 한국교회음악이 민족교육과 사회, 문화 및 교육운동에 기여한 내용 등을 현존해서 있는 분들, 또는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고 나아가서는 현재 진행 중인 찬송가 통일운동의 전망까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교회음악에 있어서 모방과 번역에 의한 찬송가 보다 한국 국민의 생활과 신앙적 체험으로 우리 민족의 찬송가로 개편하려는 운동에 관하여는 초대교회 목사들과 초기 선교사들 당시부터 시도가 되었으나 이를 위하여 찬송가 위원회에서 새로이 한국적인 찬송을 개발하는 작업에 적극성을 띠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비록 1세기의 짧은 역사지만 세계적으로 발전하여 해외에 선교사까지 파송하는 부흥기를 맞이하여 찬송가 통일운동에 기대를 걸고 우리 생활과 신앙적 체험에 맞는 한국적 찬송이 좀 더 보급 발전되기를 바라며 또한 교회음악을 발전하기 위하여 목회자의 종교음악 이해와 성가대원의 노력, 평신도의 음악적 소양의 수준과 의욕의 강도도 좀 더 요구되는 바이다.;In the cradle age of Korean church music, when Christianity (Protestant) came into Korea in 1880, Bibles and hymns were used after translating from Chinese, Along with the in-crease of Christianity, the sa-called 'western religion,' it's music developed in spite of the contempt and cold reception of other religions. In 1892 the Methodist Church published the no-tune hymnal which was the first one in Korea. This was the beginning of Church music in Korea. In 1893 Dr. Underwood of the Presbyterian Church published a hymnal which was composed in four parts. With the expansion of each denominations such as Presbyterian, Methodist,, and the Holiness Church, hymnals and sacred songs sprea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in each church. The musical activities of various kinds, such as, choirs and Sunday Schools became active. Accordingly, Korean church music took charge of the pioneer-role in the modern.'ration of music in our country. This modernization included the development of vocal music, the popularization of instruments like organs and pianos, and the progress of musical composition, versification, and arrangement. During the Japanese rule, Christian music lead the national patriotic movement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national enlightenment, such as the temperance movement, prohibition of smoking, and buying home made products.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ntrol, hymns were more readily available and easier to understand with the publishing of the Hapdong Hymnal in 1949. Because of the opposition between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and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N.C.C.), different hymnals were published. After 100 years of the Christian missionary movement, in Korea, Christian music has developed considerably. Now we have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Christian religious music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have produced leaders in the field. Concerts of great works such as, H□ndel's Messiah performed by collages and choirs make up annual events. Tracing back the development, of church music listed above, hymns and sacred songs that are used in each denomination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details of Korean church music have contributed to national education,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movements. This is documented through the living witnesses and literatures. The prospect of the hymnbook unification movement is proceeding now and is included in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nationalization of hymns in church music was already tried by the first-church ministers and by the early missionaries. More deliberate and scientific measures are needed for this purpose, Even though the history of Christainity in Korea is only one century, we face t he age of prosperity which developed world-wide. We are sending missionaries abroad and I look forward to the unification movement of the hymnbook. I hope Korean-style hymns which fit to our emotion and rhythm will develop. In closing, the pastors' understanding of religious music, the efforts of choir members, the musicality and desires of Christians are needed more for the development of church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