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사립 유치원에서의 자체평가 수행 실태 및 교원의 인식

Title
사립 유치원에서의 자체평가 수행 실태 및 교원의 인식
Authors
최중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to provide actual assistance in practicing self-evaluation in private kindergartens by examining the present status of self-evaluation in private kindergartens, teachers' perception and analysing the results of evaluation. The specific study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present status of self-evaluation? 1-1. How many kindergartens practice self-evaluation? 1-2. What are the contents of self-evaluation? 1-3. What are the reasons for not practicing self-evaluation? 2. How are the perception of self-evaluation? 2-1. How is teacher's perception of self-evaluation?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from teachers and the principal in perception of self-evaluation? 3. What about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4. What are the plans that teachers and the principal suggest for desirable self-evalu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total 193 people - teachers and principals and founders who work for 105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This study uses my own questionnaires to look at the present status of self-evaluation in kindergartens and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self-evaluation, and it also uses my own tolls for analyzing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The results of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are made by conducting cross-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divided into position, education, form of possessing a kindergarten building(rent or own) and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more kindergartens that practice self-evaluation than others that do not. Also, the way of self-evaluation in kindergarten is limited to discussion of improvement in faculty meeting, and the evaluation rate becomes lower as the scale of kindergarten is smaller. Regarding evaluation tools, not many kindergartens use authorized evaluation tools, and a few use their own developed tools. As for participants of evaluation, there are few except teachers, and the case principals or founders practice self-evaluation alone shows limits of kindergarten self-evaluation. Also, the reason why kindergartens do not practice self-evaluation is that they do not know proper evaluation methods or there are no proper evaluation tools. Second, according to responses from the subject to teachers' perception of self-evalua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improved, feeling of responsibility of their work becomes higher, and ties between teachers are formed. In addition, they answer that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of kindergartens are improved, and they get to understand better education goals of kindergartens and managers' education philosophy. Overall, they recognize the necessity of self-evaluation and that practicing self-evaluation benefits them, and this perception appears regardless of position and education. Also, in investigation of the plans for using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most of teachers respond that they use them in consulting parents, but principals and founders refer to them in personnel management. Moreover, in the areas of evaluation, they recognize importance in the order of curricula, child management, facilities and faculty management, and they take evaluation, home and community and management rather less important. However, compared to teachers, principals and founders think much of faculty management and management areas. For the time for self-evaluation, once a semester is considered to be desirable, and there are many opinions that self-evaluation should be practiced frequently. As the method of evaluating kindergarten institutes, self-evaluation is answered to be the most desirable. Third,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are compared and analyses by time management types and building possessing types. Speaking of running time, more kindergartens operate half-a-day system than others use all-day-long system. Also there are more kindergartens that own their building than others that rent, but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factors related to education. However, areas such as facilities and equipment, financial management, faculty welfare system and liaison with elementary school, the average score of those that own their building is higher than the others that rent. Finally, teachers and principals should first have correct perception of self-evaluation through training kindergartens faculty, and it is considered desirable to let all of kindergarten members join self-evaluation. Also, they suggest that developing self-evaluation tools proper to the actual status of kindergartens are needed. ;본 연구는 현재 사립 유치원에서의 자체 평가 수행 실태 및 교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자체평가 결과를 분석해 봄으로써 사립 유치원에서 자체 평가를 실시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도록 함이 목적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체평가 수행 실태는 어떠한가? 1-1.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은 어느 정도인가? 1-2. 자체평가 내용은 어떠한가? 1-3. 자체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2. 자체평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1. 자체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자체 평가에 대한 교사와 원장의 인식의 차이는 있는가? 3. 자체평가 결과 분석은 어떠한가? 4. 바람직한 자체평가를 위해 교사와 원장이 제시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립 유치원 105개원에 재직 중인 교사와 원장, 원감, 설립자 등 193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립유치원 자체평가 수행 실태와 자체평가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고안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체평가 결과 분석을 위해서는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에 따라 직위별, 학력별, 유치원의 건물의 소유 형태별(자가, 임대 등), 규모별로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응답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사립 유치원에서는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서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이 평가를 전혀 실시하지 않고 있는 유치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체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의 평가 방식은 교직원회의에서 개선 방안을 협의하는 정도의 소극적인 방식이었고, 유치원 규모가 작을수록 평가하는 비율도 작게 나타났다. 평가시 사용하는 평가도구도 공인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평가를 실시하는 유치원은 극히 적었으며 유치원에서 자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유치원도 있었다. 평가시 참여하는 사람도 교직원 이외의 평가자는 거의 없었으며, 원장이나 설립자가 혼자서 평가하는 경우도 있어 사립 유치원 자체평가의 한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유치원이 자체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체 평가의 적절한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경우와 적절한 평가 도구가 없어서라고 응답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자체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유치원에서 자체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교수 ․ 학습 방법이 개선되고 자기 업무에 대한 책임감이 높아지고 유대감이 형성된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유치원의 시설 ․ 설비가 개선되고 유치원의 교육목표와 경영자의 교육철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전체적으로 응답자들은 자체평가가 필요하며 자체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위와 같은 이익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이러한 인식은 직위별, 학력별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체 평가 후 그 결과의 활용 방안에 대한 조사에서는 대부분의 교사는 평가의 결과를 다음 학년도 교육계획시 반영하고 학부모 상담시 사료로 활용한다고 응답하였으나, 원장 및 설립자는 평가 결과를 근무 평가 등 인사에 반영 한다고 하여 교사와 운영자 간에 견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 영역에서는 교육과정 영역과 유아 관리 영역, 시설 설비 영역, 교직원 관리 영역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 평가 영역과 가정과 지역사회 영역, 경영관리 영역을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원장과 설립자는 교사에 비해 교직원 관리 영역과 경영관리 영역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자체 평가의 시기로는 1학기에 1회 정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으며 자체평가를 수시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높았다. 평가시 참여해야 하는 사람으로는 교사와 원장을 꼽았다. 유치원 기관 평가 방식으로는 자체평가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자체평과 결과는 시간 운영 형태, 건물 소유 형태별로 집단간 차이를 비교 ․ 분석하였다. 유치원 윤영시간이 반일제로 운영하는 유치원이 시간 연장제나 종일반으로 운영하는 유치원보다 전체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자가 건물의 유치원이 임대 건물의 유치원보다 전체적으로 높게 타나났으나 교육관련 요인 영역에서는 유의할 만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시설 ․ 설비 영역이나 재정관리 영역, 교직원 복지 제도 영역, 초등학교와의 연계 영역에서는 영역 평균이 임대 유치원보다 자가 건물의 유치원이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바람직한 자체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교사 및 원장은 구성원들에게 연수회 등을 통해 유치원 자체평가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시키는 일이 우선되어야 하고, 평가시에는 유치원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으며 또한 사립 유치원 실정에 적합한 자체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