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석옥자-
dc.creator석옥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7Z-
dc.date.issued1975-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2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0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292-
dc.description.abstractMany instrumentations were introduced in Se-jong-sil-rok and Ak-hak-guye-bum, (both of which are books cnocerning the Korean Classical music) We can find out that there are three kinds of orchestration: the first one orchestrated by A-ak-ki (chinese classical music instruments), the second orchestrated by both Dang-ak-ki (Chinese popular music instruments) and Hyang-ak-ki (Korean classical music instruments), and the third orchestrated by three instruments, A-ak-ki, dang-ak-ki and Hyang-ak-ki. By the way, from the end of Rhee Dynasty up to the present time, we can find a great distinction in musical range and interval of A-ak-ki, compared with those of Hyang-ak-ki. While the musical interval of Dang-ak-ki was similar to that of A-ak-ki, some instruments, such as Dang-Juck (Chinese flute), were gradually used as Hyang-ak-ki, and the musical range and interval of Hyang-ak-ki, originally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Dang-ak-ki. Then, we doubt why and how they orchestrated by A-ak-ki, Dang-ak-ki and Hyang-ak-ki, or by Dang-ak-ki and Hyang-ak-ki.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whether th Hyang-ak-ki creating the quite different musical range have any similar musical pich to play in concert with the A-ak-ki at the early stage of Rhee Dyrasty, if the compound instrumentation possible. So the conclusion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1. As for the orchestraticon in Koryeo Dynasty, there was obvious distinction in A-ak(Chinese classical music), Dang-ak (Chinese popular music) and Hyang-ak (Korean music). 2. Orchestration at the early stage of Rhee Dynasty is classified into six forms: a) Orchestration only by Hyang-ak-ki. b) Orchestration only by A-ak-ki. c) orchestration only by Dang-ak-ki. d) orchestration by A-ak-ki and Dang-ak-ki. e) orchestration by Dang-ak-ki and Hyang-ak-ki. f) orchestration by A-ak-ki, Dang-ak-ki and Hyang-ak-ki. 3. As for the instrumentation at the end of the Rhee dynasty, I suppose the musical range of wind instruments, such as Dae-kum (the largest flute), were gradually changed again from that of at the early stage of Rhee-Dynasty, with the performance of method of pressing strings ightly in using Keo-mun-ko (the six stringed zither) and Hae-kum (two stringed fiddle) changed into method of pushing strings aside. Thus, the performance of Keo-mun-ko zither and Hae-kum was different from the range of Hyang-ak-ki according as the change was proceeding on; furthermore, it become remote from the performance and range of the Dang-ak-ki. It also made it nearly impossible not only to orchestrate between Dang-ak-ki and Hyang-ak-ki but also A-ak-ki and Hyang-ak-ki. As the result of that mentioned above,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he instrumentation of the early stage and that of at the end of Rhee Dynasty, resulting in gradual disappearance in the mexed Orchestra I find, therefore, an obvious distinction in orchestration began to originate from the musical range at that time. Orchestration in the end of Rhee Dynasty is classified into five forms: a. orchestration only