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중의성 교육 내용 연구

Title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중의성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tents of Ambiguity Education in Korean Grammar Teaching
Authors
이정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은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중의성 교육을 강조하고,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설계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중의성 교육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은 문법 교육에 대한 통합적 입장을 견지하는 것이지만 의사소통 과정에서 필요한 명제적 지식의 습득을 소홀히 하지 않으려 하였다.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중의성의 개념과 유형에 대한 교육적 재정립을 시도함으로써 교육 내용의 근간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중의성을 모호성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문장의 의미가 애매모호하거나 불분명한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이상의 해석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경우로 중의성을 재정의함으로써 모호성과 차이를 두고자 하였다. 또한 함축과의 비교를 통해 중의성을 표면적 의미와 여러 함축적 의미 가운데 해석 가능성의 정도가 비슷한 의미들이 활성화되는 경우로 한정하였고, 중의성을 발생시키는 요소로서 은유를 상정하였다. 중의성의 유형은 크게 어휘 차원, 문장 차원, 담화 차원으로 나누고 각각에 해당하는 중의적 표현을 제시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재정립을 시도하였다. 제7 차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은 분절된 문법 단위를 제시하고 각각의 개별 단위에서 분리된 문법 내용을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교육 내용의 반복과 학습 내용의 양 증가라는 비효율성을 초래하였고, 하나의 총체적인 언어 구성체를 통한 교육을 어렵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실제 언어생활과 유리된 양상을 보였다. 중학교 <생활 국어>와 고등학교 <국어> 및 <문법> 교과서에 구현된 중의성 교육 내용 역시 문장 차원에서의 통사적 중의성만을 다루고 있어 이를 아우르는 언어 구성체로서의 담화 단위 설정의 필요성을 상기시켰다. 본고는 이 같은 문제점에 주목하여 중의성 교육 내용을 설계하는 데에 있어 화용론적 관점을 견지하고자 하였다. 화용론적 관점은 실제적인 의사소통 과정을 전제로 하기에 중의성을 교육하는 목표는 자연스럽게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으로 귀결된다. 또한 학습자의 소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의성 교육 목표는 내용을 구성하는 데에 있어 실제 언어생활과의 연계를 필연적으로 요구한다. 내용을 구성하기에 앞서 그 구성 원리를 설정함으로써 교육 내용 설계의 준거를 삼고자 하였다. 어휘-문장-담화의 입체적 관계를 설정하여 중의성 교육의 층위를 담화 차원으로 확장하고 의사소통 과정의 구성요소인 화자와 청자, 메시지, 장면에 의한 요소를 고려하여 교육 내용에 실제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교육 내용 설계의 틀이 되는 체계는 담화 차원에서 어휘적 중의성과 통사적 중의성, 그리고 화용적 중의성을 모두 아우르되, 규범적 중의성 교육 내용과 전략적 중의성 교육 내용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데에 있어 단위를 나누고 범주를 설정하는 것은 교육 내용의 체계를 갖추기 위함이지 학습자로 하여금 개별적 단위로 인식하게 하고 분절된 문법 지식을 교육하기 위함이 아니다. 학습자를 교육하기 위해 내용의 체계를 갖추는 일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육 내용 설계의 틀을 바탕으로 규범적 중의성 교육 내용과 전략적 중의성 교육 내용으로 나누어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의 중의성 교육이 규범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전략적 사용으로서의 교육이 가능함을 모색하기 위함이었다. 규범적 중의성 교육 내용은 어휘 차원의 중의성을 이해-해소-응용 단계로 제시하였으며 구조적 중의성은 유형별로 해소하는 방법적 지식에 주력하였다. 전략적 중의성 교육 내용은 화용의 차원에서 화자가 전략적으로 의도한 중의성을 대상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학습자로 하여금 해소의 대상으로서가 아닌 적극적인 사용의 대상으로서 중의성을 바라보게 하고 여러 언어 상황과 맥락에서 전략적으로 중의적 표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효과를 꾀하고자 하였다. 전략적 중의성에 대한 이해와 연습 과정을 거쳐 직접 중의적 표현을 활용해 보도록 하는 단계별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각각의 단계에서는 일반적인 의사소통 과정과 더불어 창의적 의사소통 과정을 함께 다룸으로써 학습자의 실제 언어생활과 창의적 언어활동을 모두 고려하였다. 이 과정에서 영상 매체나 문학 등 다양한 텍스트를 제재로 활용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단지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제재로서가 아닌 상황과 맥락이 언어와 함께 녹아 있고 전략적 중의성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제재로서 교육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 같은 교육 내용의 설계는 학습자로 하여금 중의적 표현이 우회성과 경제성 획득, 상대 의도 타진 및 반응 유도 등의 전략적 효과를 꾀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실제 언어생활이나 창의적 언어활동에서 전략적으로 중의성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ambiguity education in Korean grammar teaching. The ambiguity has been regarded as the reason of miscommunications in current grammar education. however, this is useful factor to express a intention effectively and to understand speaker's meaning in the real conversation. At this point, this study starts from the needs for improving a communicational ability and the educational goal of the ambiguity is also to develop the communicational ability. First of all, I tried to redefine the concept and the types of ambiguity clearly for grammar education. The ambiguity defines that an expression has more than two meanings. This is classified into three kinds, which are Lexical, structural and pragmatic ambiguities. And Through analysing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e textbook, I knew that just only structural ambiguity is taught to be not use in the sentences. It causes students to misunderstand ambiguities. In Chapter III, the principles of contents construction is considered. the principles are as follows: these are a pragmatic approach and to focus on communication flows. Considering these principles can be well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Especially, the context plays a important role to understand the ambiguous expression. The context includes the utterance situation. In Chapter IV, students need to be taught the purpose of strategic using for speaker and interpretation for listener.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ategic ambiguity in students' communication including literature communication. The strategic using is classified a detour utterance, an economic utterance, a tapping partner's opinion, a leading partner's reaction. In conclusion, the ambiguity education with the context and situation is necessary to communicate successfully. It develop the ability to express ideas effectively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