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철순-
dc.creator장철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4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40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useful and interesting plan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r students. Based on the analyzed evidence and data identifying the causes for immaturity, students are confronted with difficulty while undergoing summary assign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of summarizing. Summarizing is the process that deals with important contents in one's mind after reading. It also means the ability to condense and smoothly connect the contents of information that the reader found except the ability that deals with cognized information. Therefore, summarizing is the behavior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s well as the final result presented by the reader's subjective emotional activity. In the respect of theoretical backgrounds, the author aimed to examine the aspect of confusing terms for the concept of summarizing and reestablishes the concepts after comparative review. Also, the author aimed to discuss three kinds of summarizing such as text-centered, reader-centered and contents-centered summarizing, defined with literary text. In addition, the author aimed to critically examine how these three aspects of summarizing were presented in educational courses and text books. A total of 270 students from a boys' middle school, boys' high school and girls' high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an indirect questionnaire. It asked questions that would describe their experiences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ummarizing. Among them, 203 files were reviewed in the end. Also, the experience descriptions, according to grades of summarizing ability: high, moderate and low, were conducted with 118 files from boys' middle school and boys'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author categorized the reason of difficulty in learning and showing immaturity with index using the Nvivo 2 program, and then measured the frequency. Also, regarding the aspect of how difficulty in summarizing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ability and grades, the author designated the attribute of Nvivo 2, which underwent Matrix interaction. In particular,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summarizing abilities from high, moderate and low was determin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four people in an expert group based on the standard of preceding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above, the frequencies of each item were as followed 64% of learner factor, 5% of literature factor, 26% of teaching·learning factor, 2% assignment factor and 1% of environment factor. When the author designated the attribute as summarizing abilities of high, moderate and low,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number of frequency of range using their own summarizing strategy was 71% in the high level group, 29%in the moderate level group and 0% in the low level group, respectively. Secondly, the number of frequency of range with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number of letters was respectively 53% in the high level group, 33% in the moderate group and 14% in the low level group. Thirdly, the number of frequency of range with difficulty in identyfing main idea was respectively 28% in the high level group, 57% in the moderate group and 15% in the low level group. Forthly, the number of frequency of range no experience of summarizing was respectively 8%in high level group, 38% in moderate group and 54% in low level group. the results according to grade of attribute the number of frequency of range show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number of frequency of range their own summarizing strategy was 33% in the middle school group, 67% in the high school group, respectively. Secondly, the number of frequency of range with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number of letters was respectively 26% in the middle