by Hyang-ak-ki b. orchestration only by Dang-ak-ki c. orchestration only by A-ak-ki d. compound orchestration by Hyang-ak-ki and Dang-ak-ki e. compound orchestration by Dang-ak-kiand A-ak-ki 4. There is another different feature in modern instruments: a. Traditional Hyang-ak-ki and Dang-ak-ki assimilated into Korean musical range were orchestrated. b. In Dang-ak-ki, Dang-pi-ri (Chinese oboe) was played in main-part, with Hyang-ak-ki, such as Dae-kum following the range of Dang-ak-ki and also used Pyun Jong (bronze Bell) and Pyun-kyung(Chimse stone) instruments compositely. In A-ak, it is possibly orcestrated in the same way in suing A-ak-ki. 5. Firally, there is one exceptional orchestration, in which Pyun Jong and Pyun Kyung are compositely used, but it is considered to be unjust method, for there is a basic difference in musical range between Hyang-ak-ki, Kso-mun-ko such as Hyang-pi-ri (Korean oboe) and A-ak-ki, Pyun-kyung such as pyun-jong.;이 논문은 고려, 이조전기, 이조후기를 통하여 악기편성을 조사함으로써 아악기, 당악기, 향악기간의 악기 편성이 어떻게 변화했는가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고 특히 이조 후기의 향악의 발달과 더불어 우리나라 고유악기인 향악기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천되었으며, 그것이 다른 국악기(특기 당악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고, 따라서 악기편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먼저 고려시대의 향악의 악기편성법, 아악과 당악의 악기편성법을 살피므로서 향악중의 삼총 편성법은 신라통일 이후부터 고려시대까지 거의 그대로 계승되었음을 논구하고 고려시대에 들어온 당악의 악기편성법이 이조시대에 와서는 어떻게 되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조 전기, 즉 성종 이전의 편성법은 악학궤범을 중심으로 하고, 이조 이후, 즉 성종 이후의 편성법은 이조후기에 속하는 각종 의궤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조 전기의 편성법을 보면, 아악기, 당악기, 향악기가 혼성 편성된 것이 많이 있으나 이조 후기에 이르러서는 향악을 연주할 때는 순수한 향악기와 향악기화 한 당악기 만으로써 연주하는 현상이 두드러짐으로써 전기처럼 아악기, 당악기, 향악기가 마구 혼성 편성되는 현상이 줄어들었다. ① 이조 전기의 편성법은 편종, 편성과 같은 당악기와 거문고(현금), 가야금 등의 향악기가 혼성된 예가 많이 보인다. 혼성 편성이 된다는 것은 거문고나 해금을 예를 들면, 당악기와 같이 경안법만 사용했을뿐 역안법은 사용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조 전기의 향악기는 당악기와 구별되는 향악기 고유의 특수성이 없었음을 의미하는 것 같다. ②이조 후기에 이르러 향악에서 새로운 악기의 주법으로 농현법, 근성법이 발달됨으로서 당악기나 아악기와의 큰 차이가 나타나게 되었다.③ 즉 악학궤범 시절 이후의 양금신보 시절에는 거문고, 해금 등의 역안법에 의한 농현법, 전성법, 퇴성법이 발달되고 원래는 당악기인 해금도 향악기화 되어 역안법이 생겼으며, 대금의 지법도 향악에 맞게 변화되고, 당악기인 당적이 향악에 맞게 변화한 것이다. 이러한 향악의 발달은 아악과 당악과는 전혀 다른 향악 특유의 음률을 이루게 까지 되었다. 즉 향악은 당악보다 단 3도 높은 e^b을 황종으로 부르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향악에서는 아악이나 당악의 음고보다 단3도 높다. 그 이유는 향악이 아악이나 당악보다 보통 높은 음역에서 연주되기 때문에 오늘날 향악이 아악이나 당악보다 보통 높은 음역에서 연주되기 때문에 오늘날 향악에서 사용하는 황종은 당악의 협종에 해당하는데 이것을 향악에서는 황동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곧 당악에서 독립된 향악의 음 체계가 생긴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고려 시대의 악기 편성 2 A. 향악의 악기 편성법 2 B. 당악과 아악의 악기 편성법 3 III. 이조 전기의 음악 6 A. 어전예연의 악기 편성법 6 B. 휘덕전 사시대향의 악기 편성법 6 C. 휘덕전 섭행제의 악기 편성법 7 D. 문소전 섭행시의 악기 편성법 8 E. 문소전 친행제의 악기 편성법 8 F. 오례의 아악의 악기 편성법 9 G. 세종조 회례연 아악의 악기 편성법 9 H. 오례의 종묘 영령전의 악기 편성법 9 I. 문소전 친행시의 악기 편성법 10 J. 문소전 섭행시의 악기 편성법 10 K. 연은전 섭행시의 악기 편성법 11 L. 소경전 전상악 11 M. 오례의 전정 헌가의 악기 편성법 11 N. 오례의 고취의 악기 편성법 11 O. 시용 아악의 악기 편성법 12 P. 시용 종묘 영령전의 악기 편성법 12 Q. 시용 전정 헌가의 악기 편성법 12 R. 시용 고취의 악기 편성법 13 S. 세종실록에 나타난 악기 편성법 13 IV./(VI.) 이조후기의 음악 20 A. 거문고와 해금의 안현법의 변화 21 B. 대금의 원형과 변형 35 C. 향악 계통의 음악 39 D. 당악 계통의 음악 43 E. 악기 편성법 45 V. 결론 57 참고문헌 60 [영문초록]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950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국악기 편성법의 변천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7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