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귀수-
dc.creator유귀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0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1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83-
dc.description.abstract1957년 소련에서 인공위성이 발사되고, 이어 Bruner의 「교육의 과정」이 출간된 이래 교육계에 일어난 일대 혁신은 지식의 구조를 강조하는 학문 중심 교육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정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는 각 학문의 성격을 밝히는 일과 그것을 각 발달 단계에 맞게 이해 가능한 형태로 분석하는 일이다. 그리고 이 두가지 관심사는 서로 밀접한 관련 속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문 중심 교육과정에 충실하게 지리과를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지리학의 학문적 성격과 개념을 밝히고, 초? 중등학교 학생들의 지리학적 개념 발달을 조사하여 지리학의 경우에 나선형 교육과정의 실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결국 이 논문에서의 문제는 지리학의 학문적 성격에 충실하게 학생들에게 지리학을 가르칠 수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그럴 수 있다는 증거가 무엇인가 하는 데에 있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첫째 문헌 연구에 의하여 지리과의 교육내용이 무엇이며, 그것을 이해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는 것과, 지리과의 내용에 관한 학생들의 개념 발달 과정을 다룬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개념 발달 과정과 교육과정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았다. 전자의 문제에 관해서는 지리학의 학문적 성격을 고찰하고 지리과의 교육내용을 일반적으로 고찰한 뒤에 그 중에서 “순환”의 개념으로 지리과의 교육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하였다. 둘째, 조사에 의하여 지리학적 개념의 발달 경향을 알아보았다. 조사 대상은 서울 소재 국민학교 2학년 아동 15명, 5학년 아동 15명, 중학교 2학년 학생 15명이었다. 조사 방법은 지리학적 개념(순환)을 선정하여 면담으로 학생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는 방법을 취하였다. 셋째, 앞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지리학의 개념을 나선형으로 가르칠 수 있는가, 만약 있다면 어떤 방식으로 가르칠 수 있는가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지리과에서는 근래 교육과정 동향의 영향을 받아 지리학의 기본 개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노력이 일어나고 있다. 2. 지리학은 성격상 여러 기초 학문으로 성립된 종합적인 문학이지만 그 안에서도 지리학의 특유한 개념과 원리를 발전시키고 있다. 3. 지리학의 개념은 연령층에 따라 상이한 수준에서 이해된다. 이것은 곧 지리학의 개념이 특정한 연령층에 맞게 번역되면 아동에게도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4. 지리과의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데는 지리학의 기본 개념을 인식하는 이로가 그 개념을 발달 수준에 맞게 번역하는 일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describe in detail the ways in which the students understand a geographical concept at various stages of development. An attempt is also made to identify the typical pattern or level of understanding at each stage. The study is facilitated by the idea of ""spiral curriculum"", in which the major concern of the curriculum construction lies first in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subject matter, or discipline, in terms of the basic concepts, and then in translating those concepts into a form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students at various stages of development. It i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spiral curriculum in geography. An examination was made of the nature of geography as an academic discipline. Based on this examination a survey was done to analyz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at various stages. The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discussion of the nature of geographical studies and of the major concepts in geography. For the second, a selected geographical concept (""circulation"") was presented in question form to 15 students from each of the elementary 2nd grade, 5th grade, and middle school 2nd grade. The questions were presented in an individual interview, and the responses were recorded and analyzed. In the third part a discussion was made of the possibility of organizing the spiral curriculum in geograph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ttempts are being made in geography to reorganize the school curiculum in line with the recent emphasis on the basic concepts of the discipline. 2. Even though geography is a multi disciplinary field of study, a set of unique concepts are developed in geography. 3. Mode of understanding geographical concepts varies according to the stages of development. This implies that the concepts, if properly translated, can be understood by the students at various stages. 4. In organizing the subject matter, two conciderations are of particular importance: to identify the basic concepts and to translate the concepts in a form that can be understood at various stages of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7 A. 지리학의 학문적 성격 7 B. 지리과의 교육 내용 18 C. 지리학적 개념으로서의 순환 27 D.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와 나선형 교육과정 35 III. 연구의 방법 40 A. 표집 40 B. 도구 40 C. 절차 및 자료 처리 42 IV. 결과 및 해석 43 A. 왕래를 하게 하는 요인 43 B. 장애극복의 목적 51 C. 집중 현상의 원인 57 D. 순환 유형의 변화 62 V. 결론 및 논의 69 참고문헌 72 영문초록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164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지리과 나선형 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기초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197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