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4 Download: 0

한국동요의 역사적 고찰과 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동요의 역사적 고찰과 분석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정숙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어린 시절의 정서 교육은 인격 형성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중에서도 어린 시절의 예술을 통한 아름다움의 추구에서 오는 창조적 상상력과 정서성의 도야는 정서교육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어린이들의 생활속에서 나올 수 있는 어휘나 소재로 만들어진 동요를 통한 정서적 체험은 바람직하다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요를 인간발달 과정의 초기에 있는 어린이들의 생활속에 좀더 가깝게 접근 시킴으로써 바람직한 정서 교육을 하게 하고 앞으로의 동요 작곡이나 유치원, 초등학교 가창교재의 체계화에도 영향을 줄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일에 공헌 하고자 문헌을 통한 음악교육에 관한 이론과 동요의 특성을 제시하고 한국동요의 역사적 고찰과 시대별 대표곡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동요사를 3기로 나누었는데 그 이유는 1기는 일제시대의 동요였으며, 2기는 해방후 전시, 전후의 동요였고, 3기는 경제적 사회적 안정기였기 때문에 크게 3기로 나누고 다시 세분하였다. 한국동요의 유래는 민요에서 파생된 전래동요가 구전되는 동안 갑오경장 후의 개화와 기독교의 수입으로 인한 시대 조류를 타고 창가로 발전하였다. 제1기 : 1920년 홍난파의 <봉선화>작곡으로 인한 창가 분화 현상의 본격화와 3·1운동으로 인한 민족 문화의 허용으로 색동회를 통한 어린이 운동과 어린이를 위한 문화 활동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동요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한 것은 3·1운동 후 좌절된 민족의 설움과 울분을 어린이 운동으로 승화시켜 민족운동으로 발전 시키려는 수단이었다. 이 시기에는 <반달>을 비롯한 <고향의 봄> <봄 편지> 등의 겨레의 설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동요가 많이 작곡 되었으며 어두운 생활 환경을 나타내는 상징적 호소력을 가지고 널리 퍼져 갔다. 제2기 : 해방 후에는 나라를 찾은 기쁨과 어린이는 나라의 기둥이라는 뜻으로 <새나라의 어린이> <세우자 새나라> <어린이 행진곡> 등의 애국적 표현의 동요가 많이 나왔다. 6.25때에는 <우리 공군 아저씨> <대한의 소년> <간호언니의 노래> 등의 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곡들이 많이 나왔으며 전후에는 전쟁에 시달리고 거칠어진 어린이들의 정서순화를 위해 많은 동요가 작곡되었으며 K.B.S 방송국을 통한 문화 활동도 활발히 일어났다. 제3기 : 1960년 전반에는 어린이 합창단의 세계무대 진출 등으로 아동 음악계는 눈부신 발전을 보았으나 급격히 발달하는 물질주의 조류를 타고 나타난 상업광고 노래(Commercial Song)의 직선적 감각에 밀려 정서적인 동요는 퇴색되어 가고 있다 또한 동요의 특성을 시대별로 분석하면 : 제1기 : 2/4박자, 4/4박자, 6/8박자의 곡이 많이 작곡 되었는데 6/8박자는 어린이들이 비교적 무리를 느끼는 박자이다. 또한 조성에 Eb 장조가 많은 것과 최저음에 Bb이 많이 나오는 것은 시대적 특성이 담긴 어두운 노래가 많이 작곡된 까닭이며 최대 음정의 넓이는 무리가 없는 4도-6도에 모여있다. 제2기 : 6/8박자가 비교적 많고 Eb 장조 보다는 C장조와 F장조가 많은 것으로 보아 시대의 변천과 생활 환경의 변화를 알 수 있는데 최대 음정에서 어린이들이 무리를 느끼는 7도와 8도가 나오는 행진곡품의 경쾌한 노래가 많아졌음을 알 수 있다. 제3기 : 6/8박자는 1기, 2기보다 월등히 적어졌고, 2/4박자, 3/4박자, 4/4박자가 골고루 작곡되었다. 조성에서도 Eb 장조가 1기, 2기보다 적어졌고 C장조, F장조, D장조의 밝고 서정적인 곡이 많이 나오기 시작하였으며 최대 음정과 최저음은 비교적 능력의 한계 내에 모여있으나 최고음이 F´, F#´, G´까지 나오는 것은 발성을 공부하지 않은 어린이들에게는 무리를 느끼게 할 것이다. 화음은 제1기, 2기, 3기를 통해 주로 주삼화음인 I, IV, V의 혼합배열로 만들어졌으며 리듬에서는 당김음, 셋잇단음표 등 복잡한 리듬이 점차로 많아져서 시대적 변화에서 오는 감각을 느끼게 하고 있다. 그리고 전반적인 동요작곡에서 흔히 사용된 것은 동기를 그대로 반복하거나 가사가 지니고 있는 움직이는 감정을 이용하여 멜로디로 표현하였다. 또한 한국동요에는 소재나 가사의 내용에도 시대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데 창작동요 후 해방 전까지의 동요는 동물, 성신을 소재로하여 일제시대의 어두운 면을 노래하는 민족적 향수가 잘 나타나 있는 곡이 많고 해방 후에는 대인관계, 계절을 소재로 하여 전쟁으로 거칠어진 동심의 정서 순화와 애국심을 일깨워주는 밝고 명랑한 곡들이 많이 작곡되었다. 그리고 비교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안정된 1960년대의 동요는 소재도 다양해지고, 자연을 사랑하는 밝고 명랑한 곡이 많이 나와 비로소 정서교육만을 목적으로 하는 예술작품으로서의 사명을 다하고 있다.;The aesthetic education of children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the area of general education. Since children's songs are based on the vocabulary and materials used daily by children, and provide children with spiritual experiences and emotional stability, the aesthetic education through children's songs can be said to be essential.