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민성혜-
dc.creator민성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5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577-
dc.description.abstractEvolutions in the media environment are bringing about various changes in the realm of literature. In the contemporary digital society, literature has been transformed into a new dimension in terms of its production, consumption, and appreciation. Literary education should allow us to explore a new identity of literature, actively coping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demands of the fast-changing, new media age. The present study starts with the position that literary education should place itself as a venue for live experience of literature and that it should be able to accommodate the new aspects of literature arising from changes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In an attempt to connect the current literary phenomena with literary education, the present study considers the Internet a medium of multiplex communication in which diverse linguistic signs make meanings and explores how this new medium can be utilized for literary education. Chapter II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as a communication medium and as a site of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Looking at the new adop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literature today, the chapt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Internet use with literary education. Doing so, it also explores how the new changes in literary education are reflected in the 2007 Korean Curriculum and how they can be implemented in the real-world literary education. In Chapter III, the Internet is specified as a sphere in which multiplex forms of communication such as blogging and "Mini-hompy," or, mini homepages, takes place. The Internet medium can indeed be utilized for educating novels and literature. That bloggs and Mini hompys are sites for dialogic communication speaks to the idea that novel is a communication between authors and readers and that novel education is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In light of this, a measure to translate original novels into the Mini-hompy format is suggested. Furthermore, how the contents of Mini-hompys can be utilized for literary education is proposed. This measure serves the following purposes: extending the realm of literature by connecting literary education with media education; allowing students of literature to become active agents who communicate with literary works; making literary classroom a lively one by allowing a diverse array of literary experience. Chapter IV deals with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literary education based on the Internet. An instruction-learning model using the multiplex communication features of the Internet is developed in this chapter. The model is applied to an actual education case involving the novel, <Mother and a Guest>. The famous novel is translated to the Mini-hompy media format and its educational utility is analyzed. Literary education using the multiplex communicative medium of the Internet is meaningful in that it diversifies and vitalizes students' literary experience and increases their literary sense. Most of all, it is meaningful because students under this new literary education endeavor can become active agents of literary consumption and appreciation through their familiar, everyday Internet space.;매체 환경의 변화 속에 문학은 다양한 변모를 겪고 있다. 인터넷 매체로 대변되는 현대 디지털 사회에서 문학은 그 생산과 수용, 향유 방식에 있어서 과거와는 다른 양상을 띠며 우리 곁에서 숨쉬고 있다. 문학 교육은 이러한 매체 환경의 변화가 가져온 문학의 수용 양상을 반영하여 급변하는 시대의 사회적, 문화적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문학의 정체성을 찾아갈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학 교육이 살아있는 문학 체험으로서 자리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른 문학의 변모된 모습을 교육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매체언어에 의해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인터넷 매체를 복합의사소통 매체로 보고 이를 활용한 문학 교육을 통해 문학 현상 및 매체언어 교육을 문학 교육과 연결하고자 한다. 우선 Ⅱ장에서는 인터넷 매체의 특징과 매체언어 교육의 국어 교육적 의의를 살피고 이러한 인터넷 매체의 등장으로 변모한 문학의 수용 양상을 통해 인터넷 매체 활용과 문학 교육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된 모습이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통해 인터넷 매체를 활용한 문학 교육의 현장 수용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인터넷 매체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안으로 블로그나 미니홈피 같은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을 설정하여, 이러한 공간의 특성을 소통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복합의사소통 매체로 기능하는 블로그나 미니홈피는 기본적으로 의사소통의 장이다. 따라서 소설이 작가와 작품, 독자의 소통의 문제라는 점에서, 또한 소설 교육 현장도 소설에 대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의 소통의 장이라는 점에서 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이에 원작 소설을 소설 미니홈피로 매체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미니홈피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이 안에 소설 교육적인 요소들을 대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매체 환경의 변화를 담아내어 소설 교육과 매체언어 교육을 연계함으로써 문학 텍스트의 확장을 가져오게 할 것이다. 또한, 소설 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을 작품과 소통하는 주체로 자리매김하게 하고, 다양한 문학 체험을 가능하게 하여 살아있는 문학 교실 현장을 만들 수 있게 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소설 교육의 실제 적용을 위해 교수-학습 모형과 방안을 설계하여 중학교 2학년 교과서에 실린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사랑손님과 어머니> 미니홈피 결과물을 게재하고 그 결과 분석을 통해 의의를 밝혔다.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소설 교육을 현장에 적용할 때 이는 변화하는 문학 현상을 교육 현장에 반영하여 학생들의 문학 체험을 다면화, 활성화시킬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매체언어에 의한 소설 읽기를 통해 복합문식성의 신장도 기대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학생들이 중심이 되는 소설의 이해와 감상의 장을 그들에게 친숙한 인터넷 공간에 마련한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사 검토 = 3 C.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 8 Ⅱ. 인터넷 매체 활용과 문학 교육 = 10 A. 인터넷 매체를 활용한 문학 교육의 가능성 = 10 1. 인터넷 매체의 특징과 매체언어 교육의 의의 = 10 가. 인터넷 매체의 특징 = 11 나. 매체언어 교육의 의의 = 13 2. 인터넷 매체와 문학의 수용 양상 = 14 3. 인터넷 매체 활용과 문학 교육의 연계 = 19 B. 인터넷 매체 활용을 통한 문학 교육의 수용 방향 = 21 1.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인터넷 매체 = 22 가.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인터넷 매체 관련 내용 = 22 2. 인터넷 매체 활용의 문학 교육 현장 수용 방향 = 30 Ⅲ.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소설 교육 방안 = 33 A.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의 특성 = 33 1.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의 개념과 일반적 특성 = 33 2.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미니홈피의 공간 분석 및 특성 = 38 B.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과 소설 교육의 연계 = 50 1.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의 소설 교육적 활용 = 50 가. 매체변환 : 문자 언어 소설 텍스트 → 매체언어 소설 텍스트 = 52 나. 세부 콘텐츠의 활용 - 매체언어에 의한 작품과의 소통 = 53 2.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소설 교육의 의의 = 57 Ⅳ.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소설 교육의 설계 및 실제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중심으로 = 59 A.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소설 교육의 실제 = 59 1.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소설 교수-학습 모형 = 59 2.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소설 교수-학습 방안 = 63 B. 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소설 교육의 실제 = 84 C. 결과 분석 및 의의 = 103 Ⅴ. 결론 = 108 참고문헌 = 111 부록 = 115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730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복합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인터넷 공간을 활용한 소설 교육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사랑손님과 어머니>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Literary education through the Internet : Based on the novel, <Mother and a Guest>-
dc.creator.othernameMin, Seong Hye-
dc.format.pageviii, 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