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령-
dc.creator김정령-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8Z-
dc.date.issued1974-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2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0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264-
dc.description.abstractThe individual musical abilities are often said to be determined by both hereditary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hereditary factors which have never been influenced or improved by training or education become the elementary condition for measuring the standard of musical abilities; while environmental factors have direct relationship to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musical abilities, and have greater significance in music education. They are also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hereditary factors as they provide desirable directions in music education. Yet the measurement of musicality has not been a scientific one until very recent years. Though some scientific measuring devices have been made in order to identify the presence af musical abilities through accurate method of testing. Accordingly, new grounds are to be found, upon which an erroneous notion that music is attributed to certain persons can be removed, and upon which individual musical abilities can be possibly developed through some careful measurement of students' interests and abilities in music. First, there is going to be a comparison in musical abilities between the sexes; second, differences in overall students' musical abilities between different schools; third, a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est in music and □he interest in learning in general; fourth, an analysis of the interest in music and the interest, in other subjects in the processes of surveying the interest in learning; fifth a relationship between the examination of musical abilities and the in□rest in learning. All of the students involved in the survey are in the first year of senior high schools, and they have been classified as, so called, the first (A schools), the second (B schools) and the third rate (C schools), respectively, labelled in accordance with the outcome of entrance examination. The six, schools three for the male and three for the female, have been carefully studied and the conclusion based upon the outcome of the survey is as follows: 1. Comparison in musical abilities between the sexes: The popular notion that female students are inclined to have more interest in music than male students, turned out to be true accor□ing to this survey where famale students are 8.9% higher than male students. 2. Differences i□ overall students' musical abilities between schools: The survey shows sheer differences in musical abilities between classified groups, The upper half of the group (higher than 50%) shows differences in the outcome as 40.8% in "A" schools, 10.4% in "B" schools, and 9.0% in "C" schools. The outcome clarified the existing notion that if they are superior in general courses, they possess other abilities also. 3. Retationship between the interest in learning and the interest in music: Female students turned out to have deeper interest, in the fine art courses (music, art) than male students. At the same tim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possess high interest in music proved to have much interest in most of the courses except science. 4. Analysis of the interest in music and the interest in other courses in the processes of surveying the interest in learning: The survey shows that students possess high degree of interest in fine arts courses, also have preferences for foreign languages and the Korean languages, etc., but they have less interest in science, mathematics, socialogy and other practical courses. 5.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marks of the testing of musical abilities and the marks of the testing of the interest, in learning: In the course of the survey, there appeared an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est, in music and musical abilities. Students can have musical abilities in spite of higher musical interest or low one and every one is thought to acquire musical ability by learning or practise in general. Taking all these points in consideration, positive support by scientific research is considered as necessary in order to find effective ways of developing music education programs in Korea.;음악적 재능은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양면이 작용하여 결정된다고 한다. 음악적 재능의 선천적인 면은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어떠한 훈련이나 교육을 받지 않는 자연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음악적 재능의 정도를 파악하는 기본적 조건이 되며 후천적인 면은 인간의 조작과 직결되고 계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의의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음악적 재능의 후천적인 면은 선천적인 면보다 음악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요인을 다분히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제까지 우리들은 음악성의 유무를 막연한 견해로 판단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그와같은 관념적인 추측을 벗어나 과학적인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나타난 자료에 의한 확실하고 합리적인 해석과 평가로서 음악성의 유무를 밝히고 음악이란 어느 특정인 만이 할 수 있다는 그릇된 생각을 시정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여러 흥미와 음악성을 측정하여 연구 분석하므로서 개인의 소질을 계발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실마리를 찾고저 첫째, 음악재능의 성별차를 비교해 보고 둘째, 음악재능의 각급 학교별 차이를 알아보며 셋째. 학습흥미 검사간의 비교와 넷째, 학습흥미 중 음악흥미와 기타 흥미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다섯째, 음악재능 총점과 학습 흥미 점수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 보고저 한 것이다. 검사 대상은 시내 고등학교 1학년생으로 입시 경쟁에 의한 세칭 1류(A급), 이류(B급), 삼류(C급), 로 편의상 구분하여 남자고교 3개교 여자고교 3개교 총 6개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여기에서 나온 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론을 맺어 보면 다음과 같다. 1. 흔히 음악에 대한 관심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이 갖고 있다고 하나 과학적인 자료가 없으므로 음악재능의 성별차를 알아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8.9% 높게 나타나 여학생이 음악재능에 높다는 결론을 얻음. 2. 음악재능의 각급 학교별 차이는 50이상의 상위 집단에 속하는 학생이 A급은 40.8% B급은 10.4% C급은 9.0%로 심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교과가 우수하면 다른 능력도 병행된다는 이제까지의 기존개념이 들어 맞는 셈이다. 3. 학습흥미 검사간의 비교에서는 남녀별로 구분하여 검사한 결과 남학생에 있어서는 외국어·예능·국어의 순으로 높은 흥미를 나타내고 실과·사회·수학에서는 낮은 흥미를 나타내었으며 여학생에 있어서는 외국어·예능의 순으로 높은 흥미를 나타내고 실과·과학·사회에서는 낮은 흥미를 나타냈는데 남녀 공히 외국어·예능·국어에 높은 흥미·실과·사회에서는 낮은 흥미를 보였다. 4. 학습흥미 검사중 음악흥미와 기타 흥미간의 관계는 예능과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외국어·국어의 순으로 나타내고 과학·실과·수학·사회과와는 흥미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음악재능 총점과 음악흥미 점수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여자고등학교를 제외한 남자 고교, 각급별 관계는 의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종합하여 보면 즉 음악재능이란 음악흥미가 높아도 있을 수 있으며 음악 흥미가 낮아도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학습이나 경험에 의해서 보통 사람이면 누구나가 소유하고 있는 보편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점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음악교육에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다각적인 면에서 음악지도가 이루어지도록 과학적인 연구의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4 III. 연구문제 17 IV. 대상도구 및 방법 18 A. 대상 18 B. 도구 18 C. 방법 및 절차 25 V. 결과 및 해석 26 A. 음악재능의 성별비교 26 B. 음악재능의 각급 학교별 차이 27 C. 학습흥미 검사간의 비교 30 D. 학습흥미검사중 음악흥미와 기타 흥미간의 관계 31 E. 음악재능 총점과 음악흥미 점수간의 관계 34 VI. 결론 및 제언 37 참고문헌 40 ABSTRACT 42 부록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331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음악재능과 학습흥미와의 분석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7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