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승실-
dc.creator이승실-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8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1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0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106-
dc.description.abstractInformation age need the sincere investigation for direction that history education must go forward meeting 21th century that is called knowledge society.Students can arrange well and effect that history education aims by research activity by learner. This research designs korean'Internet project-based learning (NetPBL)' model observing to 'Study leading by learner', wish to apply in actuality history education spot. Wish to prove incidental and effect through analysis and realization in actuality education spot.This research carried out to 223 Seoul city Seongbukgu D girls' middle school second-year students. Study finding is as following : Students experienced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y to live advantage of internet that can get update at project process. Students had work experience as historian however is elementary at process that collect, and reconstitute necessary information. See to become training that this own leading learning is important for history knowledge research studying by a student. As well as, own leading study conduced in students' creative mind development. Students established effect busywork that see exposing interests about own strong man on homepage by creative and various way instead of expression of history knowledge that master by text book knowledge. Also, confirmed various cooperation studying possibility by project activity. Cooperation activity between members in group was essential, and show cooperation studying type of new form by act with outsiders outside computer through various function of internet for successful self-discipline of project. This point is looked by result of strangeness that research that see expects. This study model must have mind that open to establish professor studying strategy that take advant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that instigation is internet to be settled in education spot. We need position that overcome about technological awe and effect anger about that utilize computer in professor study. Therefore, consider students' computer practical use ability which is improving every year, correct suitable internet practical use project studying model may have to be developed in student step level. It is a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at students can show that can guide as active burden of history course tuition through internet practical use project activity-learning.;정보화, 지식화 사회라 불리는 21세기를 맞이하여 역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진지한 모색이 필요하다. 새로운 시대의 학생들은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과거와 같이 교사나 교과서에 의해 잘 정리, 전달되어진 사실들을 피동적으로 전달받는 학습자로서의 위치에서 벗어나야 한다. 학습자 스스로 많은 역사적 자료들로부터 가치 있고 유용한 사실들을 선택하여 탐구하는 훈련 활동을 통해 사고력 증진과 같은 역사교육이 목표하는 효과를 이루어야 한다. 역사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대표적인 교수 - 학습형태인 탐구학습 활동에 있어서의 가장 큰 어려움은 자료의 수집과 수집된 자료의 탐색결과물에 대한 처리방법이었다. 이제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며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것이 인터넷을 활용한 교수 - 학습활동이다. 인터넷은 학습자들이 주제 선정에서부터 자료의 수집, 탐색, 처리과정에 이르기까지의 교수 -학습활동 전 단계에서 학습자의 주도적인 학습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인터넷이 제공하는 기술적인 면을 역사과 교수 - 학습 방법에 적용한 것이 '인터넷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활동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에 의한 주도적 학습론'에 주목하여 우리 교육 현실에 맞는 한국적 '인터넷 활용 프로젝트 학습(NetPBL)'모형을 설계하여, 이를 실제 역사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결과물의 분석을 통하여 그 효능성과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성북구 D 여중 2학년 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과정은 먼저, 인터넷 활용 프로젝트 학습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 연구 사례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역사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컴퓨터 환경을 알아보기 위한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 역사 속의 위대한 인물 찾기'라는 주제 하에 프로젝트를 학생들에게 제시하였고, 학생들은 팀을 이루어 스스로 역사인물을 선정하는 단계에서부터 출발하여 프로젝트를 완성하여 역사인물 홈페이지를 제작하기까지의 모든 활동을 자기 주도적으로 이끌어 갔다. 6주간에 걸친 학습 활동 후 인터넷 활용 프로젝트 학습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한 2차 설문 조사 실시와 함께 학생들이 제출한 역사 인물 홈페이지의 내용과 방명록, 게시판 등의 글을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최신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인터넷의 이점을 살려 자기 주도적으로 정보 수집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다.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학생들은 그들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초보적이나마 역사가로서의 작업 경험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자기 주도적인 학습활동은 향 후 학생 스스로의 역사 지식 탐구학습을 위한 중요한 훈련이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자기 주도적인 학습 활동은 학생들의 창의력을 개발하는데도 도움이 되었다. 학생들은 교과서의 지식을 통해서 습득한 일률적인 역사 지식의 표현대신 창의적이면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홈페이지에 나타냄으로써 본 연구가 기대하였던 효과를 증명하여 주었다. 또한, 프로젝트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협동학습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조원들간의 협동활동은 기본이었고, 인터넷의 다양한 기능을 통하여 면대면 상황에서는 어려웠던 교사를 비롯한 컴퓨터 밖의 외부인들과의 교류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협동학습 유형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기대 이상의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던 것도 본 연구의 성공적인 성과라고 하겠다. 한편으로 본 학습 모형이 성공적으로 교육 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인터넷이라는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한 교수 - 학습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교사 스스로가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컴퓨터를 교수 - 학습 활동에 활용하는 것에 대한 기술적인 두려움과 효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극복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매년 향상되고 있는 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고려하여, 학생 단계 수준에 맞는 적절한 인터넷 활용 프로젝트 학습 모형이 개발되고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역사 교육에 있어서 인터넷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법이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 주도적인 학습 활동을 통하여 필요한 역사적 사실의 습득과 창의적 이해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다음 학습에로의 긍정적인 전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5 1. 교육환경의 변화와 구성주의 이론 = 5 2. 인터넷을 활용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 NetPBL ) = 8 3. 선행 연구 및 사례고찰 = 15 III. NetPBL에 의한 역사과 교수 학습 설계 및 적용 = 21 1. 주제 선정 = 21 2. 학습활동 형태 결정 = 22 3. 시범운영 = 28 4. 실제 운영 = 34 1) 프로젝트 학습 활동 준비 = 34 2) 프로젝트 학습 활동 전개 = 38 3) 프로젝트 학습 활동 평가 = 40 IV. NetPBL에 의한 역사과 교수 학습법 연구 결과 분석 = 43 1. 자기 주도적 학습인 = 43 2. NetPBL에 대한 효능인 = 49 3. 협동 학습인 = 53 V. 결론 및 제언 = 59 참고문헌 = 62 부록 = 66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68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역사교육에서의 인터넷 활용 프로젝트 학습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