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금주-
dc.creator이금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8Z-
dc.date.issued1974-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2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0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26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impacts of the mastery learning methods on the secondary school student and to find out whether the methods are applicable to the secondary school student in geography class. For the test 280 secondary school students are sampl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wo groups are identified as same group by the Critical Ratio test of theirs school achievement record and IQ test score. The teaching materials and testing items are provided by myself. And summative evaluation materials, questionaires and testing papers are also provided. To justify the test school achivevment records and IQ test scores are measured. Testing papers and questionaies are tested to justkfy the item of the papers statistically. For the study comparative group was tought with lecture method but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with mastery learning method. Tsted results, are as follows: 1. mastery learning methods are more effective than the lecture methods in the facet of learning efficiency. 2. comparative group are more skewed to right tha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summative test. 3. Comparative group has smaller standard deviation than the experimental group has. 4. the poor student group can be promoted to the higher group, to a lesser extent is discovered.;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중학교 평준화는 단일학급내에서의 학생들의 질적 차이를 크게 하였다. 질적 차이가 많은 학급을 과거와 같은 교수방법으로는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학습내용을 전체학생에게 학습시키기는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개선하고, 교육효과의 증진을 위하여 완전학습(mastery learning) 이론을 중학교 지리교육에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 보려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중학교 1학년 사회1. “우리 나라의 공업” 단원을 완전학습 방법에 맞추어 할습시킨 실험집단(experimental group)과 종전대로의 강의방법으로 교수한 비교집단(control group)을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mastery learning 이론을 중심으로 한 학습 이론과 지리교육 개혁을 위한 각종 연구 project 자료의 분석 연구를 한 후, 학습내용인 “우리 나라의 공업”에 관한 자료 모집과 지도안 및 학생들의 읽기 자료를 작성하였다. 실제 실험을 하기 위하여 시내 모 남자중학교 1학년 4학급을 택하여 비교집단 2학급(140명)과 실험집단 2학급(14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 두 집단은 1학기말성적과 IQ 검사 결과 동질성을 띤 집단임을 확인했다. 실제수업에서 비교집단에게는 강의식으로 4차시에 걸쳐 학습시켰고, 실험집단에게는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수업 모형에 따라 4차시에 걸쳐 다음과 같이 수업을 하였다. 실험집단에게 본단원 수업에 들어가기 전에 선행되어야 할 학습내용을 테스트한 기초학력검사를 실시하여 학습결과을 진단하였다. 그 결과을 포함한 후에 읽기 자료를 유인물로 만들어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예습토록 한 후, 비교집단과 같은 내용의 수업을 하였고, 매시간 연습문제를 유인물로 만들어 교사와 함께 풀어 보았고, 시간이 부족하여 다 풀지 못한 경우에는 가정학습으로 돌렸다. 비교집단보다 수업진도를 빨리하여, 4차시에는 본수업을 10분간에 끝낸 후, 남은 시간을 이용하여 형성적 평가를 약 10분간에 실시하였고, 채점은 학생 상호간에 교환하여 실시케 하였다. 형성적 평가 결과, 80% 이상의 정답률을 보인 학생에게는 심화학습 프로그램(enrichment program)을 유인물로 만들어 심화학습토록 하였고, 80% 미만의 정답률을 보인 일부 학생에게는 보완학습 프로그램(remedial program)을 제공하여 보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심화학습 프로그램과 보완학습 프로그램을 다 풀지 못한 것은 숙제로 돌렸다. 보완과 심화과정을 따로 거친 학생들이 합류되어 제2차 학습기회를 가졌다. 이 제2차 학습기회는 학생들의 소집단 협력 수업과 교사에게 의문나는 점을 질문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이렇게 하여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은 4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한 후, 동시에 총합적 평가(summative evaluation)로서 객관식 25개 문항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실험 결과를 비교하기 전에 총합적 평가의 검사문항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에서는 단일검사문항분석을 통하여 문항 난이도, 문항 타당도, 문항 분포 등을 검사하였다. 문항 타당도 측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 중에서 문항 변별도 지수를 측정하였는데, 그 지수는 0.7~0.8로서 높은 의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문항 난이도도 타당하며, 문항 반응분포를 보면 특이한 반응유형은 없었고 정상적이었다. 두 집단의 총합적 평가 결과를 보면, 첫째로 실험집단에서 완전학습의 도달률은 47.9%로서 비교집단의 32.2%보다는 월등하게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완전학습을 위한 수업이 강의식 수업보다 학생들에게 높은 학습성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둘째로, 두 집단의 평균치의 크기에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실험집단에서의 총합적 평가의 득점분포가 비교집단보다 정상분포로부터 이탈된 부적편포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로, 실험집단의 표준편차(δac = 16)가 비교집단의 표준편차(δbd = 18.1)보다 적다. 이것은 완전학습을 위한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에서 개인차를 좁힐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넷째로, 완전학습과 IQ와의 관계를 보면, 실험집단에서 ‘IQ 상’에 속할 경우 완전학습을 이루지 못한 률이 33.9%이고, 비교집단에서는 51.3%로서 후자가 훨씬 높다. 또, ‘IQ 하’에 속할 경우에 완전학습을 이루지 못한 률이 실험집단에서 약 81%, 비교집단에서 86.5%로서 큰 차이는 없으나, 완전학습의 수업이 시행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완전학습에 실패한 률이 적게 나타났다. 이것은 학업성적이 부진한 학생들의 대부분이 완전학습을 위한 수업을 통해서 어느 정도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문제의 제기와 연구목적 1 2. 연구 절차 4 II. 이론적 배경 8 1. 완전학습의 이론 8 A. 완전학습의 정의 8 B. 완전학습의 이론적 근거 10 C. 완전학습의 성립 근거 14 2. 완전학습의 필요성 15 III. 연구와 실험 19 1. 연구방법 19 2. 비교집단을 위한 수업설계 및 실험 20 3. 완전학습을 위한 수업설계 및 실험 21 4. 총합적 평가(summative evaluation) 29 5. 총합적 평가의 반응 30 IV. 결과 및 결론 31 1. 결과 및 해석 31 A. 결과 분석 31 B. 완전학습과 IQ와의 관계 33 2. 결론 34 Summary 38 참고문헌 40 부록목차 42 부록I. 기초 학력 검사 43 부록II. 학습지도안 48 부록III. 읽기 자료 63 부록IV. 연습문제 77 부록V. 형성적 평가 84 부록VI-1. 보충학습 프로그램 86 부록VI-2. 심화학습 프로그램 96 부록VII. 총합적 평가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139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완전학습 이론에 의한 중학교 지리학습의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dc.date.awarded197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