school group, 74% in the high school group. Thirdly, the frequency of superordinating, inventing and combining by connecting and reconstructing each sentences derived 11% in middle school group and 89% in High School group. Based on results, this study focus on finding out interesting and efficient summarizing teaching learning planning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learner's cognition and attitude status.;요약하기 실태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요약하기 과제를 수행할 때에 부딪히는 어려움 즉 미숙성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여 분석한 증거자료를 근거로 학습자에게 유용하고 재미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요약하기는 학습자가 글을 읽고 중요한 내용을 머릿속에서 처리하고 구성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독자의 인지적인 정보 처리 능력 이외에도 독자가 찾아낸 정보의 내용들을 압축하고 매끄럽게 연결하여 표현하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요약하기는 텍스트의 중요한 정보를 독자의 정신적이고 주체적인 정보 처리적인 활동을 통하여 나타나는 표현의 행위인 것이다. 이론적인 배경에서는 요약하기의 개념에 대한 혼동된 용어의 양상을 살펴 보고그 개념을 비교, 검토하여 재정립하고자 하였으며 문어적인 텍스트에 한정하여 텍스트 중심, 독자 중심, 맥락 중심의 요약하기 종류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세 가지 종류의 요약하기 양상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요약하기의 실태 분석을 위해서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남자 중학교와 남자 고등학교 그리고 여자 고등학교 학생들을 총 270명을 대상으로 경험 기술지를 통한 간접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이 중에서 203개의 파일을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남자 중학교와 남자 고등학교의 118개의 파일은 학년과 요약 능력을 속성으로 지정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엔비보(Nvivo) 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약하기에서 왜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미숙함을 보이는지에 대한 요인은 색인을 통하여 범주화 한 후에 분석하여 빈도를 측정하였으며, 요약하기 능력과 학년의 변수에 따라 요약하기 어려움의 양상이 어떻게 달리 보이는가에 대한 것은 엔비보(Nvivo) 2의 속성(attribute)을 지정한 후에 교차 분석(Matrix intersection)을 하였다. 특히 요약하기 능력의 상, 중, 하의 구분기준은 선행연구의 기준을 토대로 네 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상으로 분석한 내용의 결과는 학습자 요인 64%, 글 요인 5%, 교수·학습 요인 26%, 과제 요인 2%, 환경요인 1%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속성(attribute)을 요약 능력 상, 중, 하로 지정하였을 때 각 범주에 빈도수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첫째, 자신만의 요약하기 전략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범주의 빈도수는 상위집단 71%, 중위집단 29%, 하위집단 0%로 도출되었다. 이것을 통하여 상위집단이 자신만의 전략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반해 중, 하위집단은 이를 활용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둘째, 글자 수를 조절하는 부분이 어렵다는 범주의 빈도수는 상위집단 53%, 중위집단 33%, 하위집단 14%로 도출되었다. 이것은 상위집단의 학생들일수록 최대한 압축적인 표현을 통해 효과적으로 요약하고자 하는 자기 점검(조절)전략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중심 내용 파악이 어렵다는 범주의 빈도수는 상위집단 28%, 중위집단, 57%, 하위집단 15%로 나타났다. 넷째, 요약한 경험 및 배운 적이 없었다는 범주의 빈도수는 상위집단 8%, 중위 집단 38%, 하위집단 54%로 도출되었다. 이것은 하위집단이 중, 상위 집단에 비해 요약하기 과제에 대하여 무관심하고 수동적인 태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학년별 속성 지정으로 나타난 빈도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만의 요약하기 전략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범주의 빈도수는 중학교 집단 33%, 고등학교 집단 67%로 도출되었다. 둘째, 글자 수와 시간 조절이 어렵다는 범주의 빈도수는 중학교 집단 26%, 고등 학생 집단 74%로 도출되었다. 셋째, 각 문장을 연결하고 재구성하여 대치하거나 창출하여 결합하는 범주에 따른 빈도수는 중학교 집단 11%, 고등학교 집단 89%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인지적, 태도적인 상황과 수준을 고려하여 현장에 흥미롭고 유용한 요약하기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음을 밝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연구의 검토 및 문제제기 = 4 C. 연구 문제의 내용 및 제한점 = 13 Ⅱ. 이론적인 배경 = 15 A. 텍스트의 개념과 구조이론 = 15 B. 요약에 대한 개념정의와 교육과정에서의 양상 = 23 Ⅲ. 연구방법 = 38 A. 연구 참여자 선택 및 자료수집 기간 = 38 B. 연구 설계 및 절차 = 38 C. 측정도구 = 39 D. 자료 분석 및 방법 = 40 Ⅳ. 결과분석의 논의 및 해결 방안 = 45 A. 전체 집단의 경험 기술지 결과분석 = 45 B. 속성지정을 통한 경험 기술지 결과분석 = 66 C. 인터뷰 사례의 결과분석 = 78 D. 교수·학습 방안 = 80 Ⅴ. 결론 및 제언 = 90 참고문헌 = 93 부록1. 직소Ⅲ 협력학습 활동지 = 97 부록2. 요약하기에 대한 설문조사: 중학생 집단 = 99 부록3. 요약하기에 대한 설문조사: 고등학생 집단 = 101 부록4. 요약하기에 대한 설문조사 증거자료: 중학생 집단 = 103 부록5. 요약하기에 대한 설문조사 증거자료: 고등학생 집단 = 104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999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요약하기 실태 분석과 교수·학습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for Summarizing in Plann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dc.creator.othernameJang, Cheol Soon-
dc.format.pagex,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