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3 Download: 0

기업교육 참가자의 성취동기,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수행력이 교육훈련의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기업교육 참가자의 성취동기,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수행력이 교육훈련의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Adjusted Learning Power of Corporate Education Participant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Training
Authors
가연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many companies are constantly expanding investment in educational training of their employees as a result of recogniz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the core mean to guarantee corporative competitiveness. The best vision and outstanding management strategy cannot create targeted management performances without its organizational constituents' capacity to execute the strategies so firms are investing immense amount of capital into educational training to attain people of high talent. Ye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factors influe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ducational training to harvest practical effects. Understanding the trend of learner's motivations that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training is significantly important in terms of designing and operating education programs that suit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oretical basic data to designing and operating corporate education programs by collaboratively clarifying the influences of achievement motiv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self-adjusted learning power, which are sub-factors of learners' motivation trend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ducational training. Thesis agenda are established as following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1. What significant influence does achievement motiv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adjusted learning power of corporate education participants hav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educational training? 2. What significant influence does achievement motiv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adjusted learning power of corporate education participants have o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ducational training? This study collected research data from 210 corporate education participants at H Steel Corp. to authenticate thesis of this study. First, achievement motiv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f learners were estimated before starting the education, and then a surve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for education training and self-adjusted learning power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 Last but not least, evalu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 was made. 193 copies with sincere responses were analyzed at the last stage. Collected data were authenticat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in terms of thesis agenda 1 results, self-adjusted learning power (β= .481, P < .001) and self-efficacy(β = .256, P < .01) explained satisfaction level by 38.8% at significance level of .01. Such results supports the study results made by Hiltz(1997), Richardson and Swan(2003), and Spooner(1999) wh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djusted learning power and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al training. Also, it supports the study results of Tipton and Worthigton(1984) that proved that self-efficacy had import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of general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al training as those with high self-efficacy showed higher challenging spirit for difficult tasks. Secondly, in terms of thesis agenda 2 results, self-adjusted learning power, self-efficacy,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explained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by 79.7% at a significance level of .05. To be more detailed,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influenced in the order of self-adjusted learning power(β = .397, P < .001), self-efficacy(β = .356, P < .001), participation motivation(β = .317, P < .001), and achievement motivation(β = .108, P < .05). Such analysis results proves self-efficacy,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can be explain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level other than the variables of self-adjusted learning opposed to the opinion that there are limits to explain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level only with the self-adjusted learning power(In Suk Lee, 2003).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precedent studies are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people who work in the same company so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Thus precedent studies must make investigation with people from diverse companies to overcome such limits. Secondly, variables established in this study excluding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depend on self-evaluation reports and not objective data, so it is highly likely that this study depends on personal values based on personal and objective judgments. Hence precedent studies need to perform relative and forecasting researches collaboratively utilizing subjective criteria on a higher level using multi-dimensional evaluations by qualitative studies, colleagues, and superiors such as observation, interview, and FGI(Focus Group Interview). Third, this study is limited for not providing information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behavioral and conclusive evaluation by restricting evaluations for the results of educational training to level of learne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just like studies made in the past. In other words, studies need to be made on how positively the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operate when learners return to work after the training, and how the relationship is to occupational motivation. Forth, this study deduced results that only explains significant influence of achievement motiv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adjusted learning power on level of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failed to discuss smaller factors that affect achievement motiv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adjusted learning power. Therefore, this study precedent studies must be made to practically clarify more detailed factors that influence variables established in this study. Fifth, this study did not handle concrete strategies that can actually be utilized to the participants of educational training. In other words, strategies that improve achievement motiv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adjusted learning power were not studied in the concrete. Thus, precedent studies must be conducted to clarify concrete strategies for these variables.;최근 많은 기업들이 인적자원개발을 기업경쟁력 확보의 핵심 수단으로 인식하면서 직원들의 교육훈련 활동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기업들은 아무리 좋은 비전과 훌륭한 경영 전략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역량이 조직 구성원들에게 갖춰져 있지 않으면 기업이 의도하는 경영 성과를 창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은 우수한 인재의 확보를 위해 많은 비용을 교육훈련에 투자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훈련의 실제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교육훈련의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성인학습자는 그들의 배경적 특성과 경험, 처해 있는 상황이 각기 다르므로 교육훈련 참가자 개인의 동기성향이 교육훈련의 효과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교육훈련의 효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동기 성향을 파악하는 것은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동기 성향의 하부 요인을 기업교육 참가자의 성취동기,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수행력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이들 변인이 교육훈련의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 그리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 및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기업교육 참가자의 성취동기,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수행력은 교육훈련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기업교육 참가자의 성취동기,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수행력은 교육훈련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H제철 기업교육 참가자 210명을 대상으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도구를 바탕으로 변인별 검사도구들을 선정하고, 이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일부 수정·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교육 시작 전에 학습자의 성취동기, 참여동기,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고, 다음에 교육 종료 후 교육훈련의 만족도와 자기조절학습 수행력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업성취도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자료수집에 모두 성실히 응답한 193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신뢰도분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결과는 자기조절학습 수행력(β= .481, P < .001)과 자기효능감(β = .256, P < .01)이 만족도를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참여동기와 성취동기는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학력이 낮을수록(β= -.244, P < .01), 연령이 높을수록(β= .507, P < .001), 그리고 근속연수가 낮을수록(β= -.309, P < .01) 교육훈련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훈련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 수행력 중 하위요인을 포함하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과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 자기효능감(β = .469, P < .001)과 학업적 자기효능감(β = .395, P < .001) 모두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문제 2의 결과는, 자기조절학습 수행력(β = .397, P < .001), 자기효능감(β = .356, P < .001), 참여동기(β = .317, P < .001), 성취동기(β = .108, P < .05) 순으로 독립변인 모두 유의수준 .05에서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제변수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들 중 하위요인을 포함하는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 자기효능감(β = .469, P < .001)과 학업적 자기효능감(β = .395, P < .001) 모두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내재적 참여동기(β = .142, P < .05)와 외재적 참여동기(β = .646, P < .001) 모두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자의 성취동기 하위요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취동기의 하위요인인 개인지향 성취동기(β = .507, P < .001)와 사회지향 성취동기(β = .170, P < .05) 모두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결정적인 요인 중 한 가지가 ‘학습자의 동기’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교육훈련의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교육훈련 참가자의 동기 성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기업교육 프로그램 설계자는 교육훈련에 있어 기업교육 참가자들의 교육 참여 동기를 고려하여 기획하고 학습자들의 동기가 지속될 수 있도록 흥미 있는 내용의 교수설계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즉, 학습자 개인의 동기적 특성을 분석한 개인별 맞춤학습 프로그램을 설계 및 개발해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강의법을 취사선택하여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학습자의 교육 참여에 대한 동기를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적절한 자극을 통해 교육 참여 동기가 지속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자는 교육훈련의 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내용에 맞는 가장 효과적인 강의 매체를 선택 및 활용한 교수기법을 사용하여야 할 것이며 끊임없이 교육훈련의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훈련 결과에 대한 평가를 학습자의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한정함으로써 행동평가와 결과평가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 후 다시 직무현장에 돌아갔을 때 교육훈련의 효과가 얼마나 긍정적으로 작용을 하는지, 직무몰입과의 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