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영흡-
dc.creator박영흡-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7Z-
dc.date.issued1975-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2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0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288-
dc.description.abstractThe periodic markets had played an important rule as central places in many respects in Korean rural communities. However following the economic growth since 1960, their importance have gradually declined. In this thesis, the writer intended to inquire their historical developments, spatial structur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riodic markets in Kyouggi-do. For this purpose, firstly, an attempt is made to analize the changing distribution pattern of periodic markets between 1800 to 1970. Secondly, intensive studies are focused on spatial structure of periodic markets based on Christeller's cental place theory model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yonggi-do including counties of Kwangju, Ichon, and Yeoju. Results of the study are: 1. The developments and changes of periodic markets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in given areas. Especially Kyonggi-do is so close to Seoul that it has been much more influenced by the urbaniztion and expansion of Seoul. 2.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periodic markets are; before 1945, number of periodic markets range from 79 in 1910 to 105 in 1916. And after 1945. it ranges from 55 to 126 in 1962. Rocently,however, the number of markets are gradually decreasing. 3.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YONGGI-DO. We can't see the hierarchial system Christaller's marketing principle. Junging from the above results, the writer can conclude that the maximum range in multiple service of Seoul has increased by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creasing income of farmers and penetration of cultural service systems in Seoul to those areas: and as the result, small periodic markets are in the gradual tendency of disappearing even though they have been developed into the central palce of trade for farm products in those areas. So it seeme that the traditional periodic markets will gradually be disappeared and only th great central markets will remain and grow more and more into central places offering multiple service in that area.;아직 전통적인 경제사회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 농촌에서는 물자교역에 있어서 주로 정기시장을 이용하고 있어 정기시장은 경제적 면에서 볼 때 중요하다. 더욱 이 정기시장은 지역내, 지역간의 결절 연결지로서 일정지역의 중심지가 되어 산물집산지, 문화전승의 역할, 농민의 사교장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또한 경제발달과 더불어 문화발달단계에 따라 정기시장은 변화되면서 지역구조를 변용시켜온 중요한 요소가 되어왔다. 그러나 근래 교통발달, 산업경제의 발달의 원인과 정부의 상설화 시책으로 정기시장은 차츰 소멸되어 가고 있다. 여기에 경기도를 중심으로 정기시장의 특수성과 변용상태를 알고 지역구조를 분석하므로서 농촌의 사회, 경제생활을 알고저 함에 그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전체를 대상으로 정기시장의 수와 밀도를 시대별, 지역별로 분속하고 현재 농촌주민의 정기시장 이용상태를 조사하여 정기시장의 변천과정을 파악하였으며 그 요인을 구명하므로서 앞으로 농촌주민생활에 있어서 정기시장의 중요성은 어떻게 변화될 것인지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경기도 중에서도 동남부의 광주군, 이천군, 양평군, 양주군을 대상으로 각정기시장내의 업종수와 점포수를 개시일에 조사하여 계층구조를 분석하여 보았고 그로 인한 정기시장들 간의 분포상태 및 지역구조를 연구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경기도 정기시장을 연구한 결과 첫째, 정기시장의 발달과 변천과정은 경제적, 사회적 조건에 따라 변천되었음을 다음과 같이 알 수 있다. 1. 경기도의 정기시장이 이조주기까지 인구의 증가, 산업발달에 따라 꾸준히 증가되었으나 감소현상이 이조말기와 1930년대에 나타났다. 전자는 이조말의 정치, 사회적 어지러움에 의한 산업경제의 위축을 가져온 까닭이라 할 수 있고 후자는 당시 북한에 신흥 공업시장의 건설로 인구집중이 커서 경기도의 인구증가가 이를 따를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2. 이조시대이후 경기도의 정기시가 급감한 것은 한일합병후와 해방후부터 1960년까지의 시기이다. 전자는 인구증가와 외래자본의 투입으로 경제의 발달이 있었음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는 해방후 급격한 인구증가와 농민소득의 증대에 의한 것으로 이것은 전국적인 현상이었다. 3. 최근 서울에 근접된 곳에 많은 시장이 초감되는 현상은 서울의 고기능 Service로 인하여 maximun range 가 광대되는 현상이 나타난 까닭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경기도 정기시장의 공간구조를 보면 1. 정기시장간에는 Christaller의 시장원리에 입각한 중심지체계가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2. 중심성은 인구와 시장규모와 관계가 깊어 인구와 규모가 클수록 시장의 중심성은 크다. 3. 작은 시장은 급감, 상설화됨이 많아져 정기시장의 Pattern이 변모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경기도의 정기시장은 벼농사 지대인 이지방에 있어서 교통의 요지와 인구 밀집지에 따라서 농업생산물 교환지대로 발달하여 왔다. 그러나 근래 서울의 영향을 q ke아 정기시장의 기능은 약화되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상급중심지만이 교통이 편리한 곳에서 고기능 Service를 이행하면서 도시화 과정을 진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방법 2 Ⅱ. 경기도지방 정기시의 변천 4 A. 정기시의 기원과 경기도 정기시장의 발달 4 B. 경기도 정기시장의 증감 8 Ⅲ. 동남부 경기도에 있어서 정기시장의 공간구조 19 A. 중심지이론과 chistaller 19 B. 계층구조 21 C. 기능적 특색 32 Ⅳ. 결론 40 참고문헌 42 영문초록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724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경기도 정기시장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변천과 공간구조-
dc.format.pageix, 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dc.date.awarded197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