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은미-
dc.creator조은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1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6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19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수업의 의미를 규정하는 다양한 관점들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이해하는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 경력, 담당 학년에 따라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그 차이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를 이해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의미를 확대하고자 한다. 그리고 좋은 수업을 하기 위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좋은 수업을 지원하기 위한 보다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은 무엇인가? 1-1.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은 무엇인가? 1-2.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경력에 따른 차이 가 있는가? 1-3.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담당 학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2. 좋은 수업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은 무엇인가? 2-1. 좋은 수업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전반적으로 필요로 하는 지원은 무엇인가? 2-2. 좋은 수업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에 있어 경력 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2-2. 좋은 수업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에 있어 담당 학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들을 탐구하기 위하여 면담과 설문조사가 이용되었다. 현직 초등학교 교사 43명을 대상으로 면담 연구를 수행한 후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 좋은 수업에 대하여 준비 관점, 전달 관점, 구성 관점, 관계 관점, 결과 관점 등 5가지 관점을 도출할 수 있었고,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좋은 수업을 관계 관점에서 보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전달 관점과 준비 관점도 비슷한 비율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것은 대부분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사와 학생 사이에 서로에 대한 인간적인 이해와 존중하는 마음이 기본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교사가 계획적으로 준비된 수업 내용을 잘 전달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둘째, 교직 경력이 적은 교사들은 가르칠 내용에 대해서 깊이 연구하고 학생들의 수준과 교실 상황에 맞게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는 등 많이 준비한 수업을, 교직 경력이 많은 교사들은 학생들과의 깊은 유대감과 신뢰감을 형성하고 상호 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교직 경력이 적은 교사들이 준비 관점을 많이 갖고 있다는 결과가 나온 것은 교사의 수업이 실천되는 교육 현장은 이론에서 예상한 것이 그대로 적용되는 안정되고 통제된 상황이 아니며, 변화무쌍한 교실의 상황과 학생들의 특성 및 수준 등 불확실성이 강한 교육의 성격상 다른 직업보다 교사의 교육 경력과 경험은 큰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좋은 수업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급 경영을 할 때 경제적인 지원이 확대되는 것과 행정 업무가 축소되는 것을 가장 크게 요구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학급 경영관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는 경제적인 지원을 확대하고, 불필요한 행정 업무를 줄이는 등 좋은 수업을 위해 교사들의 요구에 맞는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좋은 수업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 경력과 담당 학년에 따라 다른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좋은 수업을 하도록 지원하는 계획을 세울 때, 우선 교육 경력이나 담당 학년에 따라 필요로 하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원 방안이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교사들이 좋은 수업을 하기 위해서 우선 교육 경력이나 담당 학년에 따라 필요로 하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교사가 생각하고 추구하는 좋은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경력이나 담당 학년에 따른 요구들에 대해 학교 현장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갖추어질 때 진정한 학교 교육 내실화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좋은 수업을 하도록 지원하는 계획을 세울 때, 교사들의 다양한 요구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좋은 수업의 의미를 규정하는 다양한 관점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변인의 차이에 따라 확인할 수 있었던 의미를 통하여 교사 자신은 스스로의 교육관과 함께 자신이 이상적?피상적으로만 생각해 왔던 좋은 수업에 대한 모습을 교실 현장과 결부시켜 현실적으로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좋은 수업의 모습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교육 개혁의 해결점을 위로부터의 정책과 제도들이 아닌 학교 현장에서 찾아봄으로써 공교육을 작은 부분부터 실질적인 변화로 이끌어 내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좋은 수업의 의미를 인식하는 데 있어 다양한 관점들을 함께 갖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 관점으로 다루거나 문항이 갖고 있는 주관적?객관적인 시각의 차이에서 해석을 하였지만, 교사가 갖고 있는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가 ‘좋은’이라는 용어가 갖는 상대성과 상황성 만큼 다양한 시각에서 해석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시각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의 깊이를 확장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학교 급의 차이나 지역 등 다양한 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를 이해할 수 있는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on good instructional practice. In particular, I focused on examining differences in teachers’ perspectives on good instructional practice depending on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and grades of students they are currently teaching, with an intention to expand the meaning of teachers’ perspectives about good instructional practice.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the highest ratio of teachers regarded “relationship perspective” as the key factor of good instructional practice, followed by the slightly lower ratios of teachers who regarded “delivery” and “preparedness” as the key factors of good instructional practice. This indicates that mo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ideal classes as systematically prepared classes with clear message delivery which are based on understanding and respect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less experienced teachers recognized well-prepared classes with a complete understanding on educational contents and customization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student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as ideal classes, while experienced teachers recognized classes with active interactions and higher credibility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as ideal classes. Considering the nature of education with high uncertaintie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have more significant meaning in teaching occupations than in other jobs. Third, expanded financial support and streamlined administrative works are the two things teachers needed most for making good instructional practic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xpand financial support to enable teachers to operate the classes in a flexible manner, and establish the practical support measures for teachers including reducing unnecessary administrative workloads. Finally, it was shown that teachers with different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and grades in charge had different needs for support.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policy-makers to understand teachers with different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and grades in charge have different needs when they establish the support measures for good instructional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such an understanding, they should establish the detailed support measures for effectively solving and supporting such diverse requirements from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좋은 수업의 대한 관점과 논의 = 6 1.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의 변화 = 6 2. 좋은 수업에 대한 논의 = 10 B. 좋은 수업을 위한 조건 = 13 1. 좋은 수업을 위한 일반적 조건 = 13 2. 좋은 수업을 위해 요구되는 지원 체제 = 20 C. 좋은 수업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 23 1.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 = 23 2. 선행연구의 한계점 = 30 Ⅲ. 연구 방법 = 33 A. 연구대상 = 33 B. 연구도구 = 35 C. 자료 분석 방법 = 42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 43 A.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 43 1. 좋은 수업에 대한 전체적 관점 분석 = 43 2. 좋은 수업에 대한 수업 관점별 분석 = 50 B. 좋은 수업을 위해 요구되는 지원체제 분석 = 53 Ⅴ. 요약 및 결론 = 60 A. 요약 = 60 B. 결론 = 65 C. 제언 = 68 참고문헌 = 71 부록 - 교사용 설문지 = 73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11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on Good Instructional Practice-
dc.creator.othernameJo, Eun-mi-
dc.format.page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