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옥승-
dc.creator양옥승-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5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1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60-
dc.description.abstractIt has been widely believed among teachers and educators that a good child care is accounted for by mothers educational level, social status of their job,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ir profession. The focus of interest i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impact of working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child care. The research problems are: 1) the impact of working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on the performance of child care, 2) the impact, of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child care for the higher group in socio-economic status. Using a design of 'sample-data collection-analysis', this study employed the following procedure: 1. The educational level and job status of the subjects were combined as an index of socio-economic status. 2. 106 working mothers were selected into two groups; the higher and 4he lower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status. 56 were for the higher group and 50 for the lower. 3. The quality of child care was assessed by the interview using the criterion selected in the pilot study. 4. The variables assessed in the study were childrens development in the following areas; a) phyaical and health b) social c) emotional d) cognitive e) general educational environment 5. A camparison was made by a descriptive data analysis and Chi Squares stat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The major findings are shown as follow : 1.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ver the variables related to young children ; health care, emotional relation of parents and cognitive development. 2. A meaningful difference was also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over the areas of ; 1) the value system of the parents, 2) the cooperation of husband in child care, 3) utilizatibn of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facilities for young children. 3. Little 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others' job satisfaction and independent training for their offsprings, confidence of child care. It was proved, however, that mothers' job satisfaction was highly related to their motivation of profession, plan of child care, and welfare arrangement. The findings aforesaid drove us to the following suggestions: 1. Working mother needs a positive cooperation from her husband in plan of her children's education at their early stage. For this purpose, an educational program of parents for child care in particular needs to be conducted by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other related institutions. 2. Family system and structure need to be flexible to meet its own value in educating children. 3. A wise and positive utiliz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is essential for a working mother to achieve a need of a good child care. 4. Institutional supports are urgently needed particulary for the lower socio-economic status group to improve their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아동교육사상 유아기 자녀의 관리는 전적으로 어머니의 책임 하에 두어왔다. 그러나 여성의 교육기회 확대를 통한 의식향상과 취업률의 상승은 전통적인 모성관에 대해 재해석을 요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자녀관리가 어머니의 교육수준, 직업의 종류, 직업 생활에 대한 정서적 만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전제하에 자녀출생부터 6여 년 간의 관리과정을 사회 경제적 지위별, 직업생활에 대한 만족도별로 비교, 분석하여 자녀 관리의 문제를 밝히려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관계문헌을 통하여 모-자녀관계, 어머니의 취업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취업과 복지사업에 관하여 이론적인 고찰을 하였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선정하였다. 1. 취업모의 유아기 자녀 관리는 취업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2. 취업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상인 집단에 있어서 어머니의 직업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유아기 자녀 관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문제분석을 위하여 본 조사는 서울의 취업모를 대상으로 취업모의 교육과 직업을 준거로 사회 경제적 지위가 상인 집단 56명, 하인 집단 50명이 표집되었고, 예비조사(pilot study)를 거쳐 작성된 질문지를 중심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자녀 관리의 과정은 크게 건강관리, 사회적 지도, 정서적 관계, 인지발달을 위한 지도, 일반적 지도환경 등 다섯 영역으로 나누었다. 조사결과 나타난 집단별 반응과 사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취업모의 자녀 관리는 어머니 자신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즉, 두 집단은 자녀의 건강관리, 수유, 정서적 관계, 인지발달을 위한 지도의 실제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취업모 자신의 가치관, 남편의 자녀관리 협조, 유아교육시설의 이용실태에 있어서도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하집단은 상집단에 비하여 유아의 건강관리, 인지발달을 위한 지도에 있어서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를 통해보면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유아교육시설을 조기에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2. 취업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자녀에 대한 가사책임 부여, 자녀와의 대화, 어머니의 직업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자녀에 대한 취업동기의 설명, 이상적인 어머니상, 유아교육시설의 이용여부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가 직업생활에 대해서 불만을 느끼고 있는 경우에는 자신의 이중역할로 항상 긴장되어 있으며, 자녀에 대해 크게 가책을 느끼고 있었다. 앞서 제기된 문제이외에 취업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나 직업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은 취업모가 자녀 관리에 있어서 가정과 직장의 이중부담으로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유아교육시설을 적절하게 활용하거나 남편의 적극적인 협조를 얻어 가정생활을 합리적으로 운영해 나가는 취업모의 경우는 그러한 어려움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덧붙여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어머니가 취업할 경우는 자녀 관리를 위한 합리적인 계획수립과 남편의 절대적인 협조가 요망된다. 이를 위해 직장이나 지역사회의 복지시설 단위로 부모교육이 전개되어야 겠다. 2. 가족형태가 개인이나 집단의 사정에 따라 다양하게 개조되어야 겠다. 3. 어머니가 가정을 떠나있는 동안 자녀 관리를 효과적으로 대행해줄 수 있도록 현존하는 복지시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겠다. 4.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취업모의 자녀를 위해서는 영양실조와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인지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따라야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B. 이론적 배경 2 1. 모-자녀 관계 2 2. 어머니의 취업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9 3. 어머니의 취업과 유아의 복지사업 13 C. 연구의 문제 16 II.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17 A. 표집설계 17 B. 자료수집 17 C. 자료처리 17 D. 연구의 제한점 19 III. 결과 및 해석 20 A. 취업모의 일반적 배경 20 1. 취업시기 20 2. 가정에 머무는 실제시간 20 3. 현재의 취업동기와 취업생활에 대한 만족도 21 4. 가정배경 24 B. 취업모의 자녀관리 과정 29 1. 건강관리 30 2. 사회성 지도 32 3. 정서적 관계 37 4. 인지발달을 위한 지도 41 5. 일반적 지도환경 44 C. 사 례 56 1. 상 집단의 사례 56 2. 하 집단의 사례 60 IV. 요약 및 결론 65 A. 요 약 65 B. 결 론 69 참고문헌 71 부 록 75 영문초록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314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도시 취업여성의 유아기 자녀관리에 관한 일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7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