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영숙-
dc.creator안영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1Z-
dc.date.issued197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5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2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564-
dc.description.abstract本 硏究의 目的은 舊韓末時代에서부터 1970年代 現行 敎育課程에 이르기까지의 女子大學校 家政科 敎育課程의 變遷 過程을 歷史的으로 考察하는데 있다. 本 硏究는 文獻 硏究를 中心으로 可能한 限 敎育課程에 關한 原資料를 찾고, 그 變遷過程을 比較하고, 各各의 敎育課程의 特徵을 살폈다. 第3章에서는, (1) 舊韓末時代의 高等女學校 家政科 敎育課程을 分析하고, (1) 日帝時代 第1次, 第2次, 第3次 朝鮮敎育令에 따라 改編된 女子高等普通學校 高等女學校 等의 敎育課程을 살피고 (3) 解放 後 第 1, 2, 3次 敎育課程의 變遷過程을 比較, 分析하였다. 그 結果를 硏究問題에 비추어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舊韓末時代·日帝時代 家政科 敎育課程의 特徵으로는 家政科 敎育全體 敎育課程 時間配當에 비하여 約30%에 該當되는 實用主義 敎育을 强調, 人文·社會敎育은 적게 比重을 두었다. 2. 解放以後 家政科 敎育課程 改編에서 찾아 볼 수 있는 一般目標의 變遷 事項은 ① 過去 手足만을 움직여 일하게 하던 單純 作業에서 벗어나 生活에 必要한 基本的 基礎 技能을 習得케 하여, 合理的이며 生産的으로 家庭生活을 營爲할 수 있게 하였고, ② 우리의 美風良俗에 對한 理解를 强調하였다. 3. 解放 以後 家政科 學年目標의 差異点으로, ① 低學年에서는 基礎的인 것에 置重케 하여 綜合課程의 基盤을 닦는데 두었으며, ② 2學年에서는 習得된 基礎技能을 擴散 發展시켜 家族 相互間의 生活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였고, ③ 高學年에서는 旣히 익힌 知識과 技能을 바탕으로 實生活에 應用 發展할 수 있게 하였다. 4. 解放後 家政科 敎育課程의 指導內容 變遷過程은, ① 軍政時代에는 日帝時代의 家事科 敎育內容을 약간 수정한 것이었고, ② 1955年과 1963年에 改編된 敎育內容은 經驗中心 敎育課程의 基本思想에 의거 實習과 技能의 內容을 强調하였다. ③ 1969年 部分的인 改正에서는 國民敎育憲章의 精神을 反映하기 爲하여 勞作을 通 한 勤勉·協同·奉仕를 새 家庭과 國家社會와의 關係 理解를 促進시키는 內容이 强調되었다. ④ 1973年度 改編에서는 家政科를 家政科目과 家事科目으로 分離하고, 家政科目에서는 統合的이고 實踐的인 科目의 性格을 살리면서 基本槪念을 尊重하고 學問中心 敎育課程의 性格을 띄게 되었다. 家事科目은 家庭生活을 對象으로 하는 敎育의 範圍를 벗어나서 産業社會에 適應하는 專門分化的 實技 또는 技術敎育에까지 發展시키고자 하는 意圖가 包含되어 있다. 5. 解放 以後 家政科 敎育課程上의 留意点에서 强調하고 있는 点은, ① 1955年 第1次 敎育課程 改正에서는 學習目標를 具體的으로 設定하는 일고 1人1技 敎育을 强調하였고, ② 1963年 第2次 敎育課程 改正에서는 經驗中心 敎育課程에 立脚하여 家庭에서는 安全, 變化하는 家庭 그리고, 經濟的 實際生活에 잘 應用하도록 指導할 것을 强調하였으며, ③ 1973年 第3次 敎育課程 改編에서는 家政科 敎育內容의 合理的 理解와 實際的 適用의 兩面을 모두 强調하여 指導하도록 提示되어 있다.;The study aims at historically examining the transitional process shown in curricular home economics for the girls' junior high school, ranging from the late YiDynasty to 1970s. This study relies on the literature, by which the possibly more reliable data for curriculum is pursued to find out, and transitional process is compared with one another,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manifested in each of curricula. Mention is made in Chapter II of tho tendenc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urriculum on theoritical level. In Chapter III, an analysis is made of curricula of home economies for the girls' senior high school in the late YiDynasty; the curricula of the girls' senior high school reformed in Compliance with a serise of three Chosun Education Regulations are thorough reviewed, and the transitional aspects of curricula reformed by a series of three times are compared and analysed. The resultant finidings can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 1. Home economics forms some 30% of the total curriculum, putting emphasis on practical training, and considerably low gravity is put on cultural sciences and social studies. 2. Vital importance is put on the contents needed for daily lives, and efforts are made for cultivating human resources that can be applicable to an industrialized society. 3. An intention is made that the knowledge and technique obtained in school could be adjusted to daily life. 4. A transitional tendency from life-to society-centered one is shown for students to be endowed with the technique that could be adjustable to an industrialized society. 5. Homemaking education aims at both practical and theological phases in daily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취지및 목적 1 B. 연구의 문제 2 C. 연구 방법 및 절차 3 II. 이론적 배경 4 A. 새로운 교육과정 운동 4 B. 현행 교육과정의 방향 7 III. 우리나라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변천 10 A. 구한말시대의 가정과 교육과정 10 B. 일제시대의 가정과 교육과정 17 C. 해방후의 가정과 교육과정 28 IV. 결론 55 참고문헌 58 영문초록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95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변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58, ii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dc.date.awarded197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