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first of all, to study the principles of music education, secondly,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ongs through related literature so that, the teaching materials used in kindergarten and primary school may be better organized in the future. To gain a historical perspective, representative Korean songs have been selected and divided into three main periods: 1)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2) the period around 1950 Korean War, 3) the recent period of economic and social stability. Korean children's songs were originally derived from traditional folk songs. With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they slowly developed into present-day children's song. Ⅰst period: In 1920 the so-called phenomenon of specialization appeared when Hong Nanpa composed ""Balsam"". The cultural movement for children was started through the Sack-dong-whae and became instrumental in channelling the sorrow and anger of the Korean people into national movement. Beginning with ""Half-moom"", ""Spring of Hometown"", and Spring Letter"", children's songs became symbolical of a dark end gloomy environment. 2nd period: After the 1945 liberation patriotice songs such as ""The Children of a New Country"", ""Let's Build a New Country"", and ""The Children's March"", appeared in an effort to revive the country. During the Korean War, children's songs such as ""Our Air Force Uncle"" ""Korean Boys"", and ""Nurse's Song"" were composed in large numbers and after the war, new songs designed to purify a war-stained generation were composed end spree5 throughout the country through K.B.S. radio. 3rd perio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60's the advance of children's choirs into th world stage helped to broaden the musical world of children. In the last half of the 1960's, however, the songs of commercial advertisement became more popular than the aesthetic children's songs. The musical analysis of Korean children's songs are as follows: Ⅰst, period: Many songs are written in 2/4, 4/4. and 6/8 and the songs in Eb major are usually gloomy pieces with B^(b) as the lowest note. The largest intervals are massed in the 4th-6th intervals. 2nd period: 6/8 are still frequently found while the number of songs in E^(b) major are decreasing thus indicating a historical change in environment. Light, march style songs with rare intervals of 7th or 8th also begin to appear in this period. 3rd period: The songs in 6/8 shows a decrease in comparison with the 1st and 2nd periods and songs in 2/4, 3/g, and 4/4 seem to appeare more often in this period. Instead of E^(b) major, light lyric songs in C major, F major and D major are predominant. The highest note end the lowest note of the songs are within the possible ranges of children's voice and some of the songs with highest notes F' F are out, of children's easy-to-sing range. Three primary chards of Ⅰ, Ⅳ and U app ar predominantly in all three periods. The gradual increase of syncopated rhythm and triplets indicates the historic and environmental change. The verses of the song, also reflect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songs of the 1st period are usually dark and gloomy. After the liberation, however, light and bright children's songs representing personal relationships, reasons etc. are frequently found, end in the 1960's when the society turns into e socially stable one there appeare many more light and bright songs which contribute to children's aesthetic and emotional growth and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