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M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학교사회복지 서비스의 이용 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Title
M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학교사회복지 서비스의 이용 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social welfare utilization : Focusing on M elementary school in Seoul Area
Authors
안소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ground for enhancing and activat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ocial welfare services, by examining conditions of school social welfar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social welfare utilization at large with hig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s its focus. I have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how are conditions of school social welfare utilization in accordance with elementary school high graders’ genders and grades? Second, how is elementary school high graders’ entire satisfaction with school social welfare utilization? Third, what are the factors having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social welfare utiliz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earch issues, I have carried out a survey with 402 fifth and sixth grad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 survey, I have at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f all, on the side of the conditions of utilization, first, the existing methods of publicity for the office of school social welfare such as bookmarkers or posters have not achieved much effectiveness, and we can learn that publicity effectiveness for school social welfare differed by gender. Second, we can tell that peers’ influence is great on school social welfare utilization. On the other hand, given the fact that only one student reported that ‘parents’ recommendation’ was influential, parents’recognition of school social welfare has appeared to be low. Third, the lounge in the office of school social welfare has been found to quite greatly serve as a space for rest and play for students in a school with deficient play spaces. Fourth, as it has appeared that students most frequently participated in programs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school social welfare may have positive influence on prevention of, and make solutions to, school violation. Next,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social welfare utilization at large, first, the fact that satisfaction with great group program utilization, with utilization of the lounge inthe office of school social welfare, and with utilization of the office of school social welfare has appeared to be high at large means that the entire satisfaction with school social welfare utilization was high. Second, regarding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social welfare office utilizationby programs, student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when they used the office of school social welfare for individual consults, and they appeared to be satisfied with school social welfare office utilization as the average score of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social welfare office utilizationin all of the programs was above 3.0. Thus, it seems that programs provided by the office of school social welfare were effectively operated for the students. Lastly, with respect to the factors having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social welfare utilization, first, all of the items received an average of 3.0 in the itemized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with great group programs provided by school social welfare utilization, and especially those items related to teacher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Second, we can learn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accepting great group programs in accordance with participants’ grades. Third, as a result of the itemized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social welfare office utilization, though the average scores of all the question items were above 3.0,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 ‘is the office of school social welfare a place for help when you need a help?’showe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I come up with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a more effective method of publicity seems to be necessary escaping from the existing ones. Especially, study of publicity methods in consideration of genders in order to make effective publicity of the office of school social welfare for male children. Second, because peers’ influence is great on the utilization of the office of school social welfare, publicity through those students who have been using the office of school social welfare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arents’ recognition of school social welfare in ways like active publicity of school social welfare and parent education. Fourth, for serious school problems like school violence, small group programs should be run simultaneously along with great group programs. Fifth, for program participation and sufficient time for program activities, which were somewhat behind in the ranking of question items about the satisfaction with great group programs, we should lead students to more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programs, and reserve more time for program activities. Sixth, we should make up more of afterschool supplementary learning and summer vacation program administration, which were relatively low in satisfaction among other school social welfare office programs, and carry out various programs through research on students’ demands. Lastly, we should consider introduction of school social welfare as a solution to school problems as the fact that the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it at large means that it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m. Given that school social welfare has positive impact on students, it will be helpful to introduce school social welfare for solving school problems and attaining ultimate goals for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서비스를 경험하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들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이용 실태 및 전반적인 학교사회복지 이용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학교사회복지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의 학교사회복지 서비스의 효과를 높이고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학년 초등학생들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학교사회복지 이용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사회복지 이용에 대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학교사회복지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의 수행을 위하여 402명의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선 이용 실태 면에서는 첫째, 학교사회복지실의 인식 경로에서 ‘지나가다가 우연히 발견해서’라는 답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여 학교사회복지실 홍보의 효과가 기존의 책갈피나 포스터만으로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성별에 따라 학교사회복지의 홍보 효과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교사회복지실 이용 이유에서는 ‘친구 추천’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는데, 이를 통해 학교사회복지 이용에 있어 또래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부모님의 추천’이라고 응답한 학생은 단 한명에 불과하여 학부모들의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정도가 낮았다. 셋째, 학교사회복지실 쉼터 이용률이 76.4%라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학교사회복지실 쉼터 이용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점을 연결 지어 생각해보면, 학교사회복지실 쉼터는 마땅한 놀이 공간이 부족한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하나의 휴식 및 놀이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학교사회복지실의 프로그램별 이용 빈도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참여한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으로 나타나, 학교 폭력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학교사회복지 이용의 전반적인 만족수준을 살펴보면, 첫째, 대집단 프로그램 이용 만족도, 학교사회복지실 쉼터 이용 만족도, 학교사회복지실 이용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교사회복지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프로그램별 학교사회복지실 이용 만족도에서 개별상담을 받기 위해 학교사회복지실을 이용했을 때가 가장 만족도가 높았으며 모든 프로그램별 학교사회복지실 이용만족도가 평균 3.0이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사회복지실 프로그램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학교사회복지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서는 첫째, 학교사회복지 대집단 프로그램 이용 만족도에 대한 문항별 분석에서 모든 응답에서 평균 3.0이 넘었으며 특히 교사관련사항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학년에 따라 학교사회복지 대집단 프로그램을 받아들이는 데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사회복지실 이용 만족도에 대한 문항별 분석 결과 문항별 평균이 모두 3.0을 넘었지만 ‘학교사회복지실이 도움에 필요할 때 언제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인가’라는 문항에서 상대적으로 봤을 때 가장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기존의 방법을 탈피한 보다 효과적인 홍보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남자아이들에게도 학교사회복지실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성별의 차이를 고려한 홍보 방법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학교사회복지실 이용에 있어서 또래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기존의 학교사회복지실을 이용하는 학생들을 통한 홍보가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셋째, 학부모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적극적 홍보와 학부모 연수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폭력과 같이 심각한 학교 문제에 대해서는 대집단 프로그램과 동시에 소집단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대집단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문항에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프로그램 참여도와 프로그램 활동 시간의 충분정도에 있어서는 학생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프로그램 활동 시간을 좀 더 확보해야 한다. 여섯째, 학교사회복지실 프로그램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방과 후 보충 학습과 여름 방학 교실 프로그램 운영을 좀 더 보완하고, 학생들의 요구 조사를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교사회복지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다는 것은 학생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학교사회복지를 학교 문제의 해결방안으로써 도입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학교사회복지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볼 때, 학교사회복지를 도입한다면 학교문제를 해결하고,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